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신대양제지, 투자 매력은?

13.10/04
김구민
4일 아이투자(www.itooza.com)에 따르면 신대양제지6,170원, ▲10원, 0.16%의 투자 매력이 상장사 중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신대양제지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9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50위(상위 3%)를 차지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신대양제지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순이익 성장률이 34%를 기록해 수익 성장성에서 5점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유동비율이 289%로 높고, 부채비율이 22%로 낮은 점과, 잉여현금흐름이 순이익보다 많고,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이 8%를 기록한 점 등이 반영돼 현금 창출력과 재무 안선성에서도 각각 4점과 5점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최근 5년간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이 8.8%로 두 자릿수 미만인 점이 등이 반영돼 사업 독점력에서 3점으로 다소 낮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현재 주가수익배수(PER)가 4.1배로 과거 5년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인 점 등이 반영돼 밸류에이션은 2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최근 실적은 부진했다. 2분기 매출액은 591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6억원으로 58% 줄었다. 제품(골판지원지) 내수 판매 가격이 톤당 37만8000원으로 지난해 대비 22% 내린 점이 주로 반영됐다.

▷ 골판지 원지 제조사

신대양제지는 지난 1982년 설립돼 1995년 상장된 골판지 원지 제조업체다. 골판지 원지는 골을 만들어 완충 역할을 하는 골심지와 골심지의 표면에 접합하여 인쇄를 하는 표면지, 골판지 안쪽 면에 붙이는 이면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신대양제지는 골심지, 이면지를 주력으로 한다. 

회사는 국내 시장에서 14.2%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종 사업을 하는 계열사 대양제지는 7.2%의 점유율로 4위권에 자리하고 있다. 신대양제지는 대양제지 외에 광신판지, 신대한판지, 대양판지, 대영포장 등이 포함된 대양그룹에 속해있다. 그룹 내에서 골판지 원지에서 상자에 이르기까지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다. 

골판지 원지로 만드는 골판지 상자는 섬유제품, 전자제품, 식품, 의약품, 농·수산물 등 각종 제품의 포장 상자로 사용된다. 최근 국내외 경기 침체 영향으로 전기전자산업의 골판지 수요는 정체 혹은 둔화되고 있으나 농수산물 및 식음료의 비중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하 한국밸류)은 최근 신대양제지 보유 비율을 확대했다. 지난 1일 공시에 따르면 직전 6.31%던 지분율은 7.63%로 늘었다. 장내매수를 통해 주당 2만2000원대에 4만7500주를 추가 매수한 결과다. 한국밸류는 지난 5월 신대양제지 지분율을 5% 미만으로 낮췄으나 6월에 다시 5% 위로 확대한 바 있다.

아이투자는 지난달 4일 한국밸류의 지분 확대에 주목해 관련 내용을 '미리분석'으로 다뤘다. (바로가기 ☞  [미리분석] 신대양제지, 한국밸류 컴백...왜?)



[제지업계]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제지업은 크게 인쇄용지와 골판지로 구분한다. 각각 원재료인 국제 펄프 가격, 국내 고지 가격이 하락하면 수혜를 입는다. 인쇄용지는 경기에 비교적 둔감한 반면, 골판지는 산업 수요가 많아 경기에 민감하다.

제지업체는 대부분 저성장 기업에 속해 PBR 0.3~1배에 주로 거래된다. 따라서 제지업종 주식이 PBR 1에 접근하면 고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주요 제지기업]
펄프: 무림P&P
인쇄용지: 한솔제지, 한국제지, 무림페이퍼(이상 Big3), 아트원제지
골판지 원지: 신대양제지, 아세아제지, 동일제지(이상 Big3), 영풍제지, 아세아페이퍼텍
골판지 상자: 태림포장, 대영포장, 삼보판지(이상 Big3), 수출포장
특수지, 산업용지: 무림SP, KGP

[제지업계]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한솔제지 11,600 ▲100 (0.9%) 6,761 567 208 38.1 0.64 1.7%
한국제지 24,350 ▼50 (-0.2%) 3,255 81 42 15.8 0.26 1.6%
무림페이퍼 2,425 ▼25 (-1%) 2,626 94 121 N/A 0.30 -3.2%
신대양제지 21,400 0 (0%) 1,144 54 51 4.1 0.32 7.8%
아세아제지 18,200 ▲100 (0.6%) 1,999 145 98 5.8 0.35 6.1%
동일제지 2,105 ▼25 (-1.2%) 1,024 46 29 7.3 0.39 5.4%
영풍제지 19,950 0 (0%) 511 19 18 9.8 0.44 4.5%
태림포장 2,340 0 (0%) 1,839 83 87 7.4 0.47 6.3%
KGP 1,625 ▲20 (1.3%) 337 -1 -22 N/A 0.58 -76.8%
대영포장 883 ▲5 (0.6%) 1,037 62 50 6.6 0.71 10.9%
삼보판지 5,190 ▼100 (-1.9%) 511 32 31 5.6 0.30 5.3%
수출포장 23,200 ▼200 (-0.8%) 1,187 132 92 4.3 0.43 10%
무림P&P 5,890 ▲20 (0.3%) 3,313 364 81 12.3 0.66 5.4%
무림SP 2,375 ▼25 (-1%) 780 71 48 6.8 0.32 4.6%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신대양제지]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골판지원지를 만드는 제지업체
사업환경 ▷ 골판지원지는 골심지, 표면지, 이면지로 구분
▷ 경제규모 확대와 인터넷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골판지 상자 수요는 매년 증가추세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소비재 산업으로 펄프가격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골판지용 원지 (100%)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국내 고지 (49%, 10년 203,461원 → 11년 241,155원 → 12년 188,505원)
▷ 골판지 원지(45%, 10년 471,210원 → 11년 526,722원 → 12년 468,032원)
실적변수 ▷ 펄프 및 고지가격 하락시 수혜
▷ 환율 하락시 수혜
리스크 ▷ 원재료인 고지가격 변화에 따른 이익 변동폭이 큼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신대양제지]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6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1,144 2,627 3,073 2,657
영업이익 54 330 156 169
영업이익률(%) 4.7% 12.6% 5.1% 6.4%
순이익(연결 지배) 51 212 116 158
순이익률(%) 4.5% 8.1% 3.8% 5.9%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4.11
이시각 PBR 0.32
이시각 ROE 7.85%
5년평균 PER 4.13
5년평균 PBR 0.32
5년평균 ROE 8.81%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신대양제지]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권혁홍본인보통주1,010,00528.131,010,00528.13-
권택환친족보통주555,40015.47555,40015.47-
신대한판지(주)특수관계인보통주237,0146.6000-
권우정친족보통주291,4098.11291,4098.11-
권지혜친족보통주139,1003.87139,1003.87-
이경자친족보통주20,5550.5720,5550.57-
보통주2,253,48362.752,016,46956.15-
------
[2012년 12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