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외인 매집 동향] 외인, 유진테크 지분 2.29%P↑
최근 20일(거래일 기준) 동안 외국인 투자자가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 지분 2.29%P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아이투자(www.itooza.com)가 지난 20일 동안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 변동을 체크한 결과 이 기간 순매수로 외국인 투자자의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 보유 지분율은 21.3%가 됐다.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의 주식MRI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이다. 주식MRI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KIERI)가 기업의 투자가치를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솔루션이다.
지분율 증가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점수가 가장 높은 기업은 매커스21,850원, ▲200원, 0.92%로 25점 만점 중 20점을 기록했다. 이 외에 주식MRI 점수가 15점 이상인 기업은 고영19,150원, ▲50원, 0.26%, 삼진제약20,100원, ▲300원, 1.52%, 뷰웍스19,210원, ▲210원, 1.11%, 매커스21,850원, ▲200원, 0.92%,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 총 5개가 해당됐다.

주식MRI 분석은 재무건전성을 포함해 수익성장성, 사업독점성, 현금창출력, 밸류에이션 등 5가지 측면에서 개별 주식의 매력도를 측정해 점수화한 것이다. 모두 5가지 부문에서 5점 만점, 총 25점 만점이다. 일반적으로 총점이 15점 이상이면 투자 검토대상, 20점 이상이면 투자 매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금일 20일 누적 지분율 증가 종목 리스트>
고영 내츄럴엔도텍 대현 삼진제약 쎌바이오텍 뷰웍스 보해양조 KT서브마린 크루셜텍 르네코 바이오랜드 에넥스 일경산업개발 인팩 네이블 메디톡스 매커스 유진테크 MH에탄올 세방전지
[2014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24일 아이투자(www.itooza.com)가 지난 20일 동안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 변동을 체크한 결과 이 기간 순매수로 외국인 투자자의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 보유 지분율은 21.3%가 됐다.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의 주식MRI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이다. 주식MRI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KIERI)가 기업의 투자가치를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솔루션이다.
지분율 증가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점수가 가장 높은 기업은 매커스21,850원, ▲200원, 0.92%로 25점 만점 중 20점을 기록했다. 이 외에 주식MRI 점수가 15점 이상인 기업은 고영19,150원, ▲50원, 0.26%, 삼진제약20,100원, ▲300원, 1.52%, 뷰웍스19,210원, ▲210원, 1.11%, 매커스21,850원, ▲200원, 0.92%, 유진테크78,600원, ▲1,400원, 1.81% 총 5개가 해당됐다.

주식MRI 분석은 재무건전성을 포함해 수익성장성, 사업독점성, 현금창출력, 밸류에이션 등 5가지 측면에서 개별 주식의 매력도를 측정해 점수화한 것이다. 모두 5가지 부문에서 5점 만점, 총 25점 만점이다. 일반적으로 총점이 15점 이상이면 투자 검토대상, 20점 이상이면 투자 매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금일 20일 누적 지분율 증가 종목 리스트>
고영 내츄럴엔도텍 대현 삼진제약 쎌바이오텍 뷰웍스 보해양조 KT서브마린 크루셜텍 르네코 바이오랜드 에넥스 일경산업개발 인팩 네이블 메디톡스 매커스 유진테크 MH에탄올 세방전지
[유진테크]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반도체 전(前)공정장비인 LP-CVD(저압화학기상증착) 제조기업 |
|---|---|
| 사업환경 | ▷ IT산업이 스마트 기기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임에 따라 반도체 설비투자 수요 또한 꾸준할 것으로 전망 ▷ 반도체 장비산업은 다품종 소량체체, 3~4년 마다 새로운 장비 교체 수요 발생 |
| 경기변동 | ▷ 경기에 매우 민감한 산업으로 전방업체(반도체 제조기업)의 설비투자에 영향을 받음 ▷ 수주 산업에 속해 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반도체 제조업체보다 큼 |
| 주요제품 | ▷ LP-CVD : 반도체 전공정 저압화학기상증착 장비 (매출 비중 89%) *반응가스간의 화학반응으로 형성된 입자들을 웨이퍼 표면에 증착해 절연막이나 전도성 박막을 형성 - Blue Jay (내수) 가격 : '12년 32억원 → '13년 30억원 → '14년 2분기 30억원 ▷ 기타 원부자재(11%) |
| 원재료 | ▷ 플랫폼 : 웨이퍼 이송장치. - 가격 추이 : 10년 USD 337,000 → 11년 USD 337,000 → 12년 USD 330,000 → 13년 USD 322,000 → 14년 2분기 USD 322,000 ▷ 히터 : 웨이퍼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챔버 내부 부속품. 가격추이 - 가격 추이 : 10년 JPY 4,070,000 → 11년 JPY 4,070,000 → 12년 JPY 4,370,000 → 13년 JPY 4,370,000 → 14년 2분기 JPY 4,130,000 |
| 실적변수 | ▷ 전방산업(IT,반도체) 경기 호황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수혜 ▷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미세공정화 비중 확대 시 수혜 |
| 리스크 | ▷ 반도체 제조업체의 설비투자 계획에 따라 실적 변동 큼 |
| 신규사업 | ▷ 전(前)공정 장비 국산화 연구 개발 지속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유진테크의 정보는 2014년 09월 30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유진테크]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유진테크]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엄평용 | 본인 | 보통주 | 7,498,617 | 35.54 | 7,723,575 | 35.55 | 무상증자 |
| 김창술 | 처남 | 보통주 | 314,524 | 1.49 | 323,959 | 1.49 | 무상증자 |
| 박민이 | 처남댁 | 보통주 | 52,746 | 0.25 | 54,328 | 0.25 | 무상증자 |
| 김성우 | 임원 | 보통주 | 8,910 | 0.04 | 9,177 | 0.04 | 무상증자 |
| 신승우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6,633 | 0.03 | 6,831 | 0.03 | 무상증자 |
| 유차영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6,048 | 0.03 | 9,229 | 0.04 | 취득,매도 |
| 전광열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8,654 | 0.04 | 9,013 | 0.04 | 취득,매도 |
| 정우덕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11,553 | 0.05 | 11,899 | 0.05 | 무상증자 |
| 이종곤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11,624 | 0.06 | 11,972 | 0.06 | 무상증자 |
| 전표만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6,624 | 0.03 | 6,822 | 0.03 | 무상증자 |
| 이종민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5,977 | 0.03 | 11,156 | 0.03 | 무상증자 |
| 이동근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1,474 | 0.01 | 1,518 | 0.01 | 무상증자 |
| 김영대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0 | 0 | 6,521 | 0.03 | 임원선임 |
| 강영묵 | 비등기임원 | 보통주 | 0 | 0 | 28,307 | 0.13 | 임원선임 |
| 계 | 보통주 | 7,933,384 | 37.60 | 8,214,307 | 37.81 | - | |
| 보통주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