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현대백화점, 3일째 상승...성장성 부각?

현대백화점90,100원, ▲800원, 0.9%이 3일 연속 상승세다. 1일 오후1시 45분 현재 전일보다 3.4% 오른 16만6000원을 기록 중이다. 사흘간 상승률은 6.7%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8월 22일 코엑스 무역센터점을 확대 개장 한 바 있다. 영업면적을 56% 늘렸고, 회사는 이에 따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도 백화점의 영업면적 확대는 곧 매출 증가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KTB투자증권은 전일 마감된 지난 3분기의 경우 영업면적 확대 효과에 따라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7%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KTB투자증권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가 예상한 현대백화점의 3분기 매출액(컨센서스)은 3675억원, 영업이익은 781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6%, 10% 만큼 높은 수치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실적은 다소 부진했다. 누적 매출액은 561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88억원으로 5% 느는데 그쳤다. 판관비 증가가 주로 반영돼 수익성이 낮아졌다. 항목별로는 감가상각비, 지급수수료, 용역비의 증가액이 컸다. 점포 확장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지분법 반영 순이익은 1733억원으로 5%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2002년 현대H&S의 백화점사업부문이 분할돼 설립된 회사다. 상장도 같은 해 이뤄졌다. 최대주주는 정지선 대표로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지분 36.16%를 보유하고 있다. 자회사로 백화점 운영사업을 하는 한무쇼핑(지분 46.34%), 부동산 임대업을 하는 현대쇼핑(100%) 그리고 민간투자사업 회사 부현개발(70%), 현대송도개발(100%)이 있다.

롯데, 신세계와 함께 주요 3대 백화점 업체로 올해 상반기 기준 시장점유율은 19.1%다. 압구정 본점을 비록해 총 14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 주식MRI, 상장사 상위 11%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현대백화점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192위(상위 11%)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밸류에이션은 1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주가수익배수(PER)가 12배로 과거 5년 평균치 10배 대비 높은 점 등이 반영된 결과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백화점 업계]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명품 등 고가품 매출 비중이 높은 백화점은 경기 영향을 적게 받고 이익률이 높다. 일반적으로 명품이 백화점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15~20% 정도다. 반면, 수수료 인하정책, 공정성 위반 등 정부 정책이 실적과 주가에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지방백화점들은 제한적인 성장으로 시장에서 저평가돼 거래될 때가 많다. 광주, 대전, 대구 등 해당 지역에 위치한 산업이 호황을 누리면 지방백화점의 실적도 함께 개선된다.

전국: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신세계
지방백화점: 광주신세계, 한화타임월드, 대구백화점, 그랜드백화점

[백화점 업계]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롯데쇼핑 386,500 ▲6,000 (1.6%) 81,903 5,787 4,464 11.9 0.77 6.4%
현대백화점 167,000 ▲6,000 (3.7%) 5,618 1,588 1,338 12.1 1.30 10.8%
신세계 232,000 ▲1,000 (0.4%) 7,605 1,024 751 15 0.96 6.4%
광주신세계 268,000 ▲1,000 (0.4%) 1,023 279 262 8.1 1.11 13.7%
한화타임월드 31,750 ▼800 (-2.5%) 622 171 5 7.6 0.81 10.8%
대구백화점 15,400 ▼250 (-1.6%) 376 14 16 28 0.42 1.5%
그랜드백화점 4,865 ▲25 (0.5%) 323 1 -121 N/A 0.14 -12.7%
0 0 (0%) 0 0 0 N/A 0%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현대백화점]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롯데쇼핑, 신세계와 함께 국내 백화점업계 빅3 형성
사업환경 ▷ 다양한 유통채널 등장,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성장률이 낮아지는 추세
▷ 업황 부진을 탈피하기 위해 백화점업계는 아울렛이나 쇼핑센터 등으로 출점할 것으로 전망
▷ 온라인 쇼핑몰 이용증가와 고령화 및 1~2인 가구 증가로 대형마트 선호도는 낮아지는 추세
경기변동 백화점은 고마진 상품의 비중이 높아 경기변동에 민감
주요제품 백화점 상품매출 (매출 비중 91%)
원재료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 소비 경기 호황시 수혜
▷ 신규 출점시 매출 증가
리스크 ▷ 정부의 경제 민주화 정책에 따른 수수료 인하 가능성
▷ 국내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지속
신규사업 광교신도시 내 신규 출점 계획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현대백화점]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6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5,618 10,261 9,598 8,660
영업이익 1,588 2,792 2,595 2,175
영업이익률(%) 28.3% 27.2% 27% 25.1%
순이익(연결 지배) 1,338 2,227 2,627 2,917
순이익률(%) 23.8% 21.7% 27.4% 33.7%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2.06
이시각 PBR 1.30
이시각 ROE 10.82%
5년평균 PER 10.15
5년평균 PBR 1.36
5년평균 ROE 13.65%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현대백화점]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정몽근최대주주의
보통주616,6442.63616,6442.63-
정지선최대주주
(본    인)
보통주3,998,41917.093,998,41917.09-
현대
그린푸드
계열회사보통주2,819,22612.052,819,22612.05-
현대A&I계열회사보통주1,008,9004.311,008,9004.31-
김근수최대주주의
친 인 척
보통주3,2490.013,2490.01-
경청호임     원보통주13,0000.0613,0000.06-
하병호임     원보통주2,4000.012,4000.01-
보통주8,461,83836.168,461,83836.16-
우선주00.0000.00-
[2013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