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V차트 우량주] 화일약품, 바이오주식 투자 성공한 제약사

16.07/15
서민희 데이터 기자
편집자주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화일약품1,510원, ▲7원, 0.47%은 진해거담제, 진경제, 위기능조절제 등을 제조하는 원료의약품 중심의 제약사로 1980년 11월 18일에 설립돼 2002년 4월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했다.

화일약품의 매출액은 최근 10년간 대체로 성장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등락을 보이다 2012년 10년 중 최대치인 77억원을 기록 후 대체로 줄고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1061억원으로 2014년 대비 10%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7억원으로 71% 감소했다(이하 개별기준). 순이익은 55억원으로 32% 증가했다.

화일약품의 주요 제품중 매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은 SLIDAL 등의 상품부문이다. 2012년 상품의 매출액은 272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30%를 차지했으나, 2015년 486억원으로 2012년 대비 79% 증가하며 전체 매출액 중 46%를 차지했다.



최근 영업이익이 감소한 배경엔 높은 매출원가율이 자리하고있다. 화일약품은 원료의약품 중심의 제약사로 매출원가율이 높은 편이다. 화일약품의 매출원가 중 재고자산과 원재료 및 상품매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로 90% 이상이며, 2012년 말 82.5%이던 매출원가율은 매분기 올라 지난해 말 90.7%를 기록한 바 있다.



최근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작년 4분기 55억원(연환산 기준), 올해 1분기엔 100억원(연환산 기준)으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순이익이 급증했던 작년 4분기에 화일약품은 뉴트리바이오텍 주식을 매도해 기타영업외손익으로 62억원이 발생했다.

화일약품은 2009년 12월 지분투자를 목적으로 뉴트리바이오텍의 주식 21만7000주를 4억9910만원에 투자했다. 주당 매수가는 2300원이다. 2015년 초까지 보유지분율 5.3%를 유지했고 2015년 4월 일부(1만6000주) 매각, 7월 액면분할돼 보유주식 수는 40만2000주가 됐다. 화일약품은 뉴트리바이오텍이 상장했던 2015년 12월 21만주를 매도해 처분이익이 60억원 가량 발생했고, 올해 1월 20일~22일, 26일, 2월 11일 보유중이던 뉴트리바이오텍 주식 9만2000주를 추가 매도해 55억원의 처분이익을 추가로 남겼다. 뉴트리바이오텍 상장 이후 총 30만2000주를 매각해 115억원의 차익을 남긴 것이다.

현재 화일약품이 보유하고 있는 뉴트리바이오텍의 주식은 10만주(지분율 1.2%)로, 전일 종가 7만5000원 기준 평가액 75억원 상당이다. 만약 전일 종가에 나머지 주식까지 모두 매도한다면, 화일약품의 뉴트리바이오텍 최종 매도액은 190억원, 투자 최종 수익률은 약 3700%가 된다. 투자기간을 약 6.5년으로 잡을 때, 연평균 수익률이 75%에 이르는, 고수익 투자였던 셈이다.

한편 뉴트리바이오텍이 상장하기 전 5억원 가량의 기타금융자산으로 기록되던 것이, 상장 후 시가로 재평가돼 76억원으로 기록되며 2015년 4분기에 투자자산이 급증한 것처럼 보인다.



뉴트리바이오텍의 주식을 대량 매도했던 2015년 12월 17일, 화일약품은 국내 및 해외 완제품 수출 생산설비 확보와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크리스탈지노믹스(이하 크리스탈)와 비티오생명제약을 공동인수한다고 밝혔다(크리스탈이 지분 56%를, 화일약품이 44%를 취득).

크리스탈은 현재 화일약품의 최대주주사다(지분율 21.7%). 크리스탈은 2013년 화일약품의 최대주주가 됐으며, 화일약품이 시장의 관심을 받아 PBR이 2배 근처로 오른 바 있다. 지난 8일엔 크리스탈이 신약기술 해외수출 계약 체결을 발표하며 다시한번 시장 참여자의 관심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올해 1분기 실적과 현재 주가를 반영한 주가수익배수(PER)는 18.4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57배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5%다.


현금창출력 부문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매출은 꾸준히 늘고있지만 이익은 감소하고 있고, 현금회전일수가 매분기 200일 이상으로 유지돼 최근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 매출채권이 잘 회수되는지, 재고자산이 잘 팔리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올해 1분기 개별 기준 부채비율은 42%, 유동비율은 242%로 화일약품의 재무상태는 안전하다. 자산대비 차입금 비중은 19%며, 영업이익을 통해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은 3배다.



[화일약품]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update12.12/03

원료의약품 중심의 제약사
사업환경

update13.06/10

▷ 제약산업은 완전경쟁 시장으로 다국적 제약사 및 국내 대기업의 참여로 경쟁이 치열해짐
▷ 신약개발 기반이 열약한 제약기업의 경우 특허가 만료된 제네릭 의약품의 연구개발이 중요
▷ 이 회사는 기존 원료의약품 사업에서 식품원료, 완제의약품으로 사업분야 다각화함
▷ 2013년부터 원료의약품은 전용 공장에서만 생산 가능, 국내 생산 가능한 법인은 10개사
경기변동

update12.05/22

치료제 중심의 병원용 약품은 경기변동의 영향이 크지 않음
주요제품

update15.09/22

▷ 제품: 진해거담제, 진경제, 위기능조절제, 진통소염제 등의 원료 (57.40%)
진해거담제 원료 EDST (11년 18만6016원 → 12년 17만9330원 → 13년 17만8863원 → 14년 17만6811원 → 15년 반기 17만1323원)
▷ 상품: (42.60%)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원재료

update15.09/22

▷ 의약품 원재료 (100%)
EDST 원료 (11년 7만4891원 → 12년 7만4011원 → 13년 7만6026원 → 14년 7만3084원 → 15년 반기 7만1235원)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실적변수

update14.09/10

▷ 원료의약품 판매량
▷ CLA의 중국, 일본 진출 성공 여부
신규사업

update15.09/22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화일약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6.3월 2015.12월 2014.12월 2013.12월
매출액 315 1,061 961 942
영업이익 17 17 59 56
영업이익률(%) 5.4% 1.6% 6.1% 5.9%
순이익(연결지배) 53 55 41 42
순이익률(%) 16.8% 5.2% 4.3% 4.5%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5.21
이시각 PBR 1.51
이시각 ROE 9.96%
5년평균 PER 19.17
5년평균 PBR 1.04
5년평균 ROE 5.72%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화일약품]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크리스탈
지노믹스(주)
최대주주
본인
보통주3,121,37121.663,121,37121.66-
보통주3,121,37121.663,121,37121.66-
------
[2015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