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니분석] 화신정공, 차량 경량화 집중

최근 차량 연비효율 제고 움직임과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자동차 경량화 추세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부품을 작고 가볍게 만드는 회사들이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다.

 

화신정공도 관련 기업 중 하나다. 그러나 증권사 커버리지 밖에 있고 시가총액이 500억원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고 있다.

 

▷ 화신 계열의 자동차 샤시용 부품업체

 

화신정공1,298원, ▼-4원, -0.31%은 자동차 샤시용 부품을 주력으로 만드는 회사다. 그 밖에도 정밀가공부품, 슬리팅 제품 등도 제조한다. 1991년에 설립돼 지난해 8월 HMC스팩(SPAC)과의 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이 회사는 화신7,700원, ▲150원, 1.99%의 계열사로 최대주주(지분율 0.58%)가 정호 화신 회장이다. 화신정공은 화신 지분 6.68%를 보유하고 있고, 화신은 화신정공 지분을 1.97% 소유하고 있다.

 

 

샤시(Chassis) 부품은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고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제품으로 진동과 소음을 방지한다. 정밀가공부품은 후륜구동형 차축식(Rigid Axle) 현가계에 사용되며 구동축을 감싸고 타이어의 축하중을 차체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리팅 제품은 차량용 철판으로 지난 3월 경산 2공장이 가동되면서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한 신규 품목이다. 제품별 매출 비중은 샤시류 31%, 정밀가공부품 22%, 보수용부품 11%, 기타 8%, 슬리팅제품 28%다.

 

 

화신정공이 만든 부품은 화신7,700원, ▲150원, 1.99%, 새화신, 현대모비스298,000원, ▲4,500원, 1.53%, 현대다이모스, 한국GM 등으로 공급된다. 업계에 따르면 화신 계열향 매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화신은 부품을 받아 샤시와 차체 부품을 제작해 현대차에, 새화진은 기아차에 납품한다.

 

한편 아이투자는 관계사인 화신과 화신테크를 '승부주' 코너에서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의 승부주'란 잘 알려지지 않은 저평가 우량주 중에서 외국인 등 '큰 손' 투자자들이 지분을 확대하는 주식을 말한다.

 

(바로가기: [승부주] 화신, 현대차 플랫폼 통합 기대)

(바로가기: [승부주] 화신테크, 자동차 차체 금형 생산

 

▷ 계열사 효과 + 신제품 개발로 경쟁력↑...'경량화' 집중

 

화신정공은 해외 계열사가 없지만, 전방업체인 화신이 미국과 중국, 인도, 브라질에 자회사를 두고 있어 해외 진출 효과를 누리고 있다. 이로써 현대·기아차 해외공장 대부분에 납품이 가능하며, 이들의 출하량 및 판매량이 늘면 수혜를 입는 구조다.

 

화신정공은 올 상반기 현대·기아차의 판매 호조와 슬리팅 제품의 매출 발생으로 양호한 실적을 내놨다. 상반기 매출액은 8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6% 늘어난 51억8100만원, 순이익은 23% 증가한 41억원을 기록했다. 원가율이 오르면서 이익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슬리팅 제품의 수익성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고품질 부품 생산과 매출처 다각화를 위해 꾸준히 연구·개발하고 있다. 최근엔 차량 경량화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특허 출원 중에 있는 정밀가공부품인 일체형 액슬 하우징(Axle Housing)이 대표적이다. 액슬 하우징은 종감속장치나 차동장치로부터 휠샤프트까지의 구동부를 지지하고 브레이크나 서스펜션과 연결된 케이스를 말한다. 쉽게 페달 중심축으로 통용된다.

 

이 회사가 만드는 일체형 액슬 하우징은 원가와 중량을 10% 가량 줄인 제품으로 소형 상용차와 승합차에 주로 적용된다. 매출처 다각화를 위해 전면에 내세운 부품 중 하나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초로 알루미늄 샤시부품도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양산 중인 이 제품은 기존보다 무게가 가벼워 차량 경량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재무 안전성 갖췄으나 CB 부담
 

이 회사의 재무 안전성은 양호한 편이다. 단기 지급능력 지표인 유동비율은 131%, 타인자본 의존도 지표인 부채비율은 42%다. 이자 지급이 필요한 부채 규모를 나타내는 차입금 비중은 4%로 무차입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100%를 상회하고 부채비율은 100% 미만이면 건전한 수준으로 판단한다. 차입금 비중은 40%를 넘어갈 경우 위험 수준으로 본다.

 

 

그러나 현재 발행돼 있는 전환사채(CB)는 부담요인이다. 전환가능한 주식수는 225만주로 전체 유통주식수(3572만주)의 6% 규모다. 만기일은 2014년 04월 29일이며 전환가액은 1000원이다. 보유 주체는 HMC투자증권(56.94%), 과학기술인공제회(7.83%), 사립학교교직원연금관리공단(15.3%), NICE F&I(4.63%), 한국종합캐피탈(15.30%) 등이다.

 

전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생주식수는 3797만주로 늘어난다. 이 경우 2분기 실적을 반영한 최근 4분기 합산 주당순이익(EPS)는 종전 67원에서 63원으로 떨어진다. 주당순자산(BPS)도 2080원에서 1956원으로 내려간다.

 

한편 이 회사의 자기자본이익률(ROE) 3.2%다. 주가수익배수(PER)는 21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8배다. CB 전환 시 PER은 23배, PBR은 0.73배다.

 

ROE가 높을수록 기업의 효율·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보며, PER과 PBR은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한다. 지표 산정은 자회사들의 이익을 더한 지배지분 연결순이익으로 최근 4분기 합산 기준이다.

 

 

 

 

 



[차량경량화]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고유가, 환경문제 부각으로 자동차 연비향상이 자동차 업계 화두로 떠올랐다. 자동차 무게의 70%를 차지하는 금속을 성능을 유지한 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이나 섬유소재로 대체해 차량 무게를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최대 자동차시장인 중국은 2015년부터 17.9km/L로 연비규제를 강화한다. 우리나라도 2015년부터 연비를 17km/L로 강화할 예정이다. 이에 가볍고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는 고기능성 소재 업체 중심의 수혜가 전망된다.

[관련기업]
현대EP: 복합PP(폴리 프로필렌), PE(폴리 에틸렌) 사업
한화케미칼: 자회사 한화L&C(GMT(섬유강화복합소재) 소재 및 부품 공급업체)
코오롱플라스틱: 폴리아세탈(POM) 생산시설 확충
에코플라스틱: 주력인 플라스틱 범퍼 현대차 울산공장 82% 점유.
코프라: 차량경량화에 필요한 고기능성 폴리머 생산.

[차량경량화]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현대EP 5,190 ▲30 (0.6%) 3,410 109 73 11.5 1.36 11.8%
한화케미칼 21,000 ▼200 (-0.9%) 17,676 959 1,428 N/A 0.73 -0.5%
코오롱플라스틱 6,000 ▲130 (2.2%) 1,222 68 44 14.7 1.86 12.6%
에코플라스틱 2,370 0 (0%) 2,671 16 11 3.7 0.43 11.6%
코프라 6,930 ▲30 (0.4%) 470 38 31 11.4 1.65 14.5%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화신정공]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자동차 부품(샤시, 정밀가공품, 보수용부품) 제조업체
사업환경 ㅇ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현대·기아차 글로벌 점유율 상승으로 수혜를 받고 있음
ㅇ 한미FTA,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부품 구매 다변화 추세는 국내 자동차 부품 기업들에 기회요인
ㅇ 엔고, 대지진으로 어려움을 겪어 왔던 일본차 업체들의 경쟁력 회복은 위협 요인
경기변동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완성차 업체의 생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 샤시류: (매출 비중 32%)
ㅇ 정밀가공부품: (매출 비중 25%)
ㅇ 보수용부품: (매출 비중 14%)
원재료 ㅇ ARM 류: (매입 비중 22%)
ㅇ 보수용부품: (매입 비중 12%)
ㅇ Axle Housing: (매입 비중 4%)
ㅇ Spindle Plate: (매입 비중 11%)
ㅇ Member 류: (매입 비중 13%)
실적변수 현대·기아차 완성차 판매대수 증가시 수혜
리스크 ㅇ 완성차 업체의 판매단가 압력
ㅇ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며, 잉여현금흐름이 (-)인 등 현금 창출력 낮음
신규사업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화신정공]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6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844 1,107 847 693
영업이익(보고서) 52 23 52 33
영업이익률(%) 6.2% 2.1% 6.1% 4.8%
영업이익(K-GAAP) 45 18 52 33
영업이익률(%) 5.3% 1.6% 6.1% 4.8%
순이익(지배) 41 16 47 36
순이익률(%) 4.9% 1.4% 5.5% 5.2%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21.75
이시각 PBR 0.69
이시각 ROE 3.16%
5년평균 PER 22.46
5년평균 PBR 0.82
5년평균 ROE 3.16%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화신정공]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정 호본인보통주3,780,012 10.753,780,012 10.58-
정재형보통주3,780,012 10.753,515,012 9.84-
류한섭매제보통주2,913,928 8.292,913,928 8.16-
박영관조카보통주971,309 2.76971,309 2.72-
정란희보통주971,309 2.76971,309 2.72-
손병태조카보통주582,785 1.66582,785 1.63-
손혜영조카보통주582,785 1.66582,785 1.63-
손병욱조카보통주582,785 1.66582,785 1.63-
손은주조카보통주582,785 1.66582,785 1.63-
정서진보통주485,654 1.38485,654 1.36-
정혜선보통주485,654 1.38485,654 1.36-
정희진보통주485,654 1.38485,654 1.36-
정유진조카보통주485,654 1.38485,654 1.36-
정진석조카보통주485,654 1.38485,654 1.36-
정승원조카보통주485,654 1.38485,654 1.36-
손혜란조카보통주291,392 0.83291,392 0.82-
김상국질서보통주291,392 0.83291,392 0.82-
임지현질서보통주194,261 0.55194,261 0.54-
김창곤매제보통주194,761 0.55194,761 0.55-
성기준생질보통주194,261 0.55189,261 0.53-
성기인생질보통주194,261 0.55194,261 0.54-
오인배계열사임원보통주291,392 0.83285,392 0.80-
최대환계열사임원보통주194,261 0.55184,548 0.52-
임병덕계열사임원보통주97,130 0.2897,130 0.27-
이정수임원보통주43,645 0.1243,645 0.12-
㈜화신계열사보통주692,000 1.97692,000 1.94-
(주)월드오토트레이딩계열사보통주753,523 2.141,018,523 2.85-
보통주21,093,91359.9921,073,200 58.99-
-0000-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