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한익스프레스, 9일 만에 반등...PER 5배

13.01/29
형재혁

한익스프레스4,635원, ▲35원, 0.76%가 9일 만에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29일 오후 2시 49분 현재 0.5% 오른 2만원에 거래 중이다.

한익스프레스는 일반도로를 이용하는 육상운송, 유통화물의 운송·보관·유통가공을 지원하는 3PL 서비스, 수출입화물 알선·수송의 국제복합운송 서비스, 물류컨설팅 등을 하는 종합물류 업체다. 회사 측에  따르면 화공품, 독극물, 유류 등 특수화물 운송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공시 기준으로 가장 최근 분기인 지난해 3분기의 누적 기준 매출비중은 육상운송 56%, 3PL 27%, 국제물류 16%다.

한익스프레스의 매출액은 김영혜 씨가 회사를 인수한 2010년부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2001년부터 8년간 연평균 3% 늘던 매출액은 2010년엔 전년보다 50% 늘어난 2037억원, 2011년엔 전년보다 15% 늘어난 2350억원을 기록했다. 김영혜씨는 대한화섬111,300원, ▲400원, 0.36%그룹 김승연 회장의 누나로 아들 이석환씨와 함께 한익스프레스 지분 50.7%를 보유 중이다.

최근에도 양호한 실적 성장세가 이어졌다. 지난 3분기 매출액은 6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늘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38억3500만원과 27억3400만원으로 각각 43%와 32% 늘었다. 화물운송사업과 국제물류사업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와 21% 늘어난 결과다.

3분기 실적을 반영하는 연환산 기준(최근 4개 분기 실적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4.7배로 5년 평균 5.2배보다 낮게 거래되고 있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37%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한익스프레스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2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638위(상위 37%)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한다.

하지만 재무 안전성은 2점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 3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이 100%를 초과하고, 최근 4개 분기의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영업활동 현금흐름 가운데 마이너스를 기록한 분기가 있는 점 등이 반영됐다.

현금 창출력도 0점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를 기록한 점 등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물류·항만 업체]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물류산업은 경제성장률, 수출입물동량, 내수시장 등에 영향을 받는다. 비용절감의 핵심으로 인식돼 인력 및 장비 등에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권물류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항만은 육상운송과 해상운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수출입 화물의 선박에 물건을 싣고 내리는 작업, 보관, 장치, 운송 등 유통과정을 담당한다. 항만은 단순한 하역공간에서 보관, 판매, 금융 등이 동시에 이뤄지는 종합물류서비스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경제가 성장하고 교역량이 늘어나 수출입 화물이 늘어나면 관련 업체의 실적이 좋아진다.

[주요기업]
동방, 선광, 세방, KCTC, 대한통운(CJ 계열), 한익스프레스, 세중, 인터지스(동국제강 계열), 현대글로비스(현대차 계열)

[물류·항만 업체]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동방 3,410 ▲40 (1.2%) 3,608 153 40 9.7 0.52 5.3%
선광 22,900 ▲450 (2%) 907 186 137 242.8 0.53 0.2%
세방 17,500 ▼100 (-0.6%) 4,278 448 299 3.7 0.47 12.6%
KCTC 15,300 ▼100 (-0.7%) 1,574 60 28 N/A 0.31 -2.1%
CJ대한통운 118,500 0 (0%) 18,532 969 758 23.2 1.17 5.1%
한익스프레스 20,450 ▲550 (2.8%) 1,876 58 40 4.5 1.15 25.6%
세중 4,160 ▼160 (-3.7%) 618 104 77 7 1.23 17.7%
인터지스 7,850 ▲100 (1.3%) 3,307 168 123 20.9 0.59 2.8%
현대글로비스 203,500 ▲3,500 (1.8%) 69,517 3,387 3,042 15.9 4.10 25.7%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한익스프레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육상화물운송을 주력으로 하는 종합물류 업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누나 김영혜씨가 최대주주
사업환경 ㅇ 국내 기업화물 운송 시장은 대기업이 계열사 혹은 특정 물류사와 독점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따라서 신규 진입이 쉽지 않음. 예) 현대차 - 현대글로비스, LG-범한판토스, CJ-CJ대한통운 등
ㅇ 원재료 조달에서 완제품 소비에 이르는 일괄 서비스를 제공하는 3자물류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
경기변동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육상, 해상 물동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 육상운송 : 일반도로를 이용해 운송 (매출비중 56%)
ㅇ 국제물류 : 운송 주선 (27%)
ㅇ 유통물류 : 3PL. 국내 유통화물의 운송, 보관, 유통가공 지원 (16%)
원재료 ㅇ 경유 (매입비중 49%)
ㅇ 차량부품, 타이어 (51%)
실적변수 ㅇ 경기 호황으로 물동량 증가시 수혜
ㅇ 유가 하락시 원가 절감으로 수익성 상승
리스크 ㅇ 경기에 민감한 산업으로 물동량 증감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매우 클 수 있음
ㅇ 유가 상승시 원가 상승
신규사업 ㅇ 바이오에너지 사업
ㅇ 플랜트 물류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한익스프레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9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1,876 2,351 2,037 1,351
영업이익(보고서) 58 80 82 61
영업이익률(%) 3.1% 3.4% 4% 4.5%
영업이익(K-GAAP) 58 79 79 61
영업이익률(%) 3.1% 3.4% 3.9% 4.5%
순이익(지배) 40 -69 58 38
순이익률(%) 2.1% -2.9% 2.8% 2.8%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4.49
이시각 PBR 1.15
이시각 ROE 25.55%
5년평균 PER 5.15
5년평균 PBR 1.26
5년평균 ROE 8.42%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한익스프레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김영혜본인보통주309,26125.77309,26125.77장외매매
이석환특수관계인보통주300,00025.00300,00025.00장외매매
보통주609,26150.77609,26150.77-
------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