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MD&A] 율촌화학, "필름사업부 정상화, 총력 다할 것"

14.03/28
김구민
편집자주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서(MD&A: Management Discussion & Analysis)는 경영자의 시각에서 기업에 관한 미래전망과 분석의견을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상장사의 경우 자발적 공시에 해당해 기존의 재무제표를 요약하는 정도이고 투자자가 원하는 장래전망이나 분석정보는 취약한 편입니다. 그럼에도 일부 상장기업의 경우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13년 결산보고서에 수록된 MD&A를 통해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일부 발췌 또는 요약해 소개합니다. -아이투자-

율촌화학34,850원, ▲950원, 2.8%은 2013년 결산보고서에 수록된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을 통해 "2014년은 기존 사업부의 성장을 통한 수익 증대는 물론, 투자 완료된 필름사업부의 정상화를 위해 시키는데 총력을 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성장이 가속화되는 이 시점에서 신중한 발걸음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조직역량을 강화하여 시장 선도기업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주요 내용(원문 일부 발췌)

2013년은 전년도 경제 악화의 여파가 상존하는 한 해였습니다. 국가간 상호 의존도는 더욱 커졌으며 이에 따른 시장의 변동성 또한 매우 커졌습니다. 이에 한 국가의 경제 정책은 다른 국가에 바로 영향을 미쳐 신흥국들의 갑작스런 경제위기를 초래하는 등 그 방향성을 짐작하기 힘든 한해였습니다. 다만 원유가 안정과 엔화의 평가절하로인해 당사의 원재로 가격은 상당부분 합리적인 가격에 형성 되었으며 이 사실은 당사의 사상 최대규모의 매출액 달성에 일정부분 공헌하였습니다. 매출액의 점진적인 증가와 제반 비용의 감소에 힘 입어 이익수준이 보다 상승할 수 있었습니다.


최대 매출을 기록한 이 시점에서 율촌화학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국제정세 리스크가 상존해 있으며 침체되어 있는 소비재 시장은 비단 율촌화학 뿐만이 아닌 제조업 전체의 위기 상황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당사는 과감한 투자와 적극적인 R&D 역량 강화로 위기를 정면돌파하고 있습니다. 2013년 완공된 필름라인은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영업력 확보에 전력투구 하고 있습니다.

전자재료 사업부는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시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했으며 매 분기 매출액 신장을 주도하며 율촌화학의 새로운 성장모델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물론 연포장과 골판지 역시 안정적인 성장을 통해율촌화학의 Cash Cow 역할을 해 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영활동 성과로 2013년 율촌화학의 영업실적은 전년대비 8.6% 성장한 4,406억의 매출과 274억의 당기순이익을 실현하였습니다.


올해 율촌화학은 신 성장 동력과 기존 사업들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통해 지속 가능한 혁신을 추구하는 한 해를 이루어 나가겠습니다. 2014년 율촌화학은 "虎視牛步"를 경영지침으로 정하였습니다. 성장이 가속화되는 이 시점에서 율촌화학은 신중한 발걸음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조직역량을 강화하여 시장 선도기업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자 합니다.

 

2013년 당사는 전자재료 사업부의 개선과 연포장 및 골판지 등 전 사업부의 고른 매출증가를 시현하며 전년 대비 8.61%의 매출액 증가를 달성하였습니다.

특히 2012년 말을 기점으로 전자재료 사업부가 흑자전환하며 이익률 개선에 큰 역할을 하여 매출액은 4,407억,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4.19% 증가한 368억을 달성하며 이익구조의 체질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습니다.

포승 공장의 투자가 완료되고 비용의 지급이 본격화됨에 따라 차입에 따른 금융비용이 전년 대비 412%로 크게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생산단위가 확대되고 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법인세 비용도 전년 대비 65%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투자로 인해 외형이 증가했고 그로인해 비용도 증가되는 양상입니다.
 
2014년은 기존 사업부의 성장을 통한 수익 증대는 물론, 투자 완료된 필름사업부의 정상화를 위해 시키는데 총력을 다 할 것입니다.



[율촌화학]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농심 계열의 포장지 제조업체 (연포장, 필름, 소재, 골판지 등)
사업환경 ▷ 포장재 시장은 식품 및 생활용품에서 건축, 의료, 전기전자 산업등으로 시장 규모 확대 추세
▷ 범용 포장재의 경우 기술이 평준화되고 있어 품질·납기·서비스 및 가격 경쟁이 매우 치열한 산업
▷ 전자산업 소재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과 함께 성장
경기변동 ▷ 식품산업 경기에 민감하며, 식품산업은 국내 소비경제의 상황과 경기전반에 따라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연포장 사업부: 라면, 스낵등의 포장재 (45%)
▷ 소재사업부: 산업용 소재 (24%)
▷ 필름 사업부: 식품포장재 등의 원료 (18%)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폴리프로필렌(PP) 레진: 호남석유, 삼성토탈 등에서 매입 (10년 1,580천원/톤 → 11년 1,822천원/톤 → 12년 1,760천원/톤 → 13년 1,740천원/톤)
▷ 원지: 아세아제지, 진영제지 등에서 매입 (10년 486.8천원/톤 → 11년 527.6천원/톤 → 12년 475.1천원/톤 → 13년 458천원/톤)
* 괄호 안은 매입단가
실적변수 ▷ 농심 매출 성장시 수혜
▷ IT분야 등 그 외 전방산업 호황시 수혜
신규사업 ▷ 점착재와 이형지를 생산하는 전자소재사업 진출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율촌화학의 정보는 2013년 10월 13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율촌화학]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4,407 4,057 3,766 3,427
영업이익 368 274 214 256
영업이익률(%) 8.4% 6.8% 5.7% 7.5%
순이익(연결지배) 275 226 220 208
순이익률(%) 6.2% 5.6% 5.8% 6.1%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3.22
이시각 PBR 1.14
이시각 ROE 8.62%
5년평균 PER 10.57
5년평균 PBR 0.82
5년평균 ROE 7.72%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율촌화학]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농심
홀딩스
본인보통주10,000,00040.32 10,000,00040.32 -
신춘호특수관계인보통주3,347,89013.50 3,347,89013.50 -
신동윤특수관계인보통주1,508,5606.08 1,508,5606.08 -
김낙양특수관계인보통주1,140,1504.60 1,140,1504.60 -
김희선특수관계인보통주52,1700.21 52,1700.21 -
보통주16,048,77064.71 16,048,77064.71-
총 계16,048,77064.71 16,048,77064.71-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