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삼강엠앤티 2%↑...유가 상승 기대감?

13.01/29
형재혁
최근 유가가 상승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삼강엠앤티 주가가 5일 만에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29일 오후 1시 39분 현재 2.5% 오른 4850원에 거래 중이다.

전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미 서부텍사스유(WTI) 선물 3월물 가격은 전날보다 0.58% 오른 96.44달러(배럴당)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초 기록한 배럴당 84.44달러 보다 14% 상승한 것이다

삼강엠앤티는 조선용 블록과 후육강관을 만드는 업체다. 공시 기준으로 가장 최근 분기인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비중은 조선용 블록 69%, 후육강관 30%다. 주 거래처인 삼성중공업9,160원, ▼-160원, -1.72%이 고부부가가치인 해양자원 개발용 특수 선박과 해양플랜트 비중을 늘림에 따라, 유가가 강세를 보이면 삼강엠앤티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조선용 블록은 선체를 구성하는 철 구조물이다. 삼강엠앤티는 800톤 규모의 대형 크레인을 확보하고 있어 초대형 블록 생산에 강점을 갖췄다. 후육강관은 두께 20mm를 초과하는 두꺼운 철판(후판)으로 만든 파이프 라인이다. 삼강엠앤티이 만든 후육강관은 주로 해양플랜트와 선박 구조물, 원유·가스 이송용으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후육강관이 주로 육상 자원 이송용으로 사용됐지만, 최근  심해 자원 개발이 증가해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와 드릴쉽과 같은 특수선박과 해양플랜트용 후육강관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3분기 삼강엠앤티의 매출액은 4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줄었다. 매출 감소에도 매출원가는 오히려 늘어 영업이익과 순이익 감소 폭은 더욱 컸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4% 줄어든 2억7600만원을 기록했고, 순손익은 전년 동기 12억8400만원 흑자에서 16억5600만원 적자로 돌아섰다. 순손익이 적자로 돌아선 것은 총 자산에 59%(3분기 말 기준)에 이르는 차입금으로 인한 이자 영향이 컸다. 3분기 금융비용은 23억5500만원으로 영업이익의 8.5배에 달했다. 

3분기 주당순자산(BPS)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7배로 5년 평균 2.2배보다 낮게 거래되고 있다. 최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로 5년 평균 5%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한편, 삼강엠앤티가 지난해 9월 30일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했다. 현재 미상환된 신주인수권 증권의 권면총액은 160억원으로, 행사가액 4940원에 총 323만8866주의 보통주(현재 총 발행 주식의 25.3%)로 전환될 수 있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1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삼강엠앤티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72위(상위 1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보통으로 위험은 높지 않은 편이다.

다만 사업 독점력에서 2점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장기부채가 3분기 연환산 순이익(최근 4개 분기 순이익 합산)의 3배를 초과하고, 최근 3년 평균 ROE가 6%로 아이투자 기준이 15%에 미치지 못한 점 등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플랜트 및 플랜트 기자재 -중동 플랜트 발주 확대 수혜]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플랜트는 공장 뿐 아니라 발전과 담수 등 산업기반시설과 산업기계 등 생산시설을 의미한다. 건설사는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발전소, 조선사는 해양 시추설비와 생산설비 등을 주로 만든다.

플랜트 발주는 국제 유가가 오를수록 증가한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유가 상승으로 정유, 화학 플랜트의 발주가 늘었다. 세계 플랜트 시장에서 국내 업체의 수주 비중은 5~6%며 해외 수주 가운데 중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70%로 가장 높다.

2012년 카타르, 사우디, UAE 등 중동국가들이 오일머니를 이용한 공동투자 계획을 구체화하면서 플랜트 관련 업체의 수주 소식이 이어졌다. 삼성물산은 2.9억 달러 규모의 카타르 '루사일' 신도시 내부 도로공사를, 현대건설은 15억 달러 규모의 알루미나 제련공사 시설을 수주했다.

또한 미국이 셰일가스(암석에 매장된 메탄가스) 개발에 나서면서 복합화력 발전소 분야도 수주 기회가 많아질 전망이다.

[플랜트 발주 확대 수혜 기업]

<플랜트>
육상: 현대건설, 두산중공업, 삼성물산, GS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해양: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플랜트 기자재>
발전설비: S&TC, 비에이치아이
피팅밸브 : 태광,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 디케이락, 비엠티, 엔에스브이
단조부품 : 태웅, 현진소재, 마이스코
후육강판 : 스틸플라워, 삼강엠앤티
기타: 대경기계, 티에스엠텍, KC코트렐, 세원셀론텍, 제이엔케이히터, 성진지오텍

[플랜트 및 플랜트 기자재 -중동 플랜트 발주 확대 수혜]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두산중공업 46,550 ▲100 (0.2%) 55,318 4,116 2,180 15.7 1.00 6.4%
현대중공업 217,500 ▲2,500 (1.2%) 183,179 11,836 12,061 11.9 0.95 8%
대우조선해양 29,500 ▲1,200 (4.2%) 91,837 3,941 1,803 16.8 1.14 6.8%
삼성중공업 37,700 ▲550 (1.5%) 109,088 8,551 6,735 9.5 1.63 17.1%
S&TC 16,400 0 (0%) 1,819 98 75 9.9 0.64 6.4%
대경기계 2,170 ▲90 (4.3%) 1,976 130 53 N/A 1.67 -17.9%
티에스엠텍 5,970 ▼30 (-0.5%) 2,543 130 32 6.4 0.68 10.7%
KC코트렐 11,050 ▲50 (0.5%) 2,037 69 84 13.9 1.69 12.2%
세원셀론텍 3,710 ▲35 (0.9%) 2,065 116 41 N/A 1.19 -9.3%
태광 21,800 ▲100 (0.5%) 2,549 342 261 13.7 1.38 10.1%
성광벤드 22,900 ▲200 (0.9%) 2,588 542 403 14 1.86 13.3%
하이록코리아 19,750 ▼350 (-1.7%) 1,390 300 226 9.6 1.54 16%
디케이락 9,620 ▼150 (-1.5%) 352 78 60 9.1 1.23 13.4%
비엠티 5,740 ▼180 (-3%) 329 40 27 18.7 0.88 4.7%
엔에스브이 2,830 ▼5 (-0.2%) 345 22 3 N/A 0.89 -0.3%
태웅 19,550 ▼200 (-1%) 3,383 108 76 30.8 0.71 2.3%
현진소재 6,900 ▼10 (-0.1%) 2,822 93 16 58.8 0.51 0.9%
제이엔케이히터 11,150 ▲50 (0.5%) 789 67 76 11.4 1.21 10.6%
비에이치아이 28,400 ▼450 (-1.6%) 3,297 209 188 16.3 3.29 20.2%
스틸플라워 8,550 ▲20 (0.2%) 2,108 170 75 18.2 1.02 5.6%
삼강엠앤티 4,850 ▲120 (2.5%) 1,496 66 -2 12.5 1.64 13.1%
성진지오텍 10,150 ▼100 (-1%) 5,577 120 -65 N/A 3.38 -21.3%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삼강엠앤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선박 블록 및 해양플랜트 후육강관 제조업체. 주 매출처는 삼성중공업
사업환경 ㅇ 대규모 장치산업이자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중국 등 신흥국의 후발업체들과 경쟁이 치열함
ㅇ 세계 경기 침체로 국내 주요 조선사의 신규 선박 수주량은 감소하는 추세임
ㅇ 고유가에 따른 자원개발 수요 증가로 해양플랜트, 특수 선박 발주는 꾸준함 편임
경기변동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국내 조선사 신규수주, 유가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 선박용 블록 : 선박 선체를 구성하는 철판 (매출비중 69%)
ㅇ 후육강관 : 해양플랜트의 구조물, 송유관, 가스관으로 사용 (매출비중 31%)
원재료 ㅇ 후판 (100%)
실적변수 ㅇ 삼성중공업 신규 수주량 증가시 수혜
ㅇ 유가 상승시 자원개발 수요 증가로 수혜
ㅇ 후판 가격 하락시 원가 개선
리스크 ㅇ 높은 삼성중공업 의존도
ㅇ 경기민감형 산업에 속해 호황기와 침체기의 실적 차이가 매우 클 수 있음
신규사업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삼강엠앤티]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9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1,496 1,927 1,526 974
영업이익(보고서) 66 175 81 28
영업이익률(%) 4.4% 9.1% 5.3% 2.9%
영업이익(K-GAAP) 63 176 81 28
영업이익률(%) 4.2% 9.1% 5.3% 2.9%
순이익(지배) -2 71 6 -35
순이익률(%) -0.1% 3.7% 0.4% -3.6%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2.49
이시각 PBR 1.64
이시각 ROE 13.09%
5년평균 PER 25.49
5년평균 PBR 2.21
5년평균 ROE 5.12%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삼강엠앤티]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송 무 석최대주주본인보통주1,810,00028.283,620,00028.28-
송 정 석최대주주본인보통주1,760,00027.503,520,00027.50-
김 재 곤송정석의처남보통주220,0003.44440,0003.44-
우 동 섬임         원보통주1,6130.033,2260.03-
강 숙 희특수관계인보통주89,7001.40179,4001.40-
송 민 아특수관계인보통주50,0000.78100,0000.78-
김 명 학임         원보통주2,1000.034,2000.03-
보통주3,933,41361.467,866,82661.46-
기타-----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