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지분추적] 신영자산, 10월 사고 판 주식은?
신영자산운용(이하 신영자산)이 지난 10월 한달간 한신공영8,690원, ▲330원, 3.95%, E183,600원, ▲700원, 0.84%, 상신브레이크2,615원, ▲10원, 0.38% 등을 순매수하고, 피에스케이28,900원, ▼-600원, -2.03%, 삼영화학, 예스243,725원, ▲30원, 0.81% 등의 지분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영자산은 지난달 8일 한신공영 지분을 5% 이상 확보했다고 신규보고 했다. 지난 10월 7일 기준 지분율은 6.14%다. 또한 코텍8,680원, ▲80원, 0.93%과 신송홀딩스6,670원, ▲140원, 2.14%에 대해서도 신규보고를 했다. 신영자산은 지난달 14일 기준 코텍 지분을 5.06%, 지난달 34일 기준 신송홀딩스 지분을 5.02% 보유했다.
신영자산은 E1을 5차례에 걸쳐 2.24%P 늘려 지분율이 9.75%로 올랐다. 상신브레이크2,615원, ▲10원, 0.38% 지분을 1.70%P, 삼영이엔씨764원, 0원, 0% 지분을 1.36%P 확대했다. 이 밖에 한화화인케미칼 을 포함해 21개 기업의 지분을 0.05%P ~ 0.80%P씩 높였다.
반면 피에스케이 지분을 36회에 걸쳐 6억6400만원어치를 장내매도 했다. 이에 지분율은 2.32%P 낮아진 6.64%를 기록했다. 삼영화학은 1억1600만원, 예스243,725원, ▲30원, 0.81%는 1억1500만원어치의 주식을 팔아 비중을 줄였다. 이 밖에 신흥기계를 포함한 11개 기업의 지분을 매도했다.

신영자산은 보유지분 기준으로 진도2,015원, 0원, 0%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11월 10일 기준으로 보유지분율 17.81%, 보유주식수는 178만5084주다. 이 밖에 일진파워10,470원, ▲100원, 0.96% 17.70%, WISCOM1,847원, ▲18원, 0.98% 15.20%, 메가스터디11,410원, 0원, 0% 15.15% 등의 지분을 다수 보유중이다.
현재 보유지분율이 10%가 넘는 종목은 29개다. 1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주요주주로 등록된 기업은 1주라도 보유 주식수의 변동이 있으면 5일(거래일 기준) 이내에 공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한편 평가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은 맥쿼리인프라로 1679억원어치를 투자중이다. 이어서 신도리코46,200원, ▲750원, 1.65% 903억원, 한섬15,740원, ▲50원, 0.32% 574억원, 에스에프에이21,250원, ▼-50원, -0.23% 569억원 등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평가액 기준 상위 25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단, 투자금액 평가액 기준은 신영자산이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종목을 대상으로 집계됐다. 보유 지분이 5% 이하인 기업에 대해서는 공시의무가 없어 현재 보유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위 기사 표에 나온 신영자산의 지분율에는 일임계약에 따른 보유분도 모두 포함됐다. 채권혼합형 펀드 등 특별관계자 관계에 있는 회사가 보유한 지분은 제외했다.
[2014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신영자산은 지난달 8일 한신공영 지분을 5% 이상 확보했다고 신규보고 했다. 지난 10월 7일 기준 지분율은 6.14%다. 또한 코텍8,680원, ▲80원, 0.93%과 신송홀딩스6,670원, ▲140원, 2.14%에 대해서도 신규보고를 했다. 신영자산은 지난달 14일 기준 코텍 지분을 5.06%, 지난달 34일 기준 신송홀딩스 지분을 5.02% 보유했다.
신영자산은 E1을 5차례에 걸쳐 2.24%P 늘려 지분율이 9.75%로 올랐다. 상신브레이크2,615원, ▲10원, 0.38% 지분을 1.70%P, 삼영이엔씨764원, 0원, 0% 지분을 1.36%P 확대했다. 이 밖에 한화화인케미칼 을 포함해 21개 기업의 지분을 0.05%P ~ 0.80%P씩 높였다.
반면 피에스케이 지분을 36회에 걸쳐 6억6400만원어치를 장내매도 했다. 이에 지분율은 2.32%P 낮아진 6.64%를 기록했다. 삼영화학은 1억1600만원, 예스243,725원, ▲30원, 0.81%는 1억1500만원어치의 주식을 팔아 비중을 줄였다. 이 밖에 신흥기계를 포함한 11개 기업의 지분을 매도했다.

신영자산은 보유지분 기준으로 진도2,015원, 0원, 0%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11월 10일 기준으로 보유지분율 17.81%, 보유주식수는 178만5084주다. 이 밖에 일진파워10,470원, ▲100원, 0.96% 17.70%, WISCOM1,847원, ▲18원, 0.98% 15.20%, 메가스터디11,410원, 0원, 0% 15.15% 등의 지분을 다수 보유중이다.
현재 보유지분율이 10%가 넘는 종목은 29개다. 1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주요주주로 등록된 기업은 1주라도 보유 주식수의 변동이 있으면 5일(거래일 기준) 이내에 공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한편 평가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은 맥쿼리인프라로 1679억원어치를 투자중이다. 이어서 신도리코46,200원, ▲750원, 1.65% 903억원, 한섬15,740원, ▲50원, 0.32% 574억원, 에스에프에이21,250원, ▼-50원, -0.23% 569억원 등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평가액 기준 상위 25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단, 투자금액 평가액 기준은 신영자산이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종목을 대상으로 집계됐다. 보유 지분이 5% 이하인 기업에 대해서는 공시의무가 없어 현재 보유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위 기사 표에 나온 신영자산의 지분율에는 일임계약에 따른 보유분도 모두 포함됐다. 채권혼합형 펀드 등 특별관계자 관계에 있는 회사가 보유한 지분은 제외했다.
[한신공영]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1967년 설립된 중견 건설업체 |
|---|---|
| 사업환경 | ▷ 경제성장 속도 둔화와 주택보급률 상승 등으로 건설업의 과거와 같은 급격한 성장세 실현은 어려울 전망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 및 실버산업의 성장, 대규모 복합개발 및 도심재생사업 등은 건설업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음 |
| 경기변동 | ▷ 건설업은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임 |
| 주요제품 | ▷ 국내 건축공사 (65%) ▷ 국내 토목공사 (19%) ▷ 자체공사(9%) *괄호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철근 (21%) ▷ 레미콘 (11%) ▷ 기타 (62%) *괄호안은 매입 비중 |
| 실적변수 | ▷ 부동산가격 상승시 수혜 ▷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시 수혜 ▷ 금리인하시 이자비용 감소(2013년 말 기준 차입금 약 3300억원) |
| 리스크 | ▷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 지속 ▷ 2013년 말 기준 부채비율 351.5%%로 100% 초과 |
| 신규사업 | ▷ 태양, 풍력, 지열 및 신재생에너지사업 진출 선업 - 사전준비와 시장조사 단계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한신공영의 정보는 2014년 09월 1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한신공영]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한신공영]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코암시앤시개발(주) | 최대주주 | 보통주 | 4,253,640 | 42.93 | 4,253,640 | 42.93 | - |
| 계 | 보통주 | 4,253,640 | 42.93 | 4,253,640 | 42.93 | - | |
| - | - | - | - | - | - | ||
[2014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