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니분석] 극동유화, 성장성 돋보이는 윤활유 회사
'경제 위기'라는 말이 거의 일상화될 정도로, 거시 경제와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날로 깊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극동유화3,325원, ▲20원, 0.61%가 올해 들어 매분기 영업이익을 늘리고 있어 주목된다.
2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 회사의 영업이익은 1분기와 2분기 49억원과 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9%와 47% 늘어난 데 이어, 3분기도 41억원으로 25% 늘었다. 영업이익은 K-GAAP 기준(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이다.
▷ 윤활유 제조사...2008년부터 높은 매출 성장
극동유화는 윤활유와 방수시트를 제조하고, LPG를 판매한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비중은 윤활유 66%, LPG 23%, 방수시트 10%다. 윤활유 부문은 산업용 윤활유와 유동파라핀에서 4:1 비중으로 매출이 발생한다. 산업용 윤활유는 주로 기계유에 사용되며, 유동파라핀(White Oil)은 의약품, 화장품에 사용한다. LPG 부문은 현대오일뱅크와 4개 LPG충전소 임차 계약을 체결해 운영하고 있다.
이 회사 매출은 2008년부터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2008년 전년 동기 대비 약 56% 늘어난 후, 2009년 주춤했지만 2010년부터 2년 연속 30% 내외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매출액은 3156억원으로 2007년 이후 4년 만에 146% 늘었다.
이는 주력 제품인 윤활유의 수출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극동유화의 윤활유 내수 판매물량은 2001년 25만1473 D/M이었지만, 이후 감소세가 지속돼 지난해 2001년 대비 27% 줄어든 18만4390 D/M을 기록했다. 반면, 윤활유 수출물량은 2005년부터 높은 증가세를 지속, 지난해 2001년 대비 287% 늘어난 32만7380 D/M를 기록했다.
이에 더해 지난해 6월 1일 현대오일뱅크와 4개 LPG충전소 임차 계약을 맺은 것도 매출 증가에 힘을 보탰다. 2001년 이후 3만 R/L에 머물던 LPG 판매량은 지난해 5만5166 R/L으로 늘었다.

▷ 영업이익률...원재료와 판매단가 추이 및 환율이 주요 변수
꾸준한 증가 중인 매출과는 대조적으로 영업이익률은 2008년 6.9%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매년 하락해 지난해 4.3%를 기록했다. 이는 수출 물량이 늘어나 환율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환율 급등으로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가, 이후 환율 하락과 함께 수익성이 낮아진 과정으로 분석된다. 2001년 19%에 머물던 수출 비중은 2008년 38%로 높아진 후 2009년부터 40%대를 유지하고 있다.
2008년 이전 극동유화의 수익성은 주로 윤활유 원재료인 윤활기유(Base Oil) 매입단가와 유동파라핀의 판매단가의 차이(스프레드)의 영향을 받았다. 지난 2003년과 2004년 영업이익률은 최근 10년래 최저 수준인 1%와 1.1%를 기록했다. 윤활기유 매입단가는 각각 전년 대비 28%와 4% 상승했지만, 유동파라핀 판매단가는 2년 연속 제자리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5년과 2007년 사이에는 윤활기유 매입단가와 유동파라핀 판매단가가 연동되면서 2~4.3%를 기록했다.
한편, 올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5.9%로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분산효과와 더불어 스프레드가 개선된 결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 윤활기유 매입단가는 리터당 128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내렸지만, 유동파라핀 내수와 수출 판매단가는 각가 12%와 13% 상승했다.
극동유화는 윤활기유를 SK이노베이션116,500원, ▲5,500원, 4.95%, S-Oil80,300원, ▼-100원, -0.12%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윤활기유는 원유를 분별증류한 뒤 고체 등 불순물을 제거해서 만든다.

▷ 밸류에이션은? PER 5.5배, PBR 0.7배
극동유화의 3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5.5배 5년 평균과 거의 같다. 3분기 주당순자산(BPS)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7배로 5년 평균 0.6배보다 높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로 5년 평균 11.5%보다 높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21%
다만 소비자 독점력이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2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 회사의 영업이익은 1분기와 2분기 49억원과 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9%와 47% 늘어난 데 이어, 3분기도 41억원으로 25% 늘었다. 영업이익은 K-GAAP 기준(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이다.
▷ 윤활유 제조사...2008년부터 높은 매출 성장
극동유화는 윤활유와 방수시트를 제조하고, LPG를 판매한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비중은 윤활유 66%, LPG 23%, 방수시트 10%다. 윤활유 부문은 산업용 윤활유와 유동파라핀에서 4:1 비중으로 매출이 발생한다. 산업용 윤활유는 주로 기계유에 사용되며, 유동파라핀(White Oil)은 의약품, 화장품에 사용한다. LPG 부문은 현대오일뱅크와 4개 LPG충전소 임차 계약을 체결해 운영하고 있다. 이 회사 매출은 2008년부터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2008년 전년 동기 대비 약 56% 늘어난 후, 2009년 주춤했지만 2010년부터 2년 연속 30% 내외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매출액은 3156억원으로 2007년 이후 4년 만에 146% 늘었다.
이는 주력 제품인 윤활유의 수출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극동유화의 윤활유 내수 판매물량은 2001년 25만1473 D/M이었지만, 이후 감소세가 지속돼 지난해 2001년 대비 27% 줄어든 18만4390 D/M을 기록했다. 반면, 윤활유 수출물량은 2005년부터 높은 증가세를 지속, 지난해 2001년 대비 287% 늘어난 32만7380 D/M를 기록했다.
이에 더해 지난해 6월 1일 현대오일뱅크와 4개 LPG충전소 임차 계약을 맺은 것도 매출 증가에 힘을 보탰다. 2001년 이후 3만 R/L에 머물던 LPG 판매량은 지난해 5만5166 R/L으로 늘었다.

▷ 영업이익률...원재료와 판매단가 추이 및 환율이 주요 변수
꾸준한 증가 중인 매출과는 대조적으로 영업이익률은 2008년 6.9%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매년 하락해 지난해 4.3%를 기록했다. 이는 수출 물량이 늘어나 환율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환율 급등으로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가, 이후 환율 하락과 함께 수익성이 낮아진 과정으로 분석된다. 2001년 19%에 머물던 수출 비중은 2008년 38%로 높아진 후 2009년부터 40%대를 유지하고 있다.
2008년 이전 극동유화의 수익성은 주로 윤활유 원재료인 윤활기유(Base Oil) 매입단가와 유동파라핀의 판매단가의 차이(스프레드)의 영향을 받았다. 지난 2003년과 2004년 영업이익률은 최근 10년래 최저 수준인 1%와 1.1%를 기록했다. 윤활기유 매입단가는 각각 전년 대비 28%와 4% 상승했지만, 유동파라핀 판매단가는 2년 연속 제자리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5년과 2007년 사이에는 윤활기유 매입단가와 유동파라핀 판매단가가 연동되면서 2~4.3%를 기록했다.
한편, 올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5.9%로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분산효과와 더불어 스프레드가 개선된 결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 윤활기유 매입단가는 리터당 128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내렸지만, 유동파라핀 내수와 수출 판매단가는 각가 12%와 13% 상승했다.
극동유화는 윤활기유를 SK이노베이션116,500원, ▲5,500원, 4.95%, S-Oil80,300원, ▼-100원, -0.12%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윤활기유는 원유를 분별증류한 뒤 고체 등 불순물을 제거해서 만든다.

▷ 밸류에이션은? PER 5.5배, PBR 0.7배
극동유화의 3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5.5배 5년 평균과 거의 같다. 3분기 주당순자산(BPS)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7배로 5년 평균 0.6배보다 높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로 5년 평균 11.5%보다 높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21%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극동유화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5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371위(상위 21%)를 차지했다.
다만 소비자 독점력이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현금 창출력 점수는 1점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는 2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순이익보다 적고, 최근 4개 분기 중 연환산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분기가 1개 이상이며, 잉여현금비율이 7% 미만인 점 등이 반영된 결과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극동유화]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윤활유 생산 및 부산, 경남권 LPG 판매회사 |
|---|---|
| 사업환경 | ㅇ윤활유 부문은 ㅇLPG 가격이 고시제도에서 자율제도로 전환돼 업체간 경쟁심화 |
| 경기변동 | ㅇ국내외 경기 및 산업·생산 가동률과 밀접 ㅇ수요가 비교적 꾸준해 매출 규모 변동은 크지 않음 |
| 주요제품 | ㅇ윤활유 : 기계유 등(매출 비중 46%) ㅇ유동파라핀 : PS 가소제(매출 비중 12%) ㅇLPG : 난방취사용, 자동차용(매출 비중 36%) |
| 원재료 | ㅇ윤활유(조유, 아로마) : S-Oil 등에서 매입(매입 비중 15%) ㅇ유동파라핀(기유 등) : S-Oil, SK 등에서 매입(매입 비중 8%) ㅇLPG(상품, 매입 비중 45%) |
| 실적변수 | ㅇ유가 상승시 이익률 개선 ㅇ산업 가동률 증가시 윤활유 수요 증가 ㅇLPG 차량 증가시 수혜 |
| 리스크 | ㅇ자산 대비 높은 차입금 비중(31%) |
| 신규사업 | 현대오일뱅크와 4개의 LPG충전소 임차 계약을 체결해 운영 중(2011.6월~)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극동유화]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극동유화]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장홍선 | 최대 주주 | 보통주 | 964,358 | 27.66 | 964,358 | 27.66 | - |
| 장인우 | 특수 관계인 | 보통주 | 33,041 | 0.95 | 33,041 | 0.95 | - |
| 장인주 | 특수 관계인 | 보통주 | 184,083 | 5.28 | 184,083 | 5.28 | - |
| 장선우 | 특수 관계인 | 보통주 | 286,073 | 8.20 | 286,073 | 8.20 | - |
| 계 | 보통주 | 1,467,555 | 42.09 | 1,467,555 | 42.09 | - | |
| 우선주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