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대한약품 8%↑…작지만 '꾸준'
대한약품29,800원, ▲250원, 0.85%이 급등세다. 19일 오후 1시 59분 현재 8.8% 급등한 1만3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4일 연속 상승세다.
이는 주가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과 약가인하 정책에도 꾸준한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대한약품은 지난 1월 26일 2만140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조정세가 이어져 현재 주가는 최고가 대비 약 37% 하락한 상황이다.
반면,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으로 대부분 제약사가 부진한 실적을 낸 가운데, 올해 1분기도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했다. 매출액은 227억원으로 19%, 영업이익은 29억5000만원으로 94%, 순이익은 23억2000만원으로 137% 늘었다. 이는 주력 제품인 수액제와 앰플제가 약가인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고, 안정적인 수요처를 바탕으로 판매가를 10~20% 인상한 결과다.
1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실적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3.6배로 5년 평균인 14.1배보다 낮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8배로 5년 평균인 0.8배보다 높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로 5년 평균 6%보다 높다.
대한약품은 수액제와 앰플제를 만드는 제약사다. 수액제는 수분과 포도당 등의 에너지원을 포함하고 있는 액체 약품이다. 앰플제란 작은 유리용기에 담긴 1회분의 주사약을 말한다. 매출 비중은 수액제 80%, 앰플제 20%다. 대한약품은 주력 제품이 모두 꾸준한 수요가 발생하는 기초의약품이고, 제품의 80% 이상을 병·의원이기 때문에 매년 매출을 늘리고 있다. 지난 2002년 310억원이던 매출액은 연평균 12% 늘어난 지난해 852억원을 기록했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8%
이는 주가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과 약가인하 정책에도 꾸준한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대한약품은 지난 1월 26일 2만140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조정세가 이어져 현재 주가는 최고가 대비 약 37% 하락한 상황이다.
반면,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으로 대부분 제약사가 부진한 실적을 낸 가운데, 올해 1분기도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했다. 매출액은 227억원으로 19%, 영업이익은 29억5000만원으로 94%, 순이익은 23억2000만원으로 137% 늘었다. 이는 주력 제품인 수액제와 앰플제가 약가인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고, 안정적인 수요처를 바탕으로 판매가를 10~20% 인상한 결과다.
1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실적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3.6배로 5년 평균인 14.1배보다 낮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8배로 5년 평균인 0.8배보다 높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로 5년 평균 6%보다 높다.
대한약품은 수액제와 앰플제를 만드는 제약사다. 수액제는 수분과 포도당 등의 에너지원을 포함하고 있는 액체 약품이다. 앰플제란 작은 유리용기에 담긴 1회분의 주사약을 말한다. 매출 비중은 수액제 80%, 앰플제 20%다. 대한약품은 주력 제품이 모두 꾸준한 수요가 발생하는 기초의약품이고, 제품의 80% 이상을 병·의원이기 때문에 매년 매출을 늘리고 있다. 지난 2002년 310억원이던 매출액은 연평균 12% 늘어난 지난해 852억원을 기록했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8%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대한약품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8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143위(상위 8%)를 차지했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대한약품]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수액제, 앰플제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제약사 |
|---|---|
| 사업환경 | ㅇ 제약산업은 고부가가치의 기술집약형 사업으로 신약개발시 높은 수익성을 보임 ㅇ 인구고령화로 의약품 수요증가 추세 |
| 경기변동 | 국민건강과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는 제약산업의 특성상 경기 방어적 성격 |
| 주요제품 | ㅇ 수액제: 5% 포도당 주사 외 (매출 비중 79%) ㅇ 앰플제 (매출 비중 14%) |
| 원재료 | ㅇ 수액백: 포장용기 (매입 비중 22%) ㅇ 수액병: 포장용기 (매입 비중 13%) |
| 실적변수 | ㅇ 고령화로 인한 의료수요 증가시 수혜 ㅇ 신제품 출시로 인한 매출 증가 |
| 리스크 | 약가인하 등 정부규제 |
|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대한약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대한약품]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이윤우 | 본인 | 보통주 | 1,544,100 | 25.74 | 1,544,100 | 25.74 | - |
| 이광우 | 제 | 보통주 | 225,000 | 3.75 | 225,000 | 3.75 | - |
| 이철우 | 제 | 보통주 | 225,000 | 3.75 | 225,000 | 3.75 | - |
| 이승영 | 자 | 보통주 | 253,306 | 4.22 | 253,306 | 4.22 | - |
| 이승경 | 조카 | 보통주 | 112,500 | 1.87 | 112,500 | 1.87 | - |
| 이승욱 | 조카 | 보통주 | 112,500 | 1.87 | 112,500 | 1.87 | - |
| 김동신 | 등기임원 | 보통주 | 108,000 | 1.80 | 108,000 | 1.80 | - |
| 임명혁 | 등기임원 | 보통주 | 57,990 | 0.97 | 57,990 | 0.97 | - |
| 안영돈 | 미등기임원 | 보통주 | 175,010 | 2.92 | 175,010 | 2.92 | - |
| 김명환 | 미등기임원 | 보통주 | 52,100 | 0.87 | 50,100 | 0.83 | - |
| 오창민 | 미등기임원 | 보통주 | 50,330 | 0.84 | 50,330 | 0.84 | - |
| 조영기 | 미등기임원 | 보통주 | 48,500 | 0.80 | 48,500 | 0.80 | - |
| 계 | 보통주 | 2,964,336 | 49.40 | 2,962,336 | 49.36 | - | |
| 우선주 | 0 | 0 | 0 | 0 | - | ||
| 기 타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