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세운메디칼, 기관 '러브콜'...배경은?

14.10/17
강현정
기관이 순매수하고 있는 세운메디칼2,900원, 0원, 0%이 전일에 이어 강세다.

17일 오전 11시 22분 현재 세운메디칼은 전일보다 5.1%(390원) 오른 79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엔 4.8% 상승했다. 최근 한 달(9월 17일 ~ 10월 16일) 동안 기관은 세운메디칼 주식 128만1675주를 순매수했다. 이는 발행주식수의 2.9% 규모다.

이런 가운데 증권업계는 포괄수가제 정책이 확대되면서 세운메디칼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했다. 포괄수가제가 확대 적용되면서 병원이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원가 절감 노력을 하면, 세운메디칼의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봤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7월부터 7개 질병군에 대한 포괄수가제를 전국 병원과 의원으로 확대 실시했다. 포괄수가제란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의 종류나 양에 관계없이 어떤 질병의 진료를 위해 입원했었는가에 따라 미리 책정된 일정액의 진료비를 의료기관에 지급하는 제도다.

즉 사전에 정해진 진료비를 지불하는 제도다. 가격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수익성을 유지하거 높이기 위해선 원가를 낮춰야 한다. 현재 7개 질병군에만 한정돼있지만, 앞으로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종전에는 행위별수가제로 진료할 때마다, 진료내용마다 진료비를 지급하는 제도였다.

세운메디칼의 주력제품은 의료용 흡인기로 불리는 전기시술장치(매출 비중 13.7%)다. 수술 후 환부에 고인 체액, 혈장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치유시간 단축 및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제품으로 세운메디칼이 1987년 국산화에 성공했다.



외국제품보다 가격이 낮아 포괄수가제 확대 실시에 따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증권업계는 내다봤다. 실제 포괄수가제가 확대된 지난해 세운메디칼은 매출액은 481억원을, 영업이익은 100억원을 각각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바 있다.

최근 신설한 베트남공장도 세운메디칼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세운메디칼은 지난해 3월 29일부터 올 상반기까지는 66억원 가량을 투입해 베트남 공장을 신설했다.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하락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운메디칼이 해외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보인다. 세운메디칼은 주요 제품군에 대해 미국 FDA(식품의약국), 캐나다 CMDCAS(캐나다 의료기기 인증), 일본 JGMP(일본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를 순차적으로 획득했다. 올해 상반기 세운메디칼의 수출 금액은 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났다. 이에 따라 매출비중도 12.8%에서 15.0%로 높아졌다.

▷ 주식 MRI 상위 12%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세운메디칼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05위(상위 12%)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주가순자산배수(PBR)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비교해 측정한 밸류에이션 매력은 낮았다. 현재 PBR은 5.52배로 5년 평균 PBR 3.32배 대비 66% 높다. 다만 ROE는 13.29%로 5년 평균 12.05%대비
10% 높은 수준이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의료기기 업계]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삼성전자는 메디슨과 넥서스를 인수해 의료기기사업에 진출했다. 10년간 1.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LG, SK그룹도 의료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U-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산업은 높은 기술수준 요구, 제도적 규제, 품질 중심의 수요 등으로 진입장벽이 높다. 연구개발비 부담으로 첨단 고부가가치 제품은 대기업이 주도하고, 일반 검사와 분석기기 등은 전문 중소기업이 중심이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미국이 전세계 시장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에서 국내 시장의 비중은 1.3%로 순위는 13위다. 아직 국내 의료기기 경쟁력이 약해 수입의존도가 67%며 수출은 초음파 영상진단기, 치과용 임플란트 등 범용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중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만성질환의 치료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스텐트 등 의료용 수술기기, 제세동기, 혈당측정기, 인공관절 등 의료기기 수요도 함께 증가했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 주요 기업은 존슨앤존슨, GE, 지멘스, 필립스, 로쉐 등이 있다.

[관련기업]
삼성메디슨(비상장): 삼성그룹 의료기기 사업 중심 기업
휴비츠: 안경점 및 안과용 진단기기
바텍: 국내 치과용 디지털 X-ray 70% 점유. 세계 4위
오스템임플란트: 국내 치과용 임플란트 40% 점유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 영상 전송 저장시스템(PACS) 솔루션 개발
인포피아: 휴대용 혈당 측정기, 콜레스테롤 측정기 생산
뷰웍스: 디지털 X-ray 디텍터
바이오스페이스: 체성분 분석기 국내 1위
나노엔텍: 세포계수기, 유전자 주입, 진단기기 제조
루트로닉: 흉터, 주근깨 치료 등 의료용 레이저치료기 전문
씨유메디칼: 심장 제세동기 생산
아이센스: 휴대용 혈당계, 혈당스트립 생산
세운메디칼: 비혈관용 스텐트 및 인공유방보형물 제조
코랜텍: 인공관절(고관절, 슬관절)
인터로조: 시력교정 및 미용 콘텍트렌즈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기자재

[의료기기 업계] 관련종목

주가 : 10월 17일 오전 11시 10분 현재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휴비츠 16,100원 ▲250원 (1.6%) 301 13 14 N/A 2.76 -2.8%
바텍 26,750원 ▲800원 (3.1%) 496 74 70 30.5 4.30 14.1%
오스템임플란트 41,800원 ▲1,250원 (3.1%) 806 125 73 52 6.40 12.3%
인피니트헬스케어 8,220원 ▲310원 (3.9%) 155 1 -18 4 3.70 0.1%
인포피아 13,700원 ▲450원 (3.4%) 242 16 4 N/A 2.00 -16.4%
뷰웍스 37,650원 ▲900원 (2.5%) 344 74 50 31.6 5.65 17.9%
인바디 28,150원 ▲1,150원 (4.3%) 183 52 59 44.2 6.54 14.8%
나노엔텍 6,380원 0원 (0%) 85 -4 -21 N/A 3.99 -4.9%
루트로닉 20,900원 ▲1,450원 (7.5%) 324 33 8 N/A 6.04 -1.6%
씨유메디칼 10,600원 ▲660원 (6.6%) 105 4 -3 N/A 1.77 -1.4%
아이센스 61,700원 ▲900원 (1.5%) 462 81 74 30.3 5.03 16.6%
세운메디칼 7,910원 ▲360원 (4.8%) 246 58 36 41.5 5.52 13.3%
코렌텍 16,750원 ▲300원 (1.8%) 122 0 -9 88.8 3.07 3.5%
인터로조 21,850원 ▲50원 (0.2%) 196 30 30 26.6 4.07 15.3%
디오 7,360원 ▲140원 (1.9%) 296 15 -49 N/A 2.33 -29.4%
* 기간 : 2014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세운메디칼]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의료용 흡인기 국내 1위. 카테타 등 각종 의료기기 제조
사업환경 ▷ 의료기기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2~3년내에 제품 개발이 가능해 벤처기업에 적합
▷ 의료용 흡인기 및 카테터의 주 원료는 실리콘으로 원료 수급이 쉬움
경기변동 ▷ 경기에 둔감한 산업으로 인구구조 및 소득수준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의료용 저압 지속 흡인기(14%) : 수술 후 상처부위의 체액, 고름 제거용
▷ 비뇨기과용 튜브 카데타 (12%) : 소변배출 및 세척
▷ 흡인용 튜브 카테타(10%) : 수술 후 상처부위의 체액, 고름 제거용
▷ 시트(11%) : 플라스틱 제조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PLA(56%) : 전분
▷ 실리콘류(25%) : 액상실리콘, 실리콘 60, 실리콘 Q50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인구 고령화,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른 의료기기 수요 증가시 수혜
▷ 현재 진행 중인 항균제품 개발 임상 종료 시 매출, 수익성 기여 여부
신규사업 ▷ 인공유방 보형물 개발
▷ 혈액·수액 온열가온기 제품 개발
▷ Epistim(척추카테타) 개발 판매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세운메디칼의 정보는 2014년 09월 26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세운메디칼]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6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246 481 462 405
영업이익 58 100 64 52
영업이익률(%) 23.6% 20.8% 13.9% 12.8%
순이익(연결지배) 36 85 53 36
순이익률(%) 14.6% 17.7% 11.5% 8.9%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41.52
이시각 PBR 5.52
이시각 ROE 13.29%
5년평균 PER 29.90
5년평균 PBR 3.32
5년평균 ROE 12.05%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세운메디칼]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이길환본인보통주18,284,40041.7518,284,40041.75-
이재희임원보통주3,600,0008.213,600,0008.21-
이재연보통주3,000,0006.853,000,0006.85-
허몽도임원보통주55,7800.1355,7800.13-
보통주24,940,18056.9424,940,18056.94-
------
[2014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