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지분추적] KB자산, 9월 사고 판 주식은?
KB자산운용(이하 KB자산)이 지난 9월 한 달간 디엔에프13,200원, ▲10원, 0.08%, SJM3,645원, ▲15원, 0.41%, 피에스케이28,900원, ▼-600원, -2.03% 등을 순매수하고 세보엠이씨15,600원, ▲30원, 0.19%, 윈하이텍2,060원, ▼-15원, -0.72%, 테라젠이텍스2,745원, ▲50원, 1.86% 등의 지분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KB자산은 지난 9월 23일 디엔에프13,200원, ▲10원, 0.08%의 지분을 5% 이상 확보했다고 신규 보고했다. 지난 9월 19일 기준 55만3744주(지분율 5.35%)를 보유해 공시 의무가 발생했다. 이후 추가매수해 지난 9월 30일 기준 지분율은 8.77%로 상승했다.
SJM3,645원, ▲15원, 0.41%은 8차례에 걸쳐 지분 0.86%P 늘려 지분율이 6.55%로 올랐다. 또한 피에스케이28,900원, ▼-600원, -2.03% 지분 0.52%P, 코오롱인더40,150원, ▲700원, 1.77% 지분 0.5%P씩 확대해 지분율을 높였다. 이 밖에 엘티씨16,380원, ▲80원, 0.49% 포함 13개 종목의 지분율을 0.01%~0.49%P씩 높였다.
반면 세보엠이씨15,600원, ▲30원, 0.19%는 8회에 걸쳐 12억원어치를 장내 매도했다. 이에 따라 지분율은 1.88%P 낮아진 4.58%를 기록했다. 윈하이텍2,060원, ▼-15원, -0.72%은 10억8000만원, 테라젠이텍스2,745원, ▲50원, 1.86%은 22억6000만원어치의 주식을 팔아 비중을 줄였다. 이밖에 성신양회9,540원, ▲60원, 0.63% 포함 7개 종목의 지분을 매도했다.

KB자산은 보유지분 기준으로의 KMH의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10월 2일 기준으로 보유지분율 20.95%, 보유 주식수는 267만6847주다. 이밖에 넥스트아이312원, ▼-10원, -3.11% 19.51%, 케이비캐피탈 18.39%, 골프존59,600원, ▲400원, 0.68% 18.35%, 리드코프3,760원, ▲55원, 1.48% 17.77% 등의 지분을 다수 보유중이다.
현재 보유 지분율이 10% 넘는 종목은 23개다. 1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주요주주로 등록된 기업은 1주라도 보유 주식수의 변동이 있으면 5일(거래일 기준) 이내에 공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단, 투자금액 평가액 기준은 KB자산이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종목을 대상으로 집계됐다. 보유 지분이 5% 이하인 기업에 대해서는 공시의무가 없어 현재 보유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위 기사 표에 나온 KB자산의 지분율에는 일임계약에 따른 보유분도 모두 포함됐다. 채권혼합형 펀드 등 특별관계자 관계에 있는 회사가 보유한 지분은 제외했다.
[2014년 0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KB자산은 지난 9월 23일 디엔에프13,200원, ▲10원, 0.08%의 지분을 5% 이상 확보했다고 신규 보고했다. 지난 9월 19일 기준 55만3744주(지분율 5.35%)를 보유해 공시 의무가 발생했다. 이후 추가매수해 지난 9월 30일 기준 지분율은 8.77%로 상승했다.
SJM3,645원, ▲15원, 0.41%은 8차례에 걸쳐 지분 0.86%P 늘려 지분율이 6.55%로 올랐다. 또한 피에스케이28,900원, ▼-600원, -2.03% 지분 0.52%P, 코오롱인더40,150원, ▲700원, 1.77% 지분 0.5%P씩 확대해 지분율을 높였다. 이 밖에 엘티씨16,380원, ▲80원, 0.49% 포함 13개 종목의 지분율을 0.01%~0.49%P씩 높였다.
반면 세보엠이씨15,600원, ▲30원, 0.19%는 8회에 걸쳐 12억원어치를 장내 매도했다. 이에 따라 지분율은 1.88%P 낮아진 4.58%를 기록했다. 윈하이텍2,060원, ▼-15원, -0.72%은 10억8000만원, 테라젠이텍스2,745원, ▲50원, 1.86%은 22억6000만원어치의 주식을 팔아 비중을 줄였다. 이밖에 성신양회9,540원, ▲60원, 0.63% 포함 7개 종목의 지분을 매도했다.

KB자산은 보유지분 기준으로의 KMH의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10월 2일 기준으로 보유지분율 20.95%, 보유 주식수는 267만6847주다. 이밖에 넥스트아이312원, ▼-10원, -3.11% 19.51%, 케이비캐피탈 18.39%, 골프존59,600원, ▲400원, 0.68% 18.35%, 리드코프3,760원, ▲55원, 1.48% 17.77% 등의 지분을 다수 보유중이다.
현재 보유 지분율이 10% 넘는 종목은 23개다. 1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주요주주로 등록된 기업은 1주라도 보유 주식수의 변동이 있으면 5일(거래일 기준) 이내에 공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한편, 평가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은 코오롱인더40,150원, ▲700원, 1.77%로 2510억원어치를 투자 중이다. 이어서 골프존59,600원, ▲400원, 0.68% 1819억원, LS산전 1323억원, 동원산업44,200원, ▲350원, 0.8% 1263억원 등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평가액 상위 기준 25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단, 투자금액 평가액 기준은 KB자산이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종목을 대상으로 집계됐다. 보유 지분이 5% 이하인 기업에 대해서는 공시의무가 없어 현재 보유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위 기사 표에 나온 KB자산의 지분율에는 일임계약에 따른 보유분도 모두 포함됐다. 채권혼합형 펀드 등 특별관계자 관계에 있는 회사가 보유한 지분은 제외했다.
[디엔에프]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반도체 증착 공정용 화학소재 제조기업 |
|---|---|
| 사업환경 | ▷미세화 구현을 위한 신규소재 도입과 첨단 공정 재료의 적용으로 국내 반도체 재료 시장은 연평균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 ▷반도체 재료의 국내 자체 보급률은 44%로 향후 수입품을 대체하며 성장할 수 있음 |
|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반도체가격에 영향을 받음 |
| 주요제품 | ▷ DPT: Double Patterning Tech. 소재(매출 비중 36%) ▷ 저온 Low-k : 저온 Si박막 증착용의 소재 (매출 비중 30%) ▷ High-k : 캐패시터 유전막용 소재 (매출 비중 15%) |
| 원재료 | ▷ 1-He(11년 9800원 → 12년 9800원/kg → 14년 2분기 9800원/kg) ▷ P1(11년 9640원 → 12년 9500원 → 13년 9500원/kg → 14년2분기 9500원/kg) ▷ P2(11년 1만1500원 → 12년 1만1500원 → 13년 1만2700원/kg → 14년 2분기 1만2700원/kg) |
| 실적변수 | ▷D램·낸드플래시 가격 상승시 수혜 |
| 신규사업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디엔에프의 정보는 2014년 10월 02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디엔에프]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디엔에프]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김명운 | 본인 | 보통주 | 1,966,264 | 20.83 | 1,966,264 | 20.10 | - |
| 최영재 | 임원 | 보통주 | 272,199 | 2.88 | 272,199 | 2.78 | - |
| 이광재 | 고문 | 보통주 | 267,000 | 2.83 | 0 | 0 | 주1) |
| 김현태 | 친인척 | 보통주 | 69,664 | 0.74 | 69,664 | 0.71 | - |
| 임재훈 | 감사 | 보통주 | 63,589 | 0.67 | 63,589 | 0.65 | - |
| 계 | 보통주 | 2,638,716 | 27.95 | 2,371,716 | 24.24 | - | |
| -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