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세방전지, 외국인 지분율 ↑...뭘 보고?
세방전지64,500원, ▲3,000원, 4.88%의 외국인 지분율이 상장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14일 오전 9시 45분 현재 세방전지는 전일보다 0.6%(300원) 내린 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세방전지 지분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이달 들어 세방전지 주가가 하락함에도 지분을 대체로 늘린 결과, 전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33.42%다. 이는 상장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배경엔 원재료 가격 하락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방전지는 차량용 납축전지 전문 업체로, 주요 원재료는 납(2014년 매입비중 76.4%)이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세방전지의 납 매입 가격은 런던금속거래소(LME) 납 가격과 연동돼 있다.

LME에 따르면 작년 8월까지 만해도 톤당 2200달러를 상회하던 납 가격은, 이후 약세로 전환했다. 이런 영향인지 지난해 연간으론 수익성이 부진하지만, 작년 4분기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개선된 실적을 거뒀다. 작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2727억원을, 영업이익은 32% 증가한 29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4분기엔 제품 가격 또한 올랐다. 2014년 1분기 기준 4만6997원이던 납축전지 제품가격은 2014년 2분기 누적 기준 4만6192원 → 2014년 3분기 누적 기준 4만5453원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작년 4분기 누적(연간) 기준 제품가격은 4만6207원으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작년 4분기 제품가격이 특히 올랐음을 유추할 수 있다.
매출액은 제품가격에 판매량을 곱해 구한다. 사업보고서에 제품별 매출액과 제품가격이 기재돼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판매량을 구해볼 수 있다. 이에 연간 수치에서 3분기 누적 값을 제외한 뒤, 4분기 제품 가격을 비교하면 작년 4분기 차량용 납축전지 제품가격은 4만8154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 오른 수준이다.
향후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인다. 최근 납 가격이 올랐으나.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 낮은 수준인 점이 이유 중 하나다. 4월 1일 ~ 5월 13일까지 평균 납 거래가격은 톤당 2013달러로, 2014년 2분기 평균 거래가격 대비 4% 낮은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현대차가 신형 투싼 출시에 ISG(Idle Stop & Go: 차량 정차시 시동을 끄고, 출발할 때 다시 시동을 켜는 연비 개선 기술)를 기본 사양으로 채택한 점도 긍정적이다. ISG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기존 전지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선된 전지인 AGM(Absorbent Glass Matt)이나 EFB(Enhanced Flooded Batteries)전지를 사용해야 된다. 또한 ISG 기능을 위해 보조배터리 장착을 대체로 하고 있어, 물량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지난해 실적을 반영한 세방전지의 주가수익배수(PER)는 11.4배다.
[2014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증권업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세방전지 지분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이달 들어 세방전지 주가가 하락함에도 지분을 대체로 늘린 결과, 전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33.42%다. 이는 상장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배경엔 원재료 가격 하락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방전지는 차량용 납축전지 전문 업체로, 주요 원재료는 납(2014년 매입비중 76.4%)이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세방전지의 납 매입 가격은 런던금속거래소(LME) 납 가격과 연동돼 있다.

LME에 따르면 작년 8월까지 만해도 톤당 2200달러를 상회하던 납 가격은, 이후 약세로 전환했다. 이런 영향인지 지난해 연간으론 수익성이 부진하지만, 작년 4분기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개선된 실적을 거뒀다. 작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2727억원을, 영업이익은 32% 증가한 29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4분기엔 제품 가격 또한 올랐다. 2014년 1분기 기준 4만6997원이던 납축전지 제품가격은 2014년 2분기 누적 기준 4만6192원 → 2014년 3분기 누적 기준 4만5453원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작년 4분기 누적(연간) 기준 제품가격은 4만6207원으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작년 4분기 제품가격이 특히 올랐음을 유추할 수 있다.
매출액은 제품가격에 판매량을 곱해 구한다. 사업보고서에 제품별 매출액과 제품가격이 기재돼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판매량을 구해볼 수 있다. 이에 연간 수치에서 3분기 누적 값을 제외한 뒤, 4분기 제품 가격을 비교하면 작년 4분기 차량용 납축전지 제품가격은 4만8154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 오른 수준이다.
향후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인다. 최근 납 가격이 올랐으나.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 낮은 수준인 점이 이유 중 하나다. 4월 1일 ~ 5월 13일까지 평균 납 거래가격은 톤당 2013달러로, 2014년 2분기 평균 거래가격 대비 4% 낮은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현대차가 신형 투싼 출시에 ISG(Idle Stop & Go: 차량 정차시 시동을 끄고, 출발할 때 다시 시동을 켜는 연비 개선 기술)를 기본 사양으로 채택한 점도 긍정적이다. ISG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기존 전지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선된 전지인 AGM(Absorbent Glass Matt)이나 EFB(Enhanced Flooded Batteries)전지를 사용해야 된다. 또한 ISG 기능을 위해 보조배터리 장착을 대체로 하고 있어, 물량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지난해 실적을 반영한 세방전지의 주가수익배수(PER)는 11.4배다.
[납(연) 가격 상승·하락]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자동차가 많이 팔리면 어떤 금속 가격이 오를까. 일반적으로 차체를 구성하고 있는 철금속 중 하나인 냉연강판을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비철금속인 납도 가격이 많이 오르는 금속 중 하나다.
납 가격은 전방산업인 자동차 업계가 호황일 때 강세를 보인다. 이는 전 세계 납 생산량의 70%가 자동차용 축전지(배터리)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납축전지는 납을 (-)극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말하며, 자동차 내연기관의 시동을 거는 역할을 담당한다.
납 가격 상승은 국내 납 제조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고려아연의 실적 개선 및 주가 상승 원동력이 된다. 또한 납을 원재료로 자동차용 축전지를 만드는 세방전지, 아트라스BX도 납 가격 상승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할 수 있어 매출 증대가 수월하다.
그러나 급격한 납 가격 상승은 납축전지업체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킨다. 이들은 '납가격 상승 → 납축전기 가격 인상 → 납 가격 하락 → 이익 증가'의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제품가 인상 후 납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는 시기가 가장 수익성이 좋은 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납 가격 변동시 실적 영향을 받는 기업]
- 고려아연 : 납(전기연괴) 시장점유율 70%로 독점 기업.
- 세방전지 : 자동차 배터리 국내 시장점유율 42% 기업.
- 아트라스BX : 자동차 배터리 국내 시장점유율 24% 기업.
- 세방 : 세방전지 지분 33.7% 보유한 모회사.
납 가격은 전방산업인 자동차 업계가 호황일 때 강세를 보인다. 이는 전 세계 납 생산량의 70%가 자동차용 축전지(배터리)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납축전지는 납을 (-)극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말하며, 자동차 내연기관의 시동을 거는 역할을 담당한다.
납 가격 상승은 국내 납 제조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고려아연의 실적 개선 및 주가 상승 원동력이 된다. 또한 납을 원재료로 자동차용 축전지를 만드는 세방전지, 아트라스BX도 납 가격 상승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할 수 있어 매출 증대가 수월하다.
그러나 급격한 납 가격 상승은 납축전지업체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킨다. 이들은 '납가격 상승 → 납축전기 가격 인상 → 납 가격 하락 → 이익 증가'의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제품가 인상 후 납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는 시기가 가장 수익성이 좋은 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납 가격 변동시 실적 영향을 받는 기업]
- 고려아연 : 납(전기연괴) 시장점유율 70%로 독점 기업.
- 세방전지 : 자동차 배터리 국내 시장점유율 42% 기업.
- 아트라스BX : 자동차 배터리 국내 시장점유율 24% 기업.
- 세방 : 세방전지 지분 33.7% 보유한 모회사.
[납(연) 가격 상승·하락] 관련종목
주가 : 5월 14일 오전 9시 37분 현재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고려아연 | 508,000원 | ▲11,000원 (2.2%) | 9,851 | 1,615 | N/A | 18.7 | 2.02 | 10.8% |
| 세방전지 | 50,100원 | ▼200원 (-0.4%) | 9,556 | 810 | 614 | 11.5 | 1.01 | 8.8% |
| 아트라스BX | 40,300원 | ▼300원 (-0.7%) | 1,217 | 116 | N/A | 7.2 | 0.94 | 13.1% |
| 세방 | 21,200원 | ▲250원 (1.2%) | 5,670 | 243 | 385 | 10.5 | 0.60 | 5.7% |
* 기간 : 2014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세방전지]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세방 그룹 계열 국내 점유율 1위 납축전지 생산업체. 점유율 40% |
|---|---|
| 사업환경 | ▷ 국내 납축전지 시장은 4개사(세방전지, 아트라스BX, 성우오토모티브, 델코)가 93% 점유 ▷ 납축 전지는 평균적으로 2.8년에 한번씩 교체되는 소모품으로 수요가 꾸준함 ▷ 세방전지는 주로 신차용 제품을 공급하고, 아트라스BX는 A/S용(교체용) 제품을 공급함 |
| 경기변동 | ▷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교체 수요 비중이 커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둔감 |
| 주요제품 | ▷ 차량용 납축전지: 자동차 시동, 조명 작동에 사용 (80%) 가격 : '12년 4만7597원 → '13년 4만6875원 → '14년 3분기 4만5453원 ▷ 산업용 납축전지: (19%) 가격 : '12년 10만2718원 → '13년 11만5799원 → '14년 3분기 10만8472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납: 고려아연 등에서 구매 (76%). 가격 : 11년 2,397.83 USD/Ton → 12년 2,061.39 USD/Ton → 13년 2141.15 USD/Ton → 14년 2100.80 USD/Ton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매입단가 추이 |
| 실적변수 | ▷ 자동차 판매량 증가시 수혜 ▷ LME 납 가격 하락시 수혜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수혜 (수출 비중 67%) |
| 리스크 | ▷ 장기적으로 전기차, 수소차량 비중 확대시 납축전지 수요 감소 |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세방전지의 정보는 2015년 02월 27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세방전지]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세방전지]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세방(주) | 본인 | 보통주 | 5,312,352 | 37.95 | 5,312,352 | 37.95 | - |
| 이상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23,550 | 0.88 | 123,550 | 0.88 | - |
| 이앤에스글로벌(주)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15,900 | 0.83 | 115,900 | 0.83 | - |
| 이상웅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23,549 | 0.88 | 128,369 | 0.92 | - |
| 이려몽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23,549 | 0.88 | 123,549 | 0.88 | - |
| 임동준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390 | 0.003 | 390 | 0.003 | - |
| 이원섭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0 | 0 | 2,864 | 0.02 | - |
| 계 | 보통주 | 5,799,290 | 41.42 | 5,806,974 | 41.48 | - | |
| 우선주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