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대가의 선택] 데이비드 윌리엄스의 '경동가스'

15.03/19
형재혁
편집자주 대가의선택은 역사상 존경 받는 투자자들이 '만약 한국에 투자했다면 어떤 기업을 샀을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주는 코너입니다. 종목 발굴시 대가들이 선택한 주요 지표를 국내 기업에 적용해 기업을 골라 소개합니다.
"구조조정 중인 저평가 기업을 찾아라"

데이비드 윌리엄스는 '엑셀시어 밸류 앤 리스트럭처링'(Excelsior Value and Restructuring)이란 펀드를 운용한 투자 대가다. '더욱 더 높이'를 의미하는 '엑셀시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이 펀드는 가치 개선을 위해 구조조정 중인 회사들을 찾아 투자한다. 특히 장기적으로 이익을 개선시킬 수 있는 무언가가 진행되고 있는 기업을 선호한다.

윌리엄스는 회사가 구조조정으로 실적이 좋아지더라도 가격이 싸지 않으면 매수하지 않았다. 가치투자자의 시각으로 봤을 때 기업이 싸게 거래돼야 구조조정 이후 주가가 더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판단했다.

'경동가스', 윌리엄스의 조건 부합

윌리엄스의 저평가 판단 기준은 주가수익배수(PER)가 15배 미만이고, 주가순자산배수(PBR)가 1.2배 미만인 기업이다. 또한 최근 주당순이익(EPS) 성장률이 5% 이상인 기업을 선호했다.

경동가스는 윌리엄스의 투자 기준을 만족하는 상장사 중 하나다. 지난해 순이익(연결 지배) 기준 주가수익배수(PER)는 5배로 15배 이하이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6배로 기준인 1.2배보다 낮다. 최근 3년간 연평균 EPS 성장률은 34%다.

경동가스는 1977년 설립된 울산연탄을 모태로 하는 도시가스 회사다. 경상남도 울산시와 양산시를 주 공급지역으로 한다.

울산은 국내 최대의 산업지역으로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단지가 위치해 산용업 가스의 수요가 많다. 이 같은 입지 조건의 영향으로 경동가스는 일반 도시가스 업체와 달리 산업용 가스 매출 비중이 높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 비중은 산업용 가스 85%, 가정용 가스 10%이다.

도시가스 사업은 지역 독점과 생활 필수재 사업의 성격을 띤다. 경기민감형 사업과 비교해 실적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만, 국내 인구 성장 정체로 성장성이 제한적이고, 국가기간 산업으로 정부가 판매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점은 리스크다.

지난해 4분기 경동가스의 매출액은 56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14% 줄어든 82억9800만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지난 2013년 3분기부터 6분기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


 
영업실적 부진은 산업용 가스 판매량이 감소로 돌아선 탓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산업용 가스 판매량은 16억9500만 입방미터로 전년 동기에 비해 14% 감소했다. 석유화학, 조선업 부진으로 울산 지역 산업 가동률이 전년에 비해 낮아진 영향으로 보인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1일부터 도시가스 요금을 서울시 소매 요금 기준으로 평균 10.1% 내렸다. 올해 1월 종전 대비 평균 5.9% 내린 후 추가 인하가 이뤄졌다. 대체재 관계인 유가가 급락해 당분간 국제 천연가스 시세는 약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판매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판매가 인하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경동가스는 당분간 매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경동가스가 시가총액과 비교해 상당한 규모의 순현금자산을 보유한 점은 눈길을 끈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이 회사의 순현금자산(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자산 - 총 차입금)은 3050억원으로 현재 시가총액(3676억원) 83%에 이른다. 지역독점인 도시가스 사업자로 영업이익이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고 있고, 영업활동현금흐름도 꾸준히 양수(+)를 유지해 왔다. 이에 따라 순현금자산 등 여유자금은 앞으로도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상황에서 도시 가스 사업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상태다. 따라서 여유자금은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지난해 4분기 경동가스의 순이익(연결 지배)은 312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168% 급증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는 유가증권처분이익과 염수매수차익 발생으로 기타수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경동가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울산, 양산지역 도시가스 공급업체, 2009년 국내 최초 원료용 LNG 사업 진출
사업환경 ▷ 도시가스업체들은 정부가 지정해 준 해당 지역을 독점, 불필요한 경쟁 및 중복투자 방지 목적
▷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하나 타 지역으로 사업 확장 어려움
▷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가스 공급 가격이 결정돼 가격 인상이 자유롭지 못함
▷ 국내 가스업체들은 에너지 개발 등 신사업 발굴 중
경기변동 건설경기 및 산업경기에 영향을 받고 계절적으로 날씨에 민감
주요제품 ▷ 도시가스(CNG포함): 가스보일러 판매 등 (매출 비중 94%)
원재료 ▷ LNG: 한국가스공사에서 매입 (100%)
실적변수 ▷ 울산, 양산지역 자동차, 화학 산업가동률 상승시 매출 증가
▷ 겨울, 여름철 냉·난방 수요 증가시 수혜
▷ 가스 도입단가 하락 + 판매가 상승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 가스 판매단가가 정부 승인에 의해 결정돼 정책 영향이 큼
▷ 타 지역으로 사업 확장이 어려워 성장 제한
신규사업 ▷ 자동차 연료 충전 사업(CNG충전 사업), 2011년 7월 28일 울산 농소 CNG 충전소 준공
▷ 원료용 LNG 사업 : 2009년 국내 최초로 진출, SK에너지 울산공장 등에 납품 중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경동가스의 정보는 2015년 02월 16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경동가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12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23,995 26,641 24,038 18,062
영업이익 378 467 515 538
영업이익률(%) 1.6% 1.8% 2.1% 3%
순이익(연결지배) N/A 496 429 303
순이익률(%) N/A 1.9% 1.8% 1.7%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6.92
이시각 PBR 0.70
이시각 ROE 10.08%
5년평균 PER 6.14
5년평균 PBR 0.56
5년평균 ROE 9.36%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경동가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경동홀딩스최대주주본인보통주1,121,57132.181,121,57132.18-
손경호최대주주의 대표이사보통주245,0597.03245,0597.03-
이원집특수관계인중 친인척보통주16,5000.4716,5000.47-
이동대특수관계인중 친인척보통주5,5020.165,5020.16-
손원락특수관계인중 친인척보통주45,8831.3245,8831.32-
(주)경동나비엔계열회사보통주59,9881.7259,9881.72-
(주)경동에버런계열회사보통주17,2120.4917,2120.49-
손완호특수관계인중 친인척보통주3,0000.093,0000.09-
신승원계열회사 임원보통주1560.011560.01-
보통주1,514,87143.471,514,87143.47-
1,514,87143.471,514,87143.47-
[2014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