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대가의 선택] 윌리엄 밀러의 'SH에너지화학'

15.04/06
김미현
편집자주 대가의 선택은 역사상 존경 받는 투자자들이 '만약 한국에 투자했다면 어떤 기업을 샀을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주는 코너입니다. 종목 발굴시 대가들이 선택한 주요 지표를 국내 기업에 적용해 기업을 골라 소개합니다.
"수익성이 뛰어난 평균 이상의 기업을 매수하라"

윌리엄 밀러는 레그 메이슨 밸류 트러스트(Legg Mason Value Trust)의 매니저로 1991년부터 매년 S&P 500(미국 주가지수)보다 높은 실적을 올렸다. 이는 월가의 영웅 피터 린치의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밀러는 사업의 미래가치에 주목해 가치투자를 확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윌리엄 밀러는 기업의 수익성에 주목했다. 우선 영업이익률이 해당 업종에서 평균 이상인 기업을 골랐다. 그런 다음 ROE(자기자본이익률)가 15%를 넘고, 5년간 EPS(주당순이익)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한 기업을 선별했다. 즉, 업종 내 경쟁력이 있고 절대적인 수익성도 좋은 기업을 찾은 것이다.

또한, 그는 배당수익률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배당수익률이 국채 수익률에 가까운 기업을 매수해 과도하게 고평가된 기업을 피하고 성장하는 기업의 현금 창출력을 가늠하는 잣대로 사용했다.

윌리엄 밀러의 선택 'SH에너지화학'

SH에너지화학608원, ▼-2원, -0.33%은 밀러의 투자 기준에 부합하는 종목 중 하나다. 지난해 4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영업이익률은 9%로 화학 업종 평균인 3.2%보다 높다. 지난해 실적 기준 SH에너지화학의 ROE는 19.8%, 지난 5년간 EPS 성장률은 연평균 30%로 모두 밀러의 투자 기준(ROE 15% 이상, EPS성장률 10% 이상)을 만족한다.

SH에너지화학은 1958년에 설립된 합성수지 제조업체다. 주력 제품은 스치로폴의 원료인 EPS레진이다. EPS레진은 건축 단열재, 고급 포장 완충재, 연약지반 토목공법에 사용된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100% 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국내 시장점유율은 24%로 1위를 기록했다. 그 외 판매 제품으로 화장품 조성물(filler)로 사용되는 Nylon-12 Fine Powder가 있다.

SH에너지화학은 최근 수익성이 개선돼 눈길을 끈다. 지난해 연결 매출액은 2309억원으로 전년대비 0.4%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31% 급증한 213억원을 기록했다. ‘13년까지 100억원 미만을 기록했던 영업이익이 지난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유가하락으로 제품가격과 원재료 가격 차이(스프레드)가 확대된 덕으로 풀이 된다. SH에너지화학의 주력제품인 EPS레진의 원재료는 SM(Styrene Monomer, 스티렌 모노머)이다. SM은 벤젠(Benzene)으로 만드는데, 벤젠은 원유 정제과정에서 생산되는 납사(Naphtha)를 분해하면 발생한다. 따라서 SM가격은 원유가격과 연동하는 경향이 있다.



지난해 평균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76.6달러로 ‘13년 105.2달러 대비 8% 하락했다. 이에 제품판매가와 원재료 매입가 역시 함께 내렸다. EPS레진 판매가는 ‘13년 kg당 2289원에서 2191원으로 4% 하락했으며, SM 매입가는 같은 기간 1810원에서 1576원으로 13% 하락했다. SM 매입가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커서 스프레드가 확대됐다. 이에 영업이익률은 ‘13년 2.8%에서 지난해 9.2%로 6.4%P 증가했다.

유가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은 지난 4분기에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 4분기 매출액은 6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50% 급증한 70억원을 기록했다. 두바이유 평균 가격은 ‘13년 4분기 배럴당 106.2달러에서 지난 4분기 74.6달러로 30% 하락했다. 같은 기간 매출원가에 투입된 '원재료와 상품의 매입액 + 재고자산의 변동금액’ 비중은 81%에서 73%로 줄었다. 이 결과 매출원가율은 91%에서 82%로 낮아졌고, 영업이익률은 3.1%에서 11.7%로 높아졌다.

[SH에너지화학]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합성수지 및 플라스틱 제조회사, 미국 텍사스에서 천연가스 사업을 하는 자회사 보유
사업환경 ▷ 국내 건축자재 시장은 부동산 경기침체로 수요가 부진한 상황
▷ 중국과 중동의 설비 증설도 경쟁을 심화하는 요인
▷ 국내 합성수지 업체는 활로 모색을 위해 고부가 제품 개발 및 사업 다각화에 힘쓰고 있음
경기변동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건설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EPS레진: 건축단열재, 포장완충재 (97%, 11년 kg당 1926원 → 12년 2066원 → 13년 2289원 → 14년 3분기 2256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판매단가 추이
원재료 ▷ SM : 롯데케미칼 등에서 매입 (93%, 11년 kg당 1531원 → 12년 1599원 → 13년 1810원 → 14년 3분기 1640원)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매입단가 추이
실적변수 ▷ 건축경기 활성화시 제품 수요 증가
▷ SM 가격 하락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 지분 100% 자회사(SH Energy USA, Inc. 미국 천연가스 개발사)의 순이익 적자(2014년 반기 순이익 -4억원)
▷ 저가 중국산 유입으로 스치로폴 시장 경쟁 심화
신규사업 나노산화아연 양산설비 구축 검토 예정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SH에너지화학의 정보는 2015년 02월 12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SH에너지화학]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12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2,270 2,298 1,919 1,728
영업이익 203 72 29 44
영업이익률(%) 8.9% 3.1% 1.5% 2.5%
순이익(연결지배) 163 48 4 21
순이익률(%) 7.2% 2.1% 0.2% 1.2%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4.20
이시각 PBR 2.81
이시각 ROE 19.82%
5년평균 PER 45.55
5년평균 PBR 1.24
5년평균 ROE 3.47%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SH에너지화학]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REALTY ADVISORS, INC.본인보통주34,522,63831.0634,522,63831.06-
노상섭임원보통주71,4380.0671,4380.06-
보통주34,594,07631.1234,594,07631.12-
우선주00.0000.00-
[2014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