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분석] 로보스타, 로봇 매출 급증··4차 산업혁명 수혜?

17.09/30
김보미 연구원
로봇이 여러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할 날도 얼마 남지 않은 듯하다. 지난 9월 26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이 사회에 융합되면서 정부도 대응에 나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로봇으로, 이를 제조하는 로보스타30,000원, 0원, 0%를 눈 여겨볼 만하다. 로보스타는 1999년 LG산전(현 LS산전) 로봇사업부에서 분할한 산업용 로봇, 자동화 장비 생산업체다.

주력인 제조용 로봇이 실적 견인

로보스타는 설립 초창기 제조용 로봇(로봇단품)을 주로 생산했다. 이후 자동화 장비로 사업영역을 넓혀 나가 다양한 로봇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사업부문은 제조용 로봇, 평판디스플레이(FPD) 장비, IT부품 제조장비로 나뉜다.

제조용 로봇은 자동차, LCD, 반도체 제조공정의 핵심 역할인 이송과 적재용으로 쓰인다. 모든 산업현장의 공장자동화에 활용돼 전방산업의 수요와 설비투자 규모의 영향을 받는 편이다. 종류로는 직각좌표로봇과 수직다관절로봇 등이 있다. FPD장비는 평판디스플레이, 중소형 LCD 제조현장의 공정 기초장비로 Gantry Stage 등이 이에 해당한다. IT부품 제조장비는 핸드폰 등 IT, 자동차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전자부품류를 자동으로 제조, 검사, 분류, 포장하는 장비다.



올해 상반기 기준 매출비중은 제조용 로봇이 66%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FPD장비가 23%, IT부품 제조장비가 9%로 뒤를 이었다. 기타 매출은 2%로 유지보수(A/S)와 중국 법인(ROBOSTAR(SHANGHAI))의 매출이다.

2010년부터 살펴봐도 그간 제조용 로봇의 실적 기여도가 컸다. 특히, 제조용 로봇 매출액은 2015년 915억원으로 급증했다. 2014년 482억원 대비 90%(432억원) 증가한 수치다. 2016년엔 전년 대비 9%(77억원) 늘어난 993억원을 기록했다.

제조업 로봇의 매출 성장으로 연결 기준 연간 매출액은 2014년 970억원에서 2015년 1306억원, 2016년 1517억원으로 늘어났다. 중국 고객사인 BOE, CSOT 등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설비투자에 나서면서 호실적을 거뒀다.



수원공장 증설 후, 성장 동력 확보

로봇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로보스타는 공장을 증설했다. 2015년 95억원을 투자해 수원공장을 신축하고 생산설비를 확충했다. 투자목적은 매출 성장과 생산량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수원공장은 2015년 완공과 이전이 완료됐고, 2014년 902억원에 머물렀던 생산능력은 2015년 1147억원으로 늘었다(금액 기준). 생산실적 또한 763억원에서 1036억원으로 증가했고, 가동률은 90%대에 진입했다.

공장 증설 완료 후 매출은 성장했다. 증설 전인 2014년 1038억원이었던 매출은 2015년 1375억원으로 33%(337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0억원에서 103억원으로, 연결지배 순이익은 22억원에서 96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 2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매출은 2082억원으로 2014년의 두 배가 됐다. 올해 2분기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5.7%, 4.8%다.



지난 2013년에는 신규사업으로 기중력 120kgf 구난로봇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개발 중인 구난로봇용 양팔 매니퓰레이터는 부상자, 중량물(위험물)을 들어올리거나 이송시 고정하는데 쓰인다. 회사측은 로봇 매니퓰레이터가 국방, 산업 및 서비스 로봇 등 분야에 파급효과가 클 거라 전망했다. 2019년 6월 시험개발단계를 마치면 시제품이 출시된다.

▷ 높아진 기업가치..주가에 반영

실적 성장에 힘입어 주가도 상승했다. 로보스타 주가는 2014년 부터 2015년 초까지 5000원 안팎에서 움직였으나 연이은 매출 성장으로 최근 상승세를 이어갔다. 2015년 6월 1만원을, 2017년 5월 2만원을 돌파했다. 올해 7월 25일엔 상장 이후 최고가인 2만5900원에 도달하기도 했다. 28일 종가는 고점 대비 37% 낮은 1만6200원이다.

외국인 투자자는 작년 말부터 집중 매수에 나섰다. 1~2%대에 주로 머물렀던 외국인 지분율은 급상승했다. 2017년 7월 14일 13.1%을 기록해 가장 높았다. 연간 누적 순매수 수량은 2015년 1만9340주에서 2016년 51만5799주로 급증했고, 올해 들어서만 33만주가량을 순매수했다(2017년 9월 27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올해 1월~2월, 7월~9월 두 차례 하락세를 보였다. 이 기간 주가 상승으로 PER이 18배를 넘어서며 외국인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 한 달간 로보스타 주식 7만3945주(총 발행주식수의 0.95%)를 순매도했다.

외국인이 지분을 축소한 가운데, 로보스타는 올해 공급계약 공시는 없었다. 지난해 공급계약은 총 6차례 공시했다. 6건의 계약금액 합계는 304억원이며, 이중 5건은 계약이 종료됐다. 올해엔 작년 11월과 12월 발표한 공시 계약기간 종료일을 기재 정정했다. 수주 현황은 공시하지 않았다. 납기는 대형 프로젝트와 고정 고객는 30~60일 수준이며, 중간 설비업체의 경우 10~15일으로 짧은 편이다.



올해 2분기 실적과 28일 종가 1만6200원을 반영한 주가수익배수(PER)는 13.0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68배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5%다.


[로보스타]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update11.11/21

제조용 로봇·FPD장비·IT부품 제조장비를 제조하는 업체
사업환경

update16.11/18

▷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에 따른 자동화 설비투자에 힘입어 조립, 핸들링용 로봇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
▷ 자동화 설비투자 확대에 따른 제조용 로봇 수요 급증 예상
경기변동

update16.11/18

▷ FPD장비 사업의 경우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update16.11/18

▷ 직각좌표 로봇 외 : 제조용 로봇(68.24%, 내수가격 '13년 120만3359원 → '14년 120만9045원 → '15년 479만9850원 → '16년 3분기 315만7207원)
▷ 정밀 Stage : FPD 장비 (20.17%, 내수가격 '13년 6532만156원 → '14년 7418만4207원 → '15년 2억1754만3434원 → '16년 3분기 2억2452만5255원)
▷ 전자부품 장비 : IT부품 제조 장비 (10.2%, 내수가격 '13년 8768만3870원 → '14년 7704만2640원 → '15년 2억3711만8907원 → '16년 3분기 9416만4964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원재료

update16.11/18

▷ 볼스크류 ('10년 232,398원 → '11년 276,017원 → '12년 254,937원 → '13년 207,743원 → '14년 169,124원 → '15년 151,132원 → '16년 3분기 135,772원)
▷ BASE ('10년 82,166원 → '11년 85,637원 → '12년 84,927원 → '13년 83,847원 → '14년 108,873원 → '15년 73,150원 → '16년 3분기 70,493원)
▷ LM GUIDE ('10년 148,716원 → '11년 145,034원 → '12년 180,507원 → '13년 118,899원 → '14년 89,771원 → '15년 64,666원 → '16년 3분기 71,724원)
▷ MOTOR ('12년 258,594원 → '13년 209,499원 → '14년 185,795원 → '15년 172,479원 → '16년 3분기183,794원)
* 괄호 안은 내수가격 추이
실적변수

update14.09/10

▷ 자동차, LCD, 반도체, LED 산업 호황시 수혜
▷ 산업자동화 투자 확대시 수혜
리스크

update16.11/18

▷ 부채비율 139%로 높음(2016년 3분기 말 기준)
▷ 수주 산업에 속해 호황과 불황에 따라 큰 폭의 매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음
신규사업

update16.11/18

▷ 양팔로봇, 기중력 120kgf 구난로봇 기술 개발, 무인생산로봇시스템 기술 개발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로보스타]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7.6월 2016.12월 2015.12월 2014.12월
매출액 1,133 1,506 1,293 909
영업이익 75 66 103 23
영업이익률(%) 6.6% 4.4% 8% 2.5%
순이익(연결지배) 56 67 96 22
순이익률(%) 4.9% 4.4% 7.4% 2.4%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2.62
이시각 PBR 2.59
이시각 ROE 20.50%
5년평균 PER 22.34
5년평균 PBR 1.92
5년평균 ROE 8.08%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로보스타]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김정호본인보통주1,061,53513.611,061,53513.61최대주주
강귀덕등기임원보통주614,7887.88614,7887.88특수관계인
주현석비등기임원보통주147,0001.8800제외
최진석등기임원보통주0042,6300.55특수관계인
허영도관계회사
임원
보통주30,0000.3830,0000.38특수관계인
보통주1,853,32323.761,748,95322.42-
기타-----

[2016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