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대한제강, 저PER과 PBR 모두 포함...왜?

13.10/16
김구민
대한제강13,120원, ▼-40원, -0.3%이 업종 내에서 낮은 투자지표를 기록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16일 아이투자(www.itooza.com)에 따르면 대한제강은 철강업종 내 저PER(주가수익배수), 저PBR(주가순자산배수) 리스트에서 모두 상위 10위권에 포함됐다. PBR은 0.44배로 8위에 자리했으며, PER은 7.26배로 4위를 기록했다. 이날 개장전 순위에 따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PBR과 PER은 낮을 수록 저평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대한제강의 저평가 이유는 무엇일까.



PBR이 낮은 것은 최근 철강 업황 둔화 영향으로 풀이된다. 건설업 침체가 장기화 되고 있는데다 중국의 공급과잉이 겹쳐 업황이 악화됐다. 이에 따라 주요 제품인 철근 가격은 지난 2011년 톤당 80만4000원에서 2012년엔 79만6000원으로 하락했고, 올해 상반기엔 73만6000원으로 내렸다.

그 영향으로 대한제강의 상반기 매출액은 517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9% 줄었다. 상위 10선에 포함된 철강업체 모두가 순자산의 50%도 되지 않는 수준에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은 비슷한 요인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특히 대한제강의 PBR은 지난 2005년 상장 이래 최저치 수준이다.



그렇다면 수익성 지표인 PER은 왜 낮을까. 이는 보조금 수익에 따라 순이익이 증가한 결과로 보인다. 대한제강은 지난해 정부가 시행한 자율 절전에 참여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207억원 가량의 보조금을 받았다. 이러한 일회성 이익이 기타수익으로 잡히면서 순이익이 영업이익 규모를 넘어섰다. 2012년 연간 영업이익은 173억원이였으나 순이익은 31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에도 상반기 동안 27억원의 보조금 수익이 반영돼 영업이익 대비 높은 순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 철근 주력의 제강업체

대한제강은 지난 1954년에 설립돼 2005년 거래소에 상장한 제강업체다. 오치훈 부사장이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지분 53.46%를 보유하고 있다. 본사가 위치한 부산 신평과 녹산에 제강 및 압연공장을 갖고 있으며, 경기도 평택과 부산 녹산에 철근 가공공장을 운영 중이다. 또한 철강 물류를 담당하는 대한네트웍스, 부산 센텀시티에 빌딩을 소유한 부동산 관리 회사 센텀사이언스파크를 각각 100% 자회사로 두고 있다. 

제강이란 전기로에서 철스크랩을 녹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말하는데, 대한제강은 이 과정을 통해 빌렛(매출 비중 12%)과 철근(85%)을 생산한다. 빌렛은 철근 제작에 쓰이는 반제품이며, 철근은 건설 현장에서 주로 쓰인다. 대한제강은 제품을 만들어 건설사에 직접 납품해 건설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주 원재료인 철스크랩과 부자재인 합금철은 국내와 해외에서 조달한다. 국내산 철스크랩은 성호기업, 경원스틸, 삼진자원 등에서, 수입산은 일본, 미국 등에서 구매한다. 합금철은 국내 동부메탈에서 매입하거나 중국 및 인도 등지에서 수입한다. 전체 원재료 매입액에서 철스크랩 비중은 9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철강업계]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철강 생산은 고로와 전기로 방식으로 구분된다. 고로는 철광석을, 전기로는 고철을 녹여 제품을 생산한다.

고로의 수익성이 전기로보다 좋으며 우리나라에선 포스코, 현대제철이 고로를 가동 중이다. 주요 전방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전자 산업이다.

[주요 철강기업]
고로: 포스코, 현대제철
전기로: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세아베스틸, 대한제강, 한국철강
열연판매: 부국철강, 삼현철강, 동양에스텍, 문배철강, 대동스틸, 한일철강, 우경철강
냉연판매: 금강철강, 경남스틸
강관: 세아제강, 휴스틸, 현대하이스코
강판: 현대하이스코, 유니온스틸, 동양석판(비상장)
내화물: 포스코켐텍, 조선내화(포스코 납품), 한국내화(현대제철 납품)
생석회: 백광소재, 포스코켐텍
합금철: 동부메탈(비상장), 심팩메탈로이, 동일산업

[철강업계]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POSCO 313,000 ▲500 (0.2%) 154,244 12,847 7,650 14.7 0.67 4.5%
현대제철 87,300 ▲300 (0.3%) 60,801 3,031 1,100 13 0.76 5.8%
동국제강 15,750 ▲100 (0.6%) 20,364 69 -1,348 N/A 0.41 -11.2%
동부제철 2,260 ▼25 (-1.1%) 16,789 182 -827 N/A 0.09 -9.3%
세아베스틸 26,600 ▼50 (-0.2%) 10,662 826 597 10.6 0.70 6.5%
대한제강 6,550 ▼50 (-0.8%) 5,174 104 130 7.3 0.44 6%
한국철강 27,700 ▼500 (-1.8%) 4,202 -46 -1 19.3 0.39 2%
부국철강 2,090 ▼15 (-0.7%) 1,346 22 27 8.7 0.40 4.6%
삼현철강 4,015 ▲55 (1.4%) 1,315 56 59 7 0.53 7.5%
동양에스텍 2,135 ▼20 (-0.9%) 1,046 28 16 N/A 0.44 -0.1%
문배철강 1,800 0 (0%) 739 18 16 11.1 0.46 4.2%
대동스틸 5,530 ▲30 (0.6%) 713 24 -2 N/A 0.97 -3.5%
한일철강 13,550 ▼200 (-1.4%) 640 14 -44 N/A 0.18 -5.1%
금강철강 2,485 ▼5 (-0.2%) 1,272 39 41 5.8 0.50 8.6%
경남스틸 6,620 ▼30 (-0.5%) 1,595 51 30 6.2 0.54 8.7%
세아제강 90,000 ▲400 (0.5%) 9,055 631 411 7.9 0.51 6.5%
휴스틸 19,600 ▼350 (-1.8%) 2,733 78 68 8.3 0.35 4.2%
현대하이스코 42,700 ▲2,600 (6.5%) 31,177 1,421 1,093 13.3 1.61 12.1%
유니온스틸 15,700 ▼100 (-0.6%) 8,835 319 431 39.9 0.22 0.6%
포스코켐텍 131,500 ▼800 (-0.6%) 6,146 331 274 12.4 1.89 15.2%
조선내화 79,100 ▲500 (0.6%) 2,450 118 174 7.9 0.57 7.3%
한국내화 3,330 ▼30 (-0.9%) 1,280 82 45 8 0.81 10.1%
백광소재 21,550 ▼150 (-0.7%) 600 39 29 8.8 0.56 6.4%
SIMPAC METALLOY 6,800 ▼20 (-0.3%) 605 58 63 7.5 0.50 6.7%
동일산업 53,100 ▼600 (-1.1%) 1,995 83 74 7.2 0.42 5.9%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대한제강]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철근, 발렛 등 건설자재를 생산하는 업체
사업환경 건설경기 침체 및 경쟁 심화에 따라 영업환경은 부진한 상황
경기변동 경기에 따른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건설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철근: 건설자재 (84%)
▷ 빌렛: 봉/형강 반제품 (14%)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철스크랩(95%) (10년 44만원/톤 → 11년 51만원 → 12년 48만원 → 13년 반기 42만원)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건설경기 호전시 수혜
▷ 철광석 가격 하락시 수혜
리스크 ▷ 건설 및 주택 시장의 장기 불황
▷ 부채비율이 96%로 높음
신규사업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대한제강]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6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5,174 10,451 9,024 7,991
영업이익 104 173 197 216
영업이익률(%) 2% 1.7% 2.2% 2.7%
순이익(연결 지배) 130 311 131 156
순이익률(%) 2.5% 3% 1.5% 2%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7.26
이시각 PBR 0.44
이시각 ROE 6.05%
5년평균 PER 10.96
5년평균 PBR 0.71
5년평균 ROE 11.65%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대한제강]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오치훈본인보통주4,530,94018.384,530,94018.38-
오완수친인척 보통주4,081,43516.564,081,43516.56-
오원수친인척보통주561,3202.28522,4102.12-
오태수친인척보통주1,272,7455.161,272,7455.16-
오성익친인척보통주1,046,9274.251,046,9274.25-
오거돈친인척보통주636,3902.58636,3902.58-
오광태친인척보통주271,1801.10271,1801.10-
오형근친인척보통주427,3351.73427,3351.73-
오경태친인척보통주222,4750.90222,4750.90-
오성수친인척보통주10,8750.0410,8750.04-
이정자친인척보통주103,0100.42103,0100.42-
오민정친인척보통주12,3050.0512,3050.05-
오은정친인척보통주12,3050.0512,3050.05-
오희정친인척보통주12,3050.0512,3050.05-
오유진친인척보통주12,3050.0512,3050.05-
보통주13,213,85253.6113,174,94253.46-
우선주0000-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