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이지바이오, 고가 대비 40%↓...매력 없나?

14.11/06
박동규
이지바이오4,250원, ▲65원, 1.55%가 강세다. 6일 오후 12시 51분 현재 전일 대비 5.6% 오른 512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7월 14일 기록한 52주 신고가 8630원에 비하면 40%나 급락한 상태다.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다. 지난달 30일부터 전일까지 약 43만주를 사들여 보유 지분율을 10.5%에서 11%로 끌어올렸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민연금도 지난달 8일 이지바이오 지분을 12.25%에서 13.34%로 1.09%P 확대했다고 알렸다.

▷ 옥수수 가격 하락 + 돼지고기 가격 상승 '수혜'

추락한 주가와는 반대로 이지바이오의 영업환경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최근 옥수수 가격 하락과 돼지고기 가격 상승이 맞물리면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지바이오는 배합사료와 참가제, 양돈사업, 가금사업, 가축진단·백신 사업을 수직계열화한 지주사로, 배합사료 매출 비중(올해 반기 기준)이 48%, 육가공 비중이 20%로 높다.

배합사료의 주 원재료인 옥수수 가격은 최근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 따르면 옥수수 선물 12월물 가격은 5일(현지시각) 전일 대비 1.59% 오른 부셸당 3.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13% 하락한 수준이다. 지난달 3일엔 연중 최저가인 3.2달러에 머물기도 했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지난해보다 강세를 나타내를 타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돼지고기 가격(탕박, 전국 평균 기준)은 2011년 킬로그램당 5691원에서 2012년 3878원, 2013년 3498원으로 지속 하락하다 올 3월 4500원으로 반등했다. 이달 들어 산출된 가격은 4965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가량 오른 상태다.



실제 반기보고서에 기재돼 있는 원재료 가격 추이를 보면, 사료사업부의 원재료(옥수수 등) 평균 매입단가는 올 상반기 kg당 386원으로 전년 대비 41% 하락했다. 또한 육가공사업부의 지육 평균 판매단가는 킬로그램당 4870원으로 14% 올랐다. 이에 따라 사료사업부 영업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209억원에서 올 상반기 323억원으로, 같은 기간 육가공사업부 영업이익은 32억원에서 301억원으로 각각 급증했다.

다만, 최근 원/달러 환율의 반등은 부정적이다. 옥수수 등 원재료 대부분은 수입하는 이지바이오는 달러 부채가 많아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영업외 부문에서 외환손실이 난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 10% 하락 시 발생하는 외환손실은 238억원이다.

현재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87원 수준으로 지난 3분기 말 대비 3% 가량 오른 상태다.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등의 이슈로 원/달러 환율은 지난 2분기를 저점으로 꾸준히 오르고 있다.



최근 4분기 합산 실적을 반영한 이지바이오의 주가수익배수(PER)는 6.7배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04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5.5%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3%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이지바이오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9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56위(상위 3%)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소맥, 옥수수, 대두박 등 곡물가격 상승·하락 관련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곡물가 하락으로 미국 농부들이 울상 지을 때, 반대편 나라에선 웃는 이들이 있다. 바로 곡물을 원재료로 이용해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이다.

곡물 가격은 주요 곡물 생산 국가들의 작황에 따라 움직인다. 가뭄이나 자연재해로 생산량이 줄면 곡물 가격이 상승하고, 작황이 좋으면 생산량이 늘어 곡물 가격이 하락한다. 만약 가격이 오르면 곡물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기업들의 원가율이 상승해 수익성이 악화된다.

하지만 이후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 제품가는 그대로 유지돼 영업이익이 증가한다. 원재료 급등 → 제품가 인상 → 원재료가 하락 → 제품가 유지 → 이익 급증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현 시점의 곡물 선물 가격은 약 5~6개월 후 기업들의 원재료 매입단가에 반영된다.

최근 국내 기업들은 곡물 자급률이 내리면서 수입의존도가 과거보다 높아졌다. 환율을 더욱 눈여겨 봐야 하는 이유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사료곡물 포함)은 지난 1990년 43% 수준이었으나, 2000년 30%, 지난해 23%까지 하락했다. 쌀을 제외하면 고작 3.4%에 불과하다. 한국의 곡물자급률(쌀 포함)은 OECD 34개 국가 중 28위 수준이다.

[곡물 가격 관련주]
-사료 및 제분(옥수수, 소맥 등): 동아원
-제분(소맥): CJ제일제당, 대한제분
-전분당(옥수수): 삼양제넥스, 대상
-유지류(대우유 등): 롯데푸드, 사조해표

[소맥, 옥수수, 대두박 등 곡물가격 상승·하락 관련주] 관련종목

주가 : 11월 6일 오후 12시 38분 현재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대한제당 30,700원 ▼400원 (-1.3%) 0 0 N/A 9.2 0.51 5.5%
선진 36,950원 ▼300원 (-0.8%) 2,831 162 185 7.5 1.86 25%
고려산업 1,985원 ▼85원 (-4.1%) 896 65 64 5.1 0.70 13.7%
영남제분 1,835원 ▼60원 (-3.2%) 379 -19 4 28.2 0.88 3.1%
한일사료 1,375원 ▲10원 (0.7%) 654 17 46 4.5 0.75 16.6%
우성사료 2,825원 ▼10원 (-0.4%) 1,415 26 34 8.8 0.50 5.7%
동아원 3,025원 ▼55원 (-1.8%) 2,382 72 77 10.9 1.38 12.7%
케이씨피드 1,465원 ▼50원 (-3.3%) 457 10 -8 8.2 0.39 4.7%
팜스토리 1,310원 ▼10원 (-0.8%) 2,040 141 124 4.3 0.83 19.5%
이지바이오 5,110원 ▲245원 (5%) 597 115 275 6.4 0.99 15.5%
팜스코 15,750원 0원 (0%) 4,035 167 193 13.4 2.16 16.1%
씨티씨바이오 12,850원 ▼50원 (-0.4%) 482 9 -40 N/A 2.55 -4.2%
삼양사 67,900원 ▼1,000원 (-1.5%) 6,459 302 283 9.8 0.68 7%
백광산업 2,625원 ▲10원 (0.4%) 1,491 -164 -180 N/A 0.56 -30.5%
삼양제넥스 117,500원 ▲500원 (0.4%) 1,884 228 190 6.5 0.64 9.9%
대상 39,000원 ▼2,700원 (-6.5%) 7,831 649 565 11.2 1.96 17.5%
대한제분 175,000원 ▼3,000원 (-1.7%) 1,840 199 259 6.7 0.49 7.4%
CJ제일제당 371,000원 ▼17,500원 (-4.5%) 21,818 1,790 771 33.2 1.77 5.3%
롯데푸드 664,000원 ▼15,000원 (-2.2%) 8,092 388 327 13.8 1.16 8.4%
사조해표 13,200원 ▼1,450원 (-9.9%) 3,061 91 131 6.6 0.94 14.3%
* 기간 : 2014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이지바이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도드람' 브랜드로 알려진 축산산업 수직계열화한 지주회사로 동물약품 제조
사업환경 ▷ 사료의 안전성, 친환경성, 천연·유기농성을 갖춘 동물의약품이 향후 시장을 선도할 전망
▷ 동물약품은 경제동물의 생산을 위한 생산재로 사용됨, 축산농가가 반복적으로 구매하고 있음
▷ 육가공사업은 단순한 냉장육 중심에서 기능성 사료 첨가, 유기 축산물, 동물 복지 등 특성화된 브랜육 시장이 성장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둔감한 산업으로 주로 질병발생 관련 문제, 국제 곡물시세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사료사업부(49%) , 양돈사료 11년 586원/kg → 12년 580원/kg → 13년 709원/kg
▷ 육가공사업부(17%), 지육 11년 6501원/kg → 12년 4810원/kg → 13년 4259원/kg
▷ 가금사업부(32%) , 닭고기 11년 3165원/kg → 12년 2653원/kg → 13년 3083원/kg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옥수수 (56%)
▷ 생돈 (12%)
▷ 초생추 외 (13%)
▷ 사료(11%)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옥수수 및 소맥(밀) 국제가격 하락시 수혜
▷ 환율 하락시 원가경쟁력 상승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이지바이오의 정보는 2014년 04월 14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이지바이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6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597 1,136 1,270 951
영업이익 115 210 205 136
영업이익률(%) 19.3% 18.5% 16.1% 14.3%
순이익(연결지배) 275 124 172 103
순이익률(%) 46.1% 10.9% 13.5% 10.8%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6.42
이시각 PBR 0.99
이시각 ROE 15.45%
5년평균 PER 22.79
5년평균 PBR 0.88
5년평균 ROE 8.66%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이지바이오] 주요주주

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지원철 본인 보통주 6,201,321 13.20 6,201,321 13.20 -
성순희 특수관계 보통주 751,698 1.60 751,698 1.60 -
지현욱 특수관계 보통주 8,202,101 17.46 8,202,101 17.46 -
농업회사법인(주)우리손홀딩스 특수관계 보통주 1,231,855 2.62 1,231,855 2.62 -
김지범 특수관계 보통주 3,579 0.01 3,579 0.01 -
아날로그 특수관계 보통주 139,946 0.30 139,946 0.30 -
보통주 16,530,500 35.19 16,530,500 35.19 -
우선주 - - - - -
[2013년 12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