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1Q 분석] 동성화인텍, LNG 덕에 '활짝'

13.06/03
김구민
6월의 첫거래일인 3일 개장을 앞두고 개선된 1분기 실적을 기록한 동성화인텍12,270원, ▲50원, 0.41%의 주가흐름이 관심을 끈다. 전일(5월 31일) 종가는 1.6% 하락한 9290원이다.

동성화인텍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138%늘어난 907억원을 기록했다고 분기보고서에서 밝혔다. 코스닥 업체 중 매출액 증가율로 상위권에 해당한다. 995개 코스닥 상장사 중 13위에 랭크됐다. (관련 자료 : [1Q 리뷰-표] 매출액 증가율 상위 50선 -코스닥)

매출액 증가는 LNG선에 들어가는 단열재 판매량이 늘어난 덕분이다. 지난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LNG개발 프로젝트가 중단 혹은 연기돼 2009년엔 전 세계적으로 LNG선 신규 발주가 단 한 건도 없었다. 하지만 2010년부터 금융 상황이 개선돼 기존 프로젝트가 재개되거나 신규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LNG 업황도 회복세로 돌아섰다. 동성화인텍은 삼성중공업9,160원, ▼-160원, -1.72%에 LNG선박용 단열재를 공급하고 있어 LNG 업황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동성화인텍의 단열재 사업부문은 올해 1분기에 80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180% 증가한 규모다. 현재 수주잔고도 4843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3309억원 보다 46% 높다. 따라서 앞으로도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외형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영업이익은 32억원으로 81% 늘었고, 순이익은 5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 대비 낮았는데, 원가율 상승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매출원가율은 90%로 지난해 1분기보다 4%P 높아졌다.

▷ LNG 단열재 국내 과점업체

동성화인텍은 동성그룹 소속의 단열재 및 판넬 제조사다. 1분기 매출 비중은 '폴리우레탄 단열재 부문' 88%, '가스사업 부문' 11%로 구성됐다. 폴리우레탄 단열재 부문은 가전·건축용·LNG운반선의 단열재를 생산한다. 화인텍은 LNG운반선에 사용하는 보냉재 국내 시장을 한국카본10,790원, ▲440원, 4.25%과 양분하고 있다. 가스 사업 부문은 고압가스 용기, 냉매가스, 소화약재를 생산·판매한다.

1분기 실적을 반영한 주가수익배수(PER)는 53.6배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3.4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6.3%다.


[LNG 플랜트 및 선박 수주 수혜 기업]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일본의 원전 사고 이후 글로벌 에너지 정책은 원전 대신 액화천연가스(LNG)가 강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에서는 LNG가격이 오는 2015년까지 타이트한 수급을 바탕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LNG 생산 확대에 따라 LNG 플랜트 건설, LNG 선박, LNG 기자재 및 부품 생산 기업들의 실적이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LNG 플랜트 및 선박 수주 수혜주]
- 복합화력발전 EPC 업체 :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삼성엔지니어링
- 복합화력발전설비 제작사 : 비에이치아이, 성진지오텍, 대경기계, S&TC
- LNG선박 보냉재 :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 LNG플랜트 및 선박 피팅업체 : 성광벤드, 태광

[LNG 플랜트 및 선박 수주 수혜 기업]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두산중공업 47,050 ▲500 (1.1%) 15,581 1,086 542 677.7 1.27 0.2%
현대중공업 198,000 ▲1,000 (0.5%) 58,212 1,863 2,870 18.6 0.87 4.7%
삼성물산 61,400 ▲300 (0.5%) 44,555 554 464 25.1 0.82 3.3%
현대건설 61,400 ▲1,700 (2.9%) 22,326 1,209 1,000 12.5 1.45 11.6%
GS건설 33,600 ▲550 (1.7%) 14,757 -5,519 -4,100 N/A 0.52 -11.8%
삼성엔지니어링 95,700 0 (0%) 21,492 -638 -415 19.1 2.76 14.4%
비에이치아이 20,600 ▲200 (1%) 1,550 64 0 11 1.96 17.9%
성진지오텍 10,200 ▼200 (-1.9%) 7,032 112 -292 N/A 4.12 -24.1%
대경기계 2,020 ▲25 (1.3%) 436 26 15 13.6 1.55 11.4%
S&TC 19,500 ▲300 (1.6%) 487 56 54 13.1 0.73 5.5%
동성화인텍 9,290 ▼160 (-1.7%) 908 32 5 21.7 3.42 15.7%
한국카본 8,390 ▲190 (2.3%) 1,633 129 93 54.5 1.38 2.5%
성광벤드 27,950 ▲350 (1.3%) 924 198 0 14.5 2.19 15.1%
태광 24,950 ▼50 (-0.2%) 816 108 100 17.9 1.57 8.8%
삼성중공업 33,050 ▲300 (0.9%) 38,787 4,429 3,073 9 1.37 15.3%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동성화인텍]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PU단열재 및 고압가스용기 제조업체
사업환경 ㅇ 글로벌 금융위기 후 LNG-FPSO 수주가 늘어나면서 초저온 보냉재 수요 증가. 그러나 최근 유럽 재정위기가 부각되면서 조선산업은 다시 침체될 가능성 상존
ㅇ 구유가 및 환경규제 대안으로 차량용 CNG 용기 수요 증가할 전망
경기변동 경기에 따른 실적 영향이 큰 산업으로 전방산업 업황에 직접적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 PU단열재: (매출 비중 75%)
ㅇ 가스사업: (매출 비중 24%)
원재료 ㅇ 단열재 등 제조원료: 한국바스프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22%)
ㅇ 초저온 보냉재 제조원료: 포항제철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38%)
ㅇ S/W PANEL: 포항강판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16%)
ㅇ SGC: Huain Zhenda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9%)
ㅇ 방재: YINGPENG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3%)
ㅇ 냉매: YINGPENG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10%)
실적변수 ㅇ 국내 조선사들의 LNG-FPSO 수주 증가 시 수혜
ㅇ CNG 차량 수요 증가 시 수혜
리스크 ㅇ 유동비율이 71%로 100% 미만이며, 부채비율이 254%로 100%를 초과
ㅇ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으로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를 지급할 수 없음
신규사업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동성화인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3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908 2,394 1,776 1,814
영업이익 32 155 -17 115
영업이익률(%) 3.5% 6.5% -1% 6.3%
순이익(지배) 5 101 -93 20
순이익률(%) 0.6% 4.2% -5.2% 1.1%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21.71
이시각 PBR 3.42
이시각 ROE 15.74%
5년평균 PER 37.58
5년평균 PBR 1.89
5년평균 ROE -33.91%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동성화인텍]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동성홀딩스본인보통주9,337,85834.610,036,21837.19콜옵션권리행사에따른주식취득
백정호특수관계자보통주00216,9000.8장내매수
우용환특수관계자보통주0010,0000.04장내매수
보통주9,337,85834.6100,263,11838.03-
우선주-----
[2012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