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원익머트리얼즈, 영업익 15%↑...예상치 '상회'
2일 증시 개장을 앞둔 가운데 2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원익머트리얼즈30,050원, ▼-200원, -0.66%가 주목된다.
전일 장 마감 후 원익머트리얼즈는 지난 2분기 매출액이 29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늘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약 15% 늘어난 56억4200만원을, 순이익은 약 5% 늘어난 45억3900만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같은 실적 개선은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101,900원, ▲2,600원, 2.62%가 지난 2분기도 스마트폰 판매 호조를 이어가 관련 반도체, LCD 라인이 높은 가동률을 유지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의 시장 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르면 2분기 삼성전자는 종전 최대 판매량인 6940만대(올해 1분기 기록)보다 약 10% 많은 7600만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1분기 스마트폰 글로벌 시장에서 애플을 제치고 1위에 오른 후, 6분기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이번 실적은 대체로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것이다. 매출액은 증권가의 실적 추정치를 1% 밑돌았지만, 영업이익은 추정치를 9% 웃돌았다. 순이익은 증권가 추정치를 3% 밑돌았다. 증권가 추정치는 금융정보 업체인 와이즈에프엔이 집계한 최근 3개월간 증권사가 추정한 실적 평균이다.

원익머트리얼즈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 사용하는 특수가스를 만든다. 세정·식각· 증착·확산·불순물주입 등 각 공정에 사용하는 100여종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암모니아(NH3), 산화질소(NO), N2O(이산화질소), 사수소화게르마늄(GeH4), 디실란(Si2H6)로 총 매출의 약 63%(2013년 1분기 기준)를 차지한다.
원익머트리얼즈가 생산하는 제품은 모두 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소모품으로 고객사의 가동률이 높아지면 수요가 늘게 된다. 원익머트리얼즈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520,500원, ▲1,500원, 0.29% 등 종합 반도체업체이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 삼성전자 LED사업부, LG이노텍, 실트론과도 거래 관계를 맺고 있다.
2분기 실적 시즌 이전까지 국내 증권가에선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에 힘입어 원익머트리얼즈와 같은 특수가스 제조업체가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하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얇고 가벼우면서도 고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스마트기기의 핵심 경쟁력이 되면서 반도체 미세화 공정이 확대돼 특수가스 수요가 늘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하지만 최근엔 프리미엄급 제품 중심으로 수요 증가세가 둔화돼 향후 스마트기기 성장률이 예전만 못할 것이라는 반론이 만만치 않다. 실제로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증권가 기대치인 8000만대를 5% 밑돌자 이같은 우려가 더욱 부각됐다.
향후 스마트기기 시장의 성장성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지만, 프리미엄급 제품의 수요가 둔화할 것이라는 데에선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는 양상이다. 따라서 원익머트리얼즈를 포함한 스마트기기 생태계 내 협력사들의 실적은 중국, 인도 등 브릭스 국가를 중심으로 중저가 스마트기기 수요가 얼마나 빨리 성장하는가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개 분기 합산) 원익머트리얼즈의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2.6배다. 이는 지난 2011년 연말 상장 후 지난 1년 반 동안 평균인 11.8배보다 높은 것이다.
[2013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전일 장 마감 후 원익머트리얼즈는 지난 2분기 매출액이 29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늘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약 15% 늘어난 56억4200만원을, 순이익은 약 5% 늘어난 45억3900만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같은 실적 개선은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101,900원, ▲2,600원, 2.62%가 지난 2분기도 스마트폰 판매 호조를 이어가 관련 반도체, LCD 라인이 높은 가동률을 유지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의 시장 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르면 2분기 삼성전자는 종전 최대 판매량인 6940만대(올해 1분기 기록)보다 약 10% 많은 7600만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1분기 스마트폰 글로벌 시장에서 애플을 제치고 1위에 오른 후, 6분기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이번 실적은 대체로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것이다. 매출액은 증권가의 실적 추정치를 1% 밑돌았지만, 영업이익은 추정치를 9% 웃돌았다. 순이익은 증권가 추정치를 3% 밑돌았다. 증권가 추정치는 금융정보 업체인 와이즈에프엔이 집계한 최근 3개월간 증권사가 추정한 실적 평균이다.

원익머트리얼즈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 사용하는 특수가스를 만든다. 세정·식각· 증착·확산·불순물주입 등 각 공정에 사용하는 100여종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암모니아(NH3), 산화질소(NO), N2O(이산화질소), 사수소화게르마늄(GeH4), 디실란(Si2H6)로 총 매출의 약 63%(2013년 1분기 기준)를 차지한다.
원익머트리얼즈가 생산하는 제품은 모두 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소모품으로 고객사의 가동률이 높아지면 수요가 늘게 된다. 원익머트리얼즈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520,500원, ▲1,500원, 0.29% 등 종합 반도체업체이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 삼성전자 LED사업부, LG이노텍, 실트론과도 거래 관계를 맺고 있다.
2분기 실적 시즌 이전까지 국내 증권가에선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에 힘입어 원익머트리얼즈와 같은 특수가스 제조업체가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하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얇고 가벼우면서도 고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스마트기기의 핵심 경쟁력이 되면서 반도체 미세화 공정이 확대돼 특수가스 수요가 늘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하지만 최근엔 프리미엄급 제품 중심으로 수요 증가세가 둔화돼 향후 스마트기기 성장률이 예전만 못할 것이라는 반론이 만만치 않다. 실제로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증권가 기대치인 8000만대를 5% 밑돌자 이같은 우려가 더욱 부각됐다.
향후 스마트기기 시장의 성장성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지만, 프리미엄급 제품의 수요가 둔화할 것이라는 데에선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는 양상이다. 따라서 원익머트리얼즈를 포함한 스마트기기 생태계 내 협력사들의 실적은 중국, 인도 등 브릭스 국가를 중심으로 중저가 스마트기기 수요가 얼마나 빨리 성장하는가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개 분기 합산) 원익머트리얼즈의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2.6배다. 이는 지난 2011년 연말 상장 후 지난 1년 반 동안 평균인 11.8배보다 높은 것이다.
[아몰레드 관련기업]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AMOLED는 유기물질을 이용해 스스로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가 세계 시장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SMD는 2011초 5.4조원의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5.5세대, 8.5세대 라인의 증설도 계획하고 있다. 후발주자인 LG디스플레이(LGD)는 2013년 이후 대형 아몰레드 TV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아몰레드 투자 확대 수혜]
소재: 덕산하이메탈, 제일모직, CS, 원익머티리얼즈
장비: AP시스템, SFA, 에스엔유, 테스, 톱텍, 주성엔지니어링, DMS, LIG에이디피, 동아엘텍, 아바코, 탑엔지니어링
부품: 삼성전자, 아나패스, 제일모직, 네패스, 엘비세미콘, 실리콘웍스, 티엘아이, LG화학
[아몰레드 투자 확대 수혜]
소재: 덕산하이메탈, 제일모직, CS, 원익머티리얼즈
장비: AP시스템, SFA, 에스엔유, 테스, 톱텍, 주성엔지니어링, DMS, LIG에이디피, 동아엘텍, 아바코, 탑엔지니어링
부품: 삼성전자, 아나패스, 제일모직, 네패스, 엘비세미콘, 실리콘웍스, 티엘아이, LG화학
[아몰레드 관련기업]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덕산하이메탈 | 23,350원 | ▼500원 (-2.1%) | 322 | 92 | 100 | 16.5 | 3.63 | 22% |
| 제일모직 | 87,700원 | ▼1,200원 (-1.4%) | 14,566 | 798 | 792 | 22 | 1.48 | 6.7% |
| CS | 3,810원 | ▼10원 (-0.3%) | 112 | -19 | -17 | N/A | 1.62 | -16.4% |
| AP시스템 | 10,850원 | ▲350원 (3.3%) | 806 | 84 | 66 | 21.6 | 2.61 | 12.1% |
| 에스에프에이 | 56,700원 | ▼100원 (-0.2%) | 1,079 | 171 | 167 | 14.4 | 2.73 | 19% |
| 에스엔유 | 7,450원 | ▲20원 (0.3%) | 134 | 7 | 13 | N/A | 2.04 | -30.1% |
| 테스 | 9,290원 | ▼90원 (-1%) | 100 | -2 | -2 | N/A | 1.57 | -5.4% |
| 톱텍 | 19,050원 | ▲200원 (1.1%) | 650 | 58 | 53 | 34.3 | 2.96 | 8.6% |
| 아나패스 | 14,150원 | ▼200원 (-1.4%) | 217 | 33 | 37 | 8.6 | 1.62 | 18.9% |
| 엘비세미콘 | 2,730원 | ▲30원 (1.1%) | 271 | 19 | 6 | 10.4 | 1.27 | 12.2% |
| 네패스 | 11,750원 | ▼150원 (-1.3%) | 568 | 52 | 50 | 49.5 | 1.65 | 3.3% |
| 주성엔지니어링 | 6,550원 | ▼110원 (-1.6%) | 174 | -107 | -150 | N/A | 2.36 | -85.8% |
| DMS | 3,630원 | ▼25원 (-0.7%) | 318 | 11 | -19 | N/A | 0.67 | -30.9% |
| LIG에이디피 | 5,490원 | ▼130원 (-2.3%) | 87 | -45 | -54 | N/A | 4.95 | -81.5% |
| 동아엘텍 | 7,150원 | 0원 (0%) | 56 | 1 | 4 | 23.2 | 1.11 | 4.8% |
| 아바코 | 5,720원 | ▲100원 (1.8%) | 301 | -14 | -20 | N/A | 1.06 | -1.1% |
| 탑엔지니어링 | 5,170원 | ▼70원 (-1.3%) | 142 | 2 | 11 | 22.6 | 0.64 | 2.9% |
| 실리콘웍스 | 21,850원 | ▲50원 (0.2%) | 929 | 55 | 69 | 9.2 | 1.41 | 15.4% |
| 티엘아이 | 8,470원 | ▲270원 (3.3%) | 151 | 2 | 5 | 51.3 | 0.74 | 1.4% |
| 원익머트리얼즈 | 38,100원 | ▲300원 (0.8%) | 288 | 47 | 35 | 12.6 | 1.71 | 13.6% |
| 비아트론 | 16,050원 | ▲800원 (5.3%) | 104 | 20 | 18 | 13.7 | 3.04 | 22.2%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원익머트리얼즈]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반도체·디스플레이·LED 등의 제조시 사용되는 특수가스 생산업체 |
|---|---|
| 사업환경 | ▷ 반도체 업계는 모바일 시장에 선제적 대응한 한국 회사들의 지배력이 확대되는 추세 ▷ 특수가스는 비교적 소수 업체가 만들며, 점차 국내 생산이 늘어나고 있음 |
| 경기변동 | ▷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시장의 경기변동에 민감 |
| 주요제품 | ▷ 암모니아(NH3)·아산화질소(N2O) 등(63%) : 열처리, 증착, 확산, 박막형성 등에 사용 ▷ 기타 가스(36%)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암모니아, 아산화질소, 산화질소 등 |
| 실적변수 | ▷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업계 생산량 증가시 수혜 ▷ AMOLED 시장 확대시 수혜 |
| 리스크 | ▷ 삼성전자 매출 의존도가 70% 내외로 높음 ▷ 미행사 스탁옵션 총 28만2000주(발행주식 수의 6.6%) - 행사가액 8500원(12만8000주), 행사가능기간 12.9.4~15.9.3 - 행사가액4만4000원(15만4000주), 행사가능기간 15.3.30~18.3.29 |
| 신규사업 | 아몰레드 산업 성장에 따라 N2O 합성공장 세종시에 건설 예정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원익머트리얼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원익머트리얼즈]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원익아이피에스 | 최대주주 | 보통주 | 2,880,000 | 48.7 | 2,880,000 | 46.9 | - |
| 계 | 보통주 | 2,880,000 | 48.7 | 2,880,000 | 46.9 | - | |
| 우선주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