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메디아나, 중국 판매허가...앞으론?
중국 판매허가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메디아나5,580원, 0원, 0%가 오름세다. 15일 오전 11시 4분 현재 메디아나는 전일보다 2.3%(650원) 오른 2만8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 장 마감 후 메디아나는 중국 식약청(CFDA)으로부터 심장제세동기 ‘A10’ 판매허가를 받았다고 공시했다. 중국에 의료기기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선 반드시 중국 식약청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심장제세동기란 갑자기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경우, 전기충격을 줌으로써 정상적인 심전도로 되돌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응급 의료기기다. 이번에 판매허가를 받은 ‘A10’은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보급형 제품으로, 음성 안내뿐만 아니라 단계별 아이콘과 LED 불빛으로 초보자도 손쉽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응급상황에서 패드를 환자에게 붙인 후 전원을 켜면 신속한 제세동도 가능하다.
회사 측은 이번 판매 허가를 계기로 향후 중국시장 매출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장이 다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메디아나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감시하는 장비인 환자감시장치, 심장기능을 소생시키는 장비인 심장제세동기 등을 만든다. 회사 측에 따르면 심장제세동기의 주요 시장은 유럽이며, 아시아·중동 등 GDP가 낮은 지역엔 환자감시장치 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심장제세동기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 터미널, 병원 등 공공시설과 여객기, 기차, 응급차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령화 및 비만 인구 증가에 따라 심장질환 환자 수가 늘어남과 동시에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정부 정책이 뒷받침될 때 수요가 발생한다.
이와 달리 GDP가 낮은 지역은 최근 병원시설 현대화를 위한 기본적인 병원용 의료장비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회사측은 아시아·중동 등엔 환자감시장치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회사는 분기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지역 등에서 GDP 대비 사회복지 및 보건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고 있어 심장제세동기에 대한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판매허가는 이런 회사 측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매년 180만명의 심장질환 환자가 발생하는 큰 시장이다.
이에 앞서 지난 3월 30일 메디아나는 가정용 환자감시장치 (PM100N)가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용 환자감시장치에서 가정용 환자감시장치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이런 가운데 지난 4월 15일 메디아나는 35억원(지난해 말 연결 기준 자기자본 대비 13%)을 들여 제2공장을 새로 짓는다고 공시했다. 투자목적으로 환자감시장치, 제세동기 생산량 증가에 따른 공간부족과 신사업진출을 꼽았다. 투자기간은 2015년 4월 15일부터 2015년 10월 20일까지다.
메디아나의 생산실적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2010년 2만6892대이던 메디아나의 생산실적은 201년 3만5634대, 올해 1분기 연환산(최근 12개월 합산) 기준 5만1143대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 가동률은 80.1%다.
이에 실적 또한 개선되고 있다. 특히 2013년부턴 영업이익도 증가하고 있다. 2012년 7억원이던 메디아나의 영업이익은 올해 1분기 연환산 기준 49억원으로 늘었다.
ODM(제조사개발생산) 비중이 늘어난 점도 실적 개선의 배경이다. 메디아나는 최근 환자감시장치가 중국·동남아 등에서 저가로 생산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응급시장에 진입하기로 결정, 심장충격기 개발에 주력했다. 이 결과 2013년에 처음으로 독일 Metrax에 전문가용 제세동기를 납품하기 시작했다.
가장 최근인 지난 2일 메디아나에 대한 리포트를 제출한 NH투자증권이 예상한 메디아나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500억원, 영업이익은 81억원이다.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30%, 영업이익은 88% 늘어난 수준이다. 연결 지배기준 순이익은 86% 증가한 67억원으로, 이를 반영한 주가수익배수(PER)는 30.5배다.
[의료기기 업계]
의료기기 산업은 높은 기술수준 요구, 제도적 규제, 품질 중심의 수요 등으로 진입장벽이 높다. 연구개발비 부담으로 첨단 고부가가치 제품은 대기업이 주도하고, 일반 검사와 분석기기 등은 전문 중소기업이 중심이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미국이 전세계 시장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에서 국내 시장의 비중은 1.3%로 순위는 13위다. 아직 국내 의료기기 경쟁력이 약해 수입의존도가 67%며 수출은 초음파 영상진단기, 치과용 임플란트 등 범용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중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만성질환의 치료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스텐트 등 의료용 수술기기, 제세동기, 혈당측정기, 인공관절 등 의료기기 수요도 함께 증가했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 주요 기업은 존슨앤존슨, GE, 지멘스, 필립스, 로쉐 등이 있다.
[관련기업]
삼성메디슨(비상장): 삼성그룹 의료기기 사업 중심 기업
휴비츠: 안경점 및 안과용 진단기기
바텍: 국내 치과용 디지털 X-ray 70% 점유. 세계 4위
오스템임플란트: 국내 치과용 임플란트 40% 점유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 영상 전송 저장시스템(PACS) 솔루션 개발
인포피아: 휴대용 혈당 측정기, 콜레스테롤 측정기 생산
뷰웍스: 디지털 X-ray 디텍터
바이오스페이스: 체성분 분석기 국내 1위
나노엔텍: 세포계수기, 유전자 주입, 진단기기 제조
루트로닉: 흉터, 주근깨 치료 등 의료용 레이저치료기 전문
씨유메디칼: 심장 제세동기 생산
아이센스: 휴대용 혈당계, 혈당스트립 생산
세운메디칼: 비혈관용 스텐트 및 인공유방보형물 제조
코랜텍: 인공관절(고관절, 슬관절)
인터로조: 시력교정 및 미용 콘텍트렌즈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기자재
[의료기기 업계]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휴비츠 | 21,300원 | ▲800원 (3.9%) | 145 | 14 | 14 | 103.2 | 3.95 | 3.8% |
| 바텍 | 28,200원 | ▼400원 (-1.4%) | 246 | 23 | 16 | 54.7 | 4.84 | 8.9% |
| 오스템임플란트 | 65,700원 | ▼300원 (-0.5%) | 485 | 121 | 59 | 59.6 | 8.89 | 14.9% |
| 인피니트헬스케어 | 11,950원 | ▲350원 (3%) | 80 | 11 | 32 | 58 | 4.75 | 8.2% |
| 인포피아 | 16,400원 | ▲600원 (3.8%) | 87 | -18 | -29 | N/A | 2.98 | -20.9% |
| 뷰웍스 | 41,200원 | ▲100원 (0.2%) | 180 | 25 | 22 | 43 | 5.76 | 13.4% |
| 인바디 | 47,800원 | 0원 (0%) | 109 | 31 | 38 | 70.4 | 10.45 | 14.9% |
| 나노엔텍 | 9,600원 | ▼120원 (-1.2%) | 31 | -7 | -13 | N/A | 6.40 | -8% |
| 루트로닉 | 68,400원 | ▲2,500원 (3.8%) | 148 | 10 | N/A | 687.8 | 20.71 | 3% |
| 씨유메디칼 | 9,770원 | ▼10원 (-0.1%) | 41 | 4 | 7 | N/A | 1.86 | -8.7% |
| 아이센스 | 57,300원 | ▲2,400원 (4.4%) | 220 | 44 | 28 | 35.6 | 4.15 | 11.7% |
| 세운메디칼 | 5,980원 | ▲40원 (0.7%) | 136 | 31 | 18 | 50.4 | 4.06 | 8.1% |
| 코렌텍 | 19,700원 | ▼100원 (-0.5%) | 68 | 6 | N/A | N/A | 3.56 | -3.4% |
| 인터로조 | 34,750원 | ▼1,000원 (-2.8%) | 121 | 29 | 22 | 45.8 | 6.14 | 13.4% |
| 디오 | 19,450원 | ▲50원 (0.3%) | 135 | 28 | 10 | N/A | 5.00 | -0.5% |
| 오스코텍 | 4,400원 | ▼65원 (-1.5%) | 15 | -1 | -6 | N/A | 4.62 | -10.8% |
| 셀루메드 | 5,160원 | ▼320원 (-5.8%) | 45 | 5 | 1 | N/A | 3.26 | -28.3% |
| 랩지노믹스 | 48,400원 | ▲300원 (0.6%) | 54 | 3 | 3 | 714.5 | 9.25 | 1.3% |
| 우리들휴브레인 | 3,630원 | ▼85원 (-2.3%) | 13 | -13 | -18 | N/A | 6.16 | -146.8% |
| 메디아나 | 27,700원 | ▲250원 (0.9%) | 104 | 13 | 11 | 49.1 | 6.98 | 14.2% |
| 메타바이오메드 | 7,130원 | ▼70원 (-1%) | 113 | 24 | 10 | N/A | 3.51 | -9.7% |
| 인트로메딕 | 13,250원 | ▼250원 (-1.9%) | 11 | -7 | -7 | 101.4 | 5.41 | 5.3% |
[메디아나]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환자감시장치, 제세동기 등 의료기기 전문업체 |
|---|---|
| 사업환경 | ▷ 고령화 사회, 웰빙 수요 증가, 중국, 인도 등 후발 공업국 급성장에 따른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 국내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51억달러, 세계 11위, 2005~2012년 연평균 8.9% 성장 |
| 경기변동 | ▷ 타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적은 편 ▷ 국가예산, 의료보험체계 등에 의해 시기적 변동요인은 발생할 소지가 있음 ▷ 일반적으로 예산 편성 시기인 1분기 매출 저조, 결산 시기인 5분기 매출 확대 |
| 주요제품 | ▷ 환자감시장치 - Patient Monitor(20%) - Pulse Oximeter(30%) ▷ 제세동기 - AED(21%) - defibrillator(5%) ▷ 상품 및 기타(20%) * 괄호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미국, 일본 등에서 전자부품 수입, 원재료 매입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원재료 매입액 중 50~60% 가량 ▷ 전자부품 ▷ LCD ▷ Extension |
| 실적변수 | ▷ 병원 신설 및 증설 계획 시 수요 증가 ▷ 해외 판매처 확대 시 수출 증가 ▷ 주요 고객인 Covidien, Siemens 등 납품 물량 증가시 수혜 |
| 리스크 | ▷ 자본력 및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한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 ▷ 환율 변화에 따른 원재료, 매출 변동 요인 발생 |
| 신규사업 |
[메디아나]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메디아나]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길문종 | 본인 | 보통주식 | 3,205,600 | 44.39 | 3,205,600 | 44.39 | - |
| 김응석 | 임원 | 보통주식 | 415,402 | 5.75 | 415,402 | 5.75 | - |
| 강동원 | 임원 | 보통주식 | 58,000 | 0.80 | 58,000 | 0.80 | - |
| 김이웅 | 임원 | 보통주식 | 43,846 | 0.61 | 43,846 | 0.61 | - |
| 전대근 | 임원 | 보통주식 | 12,580 | 0.17 | 12,580 | 0.17 | - |
| 허진 | 임원 | 보통주식 | 3,730 | 0.05 | 3,730 | 0.05 | - |
| 박명균 | 임원 | 보통주식 | 3,850 | 0.05 | 3,850 | 0.05 | - |
| 메디아나 | 자사주 | 보통주식 | 72,200 | 1.00 | 72,200 | 1.00 | - |
| 계 | 보통주식 | 3,815,208 | 52.82 | 3,815,208 | 52.82 | - | |
| -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