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프로텍, ROE 두 자릿수인데 시장평가는?

13.09/30
형재혁
두 자릿수의 ROE를 유지하는 가운데 PBR이 1배 미만에서 거래 중인 프로텍31,600원, ▲100원, 0.32%이 3일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30일 오전 11시 56분 현재 3.6% 오른 8470원에 거래 중이다.

30일 아이투자(www.itooza.com)에 따르면 프로텍의 최근 5년간 ROE(자기자본이익률) 평균은 25.2%다. 최근 ROE는 14.9%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ROE는 연환산 기준, 즉 최근 4분기 순이익 합계를 최근 분기 말 자본총계로 나눠서 계산) 

일반적으로 ROE 10% 이상을 유지하는 기업은 PBR(주가순자산배수)이 1배 이상에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 ROE가 주주의 돈(=자본 혹은 순자산)을 늘려가는 속도를 의미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년 시중금리의 2~3배 이상 속도로 주주의 돈을 불리는 회사의 자본에 프리미엄이 붙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프로텍의 현재 PBR(주가순자산배수)는 0.92배로 1배 미만에서 거래 중이다. 지난 10년간 프로텍의 최고 PBR은 2.2배, 최저 PBR은 0.4배를 기록했다. 최근 5년 평균 PBR은 1.25배다.

최근 프로텍의 ROE가 1배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이 회사의 과거 ROE가 높은 변동성을 나타낸 데다가, 최근 부진한 실적을 거둬 ROE의 추가 하락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더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즉, 현재 수준의 ROE 유지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PBR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연환산 기준으로 지난 2007년 이후 프로텍의 최고 ROE는 2011년 2분기 기준인 34.6%, 최저 ROE는 2007년 1분기 기준인 -1.1%다. 



프로텍은 반도체·LED 조립(패키징) 공정에 사용되는 '디스펜서'를 만드는 업체다. 패키징이란 완성된 웨이퍼에서 칩 단위로 잘려진 '다이'를 기판과 결합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봉합하는 공정이다. 다이를 기판과 결합시킬 때 접착제를 도포해야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장비가 디스펜서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프로텍은 1998년 디스펜서 장비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후 기술력을 인정받아 삼성전자73,500원, 0원, 0%, SK하이닉스189,200원, ▼-6,500원, -3.32%에 납품을 시작했으며, 현재 ASE코리아, 스태츠칩팩코리아, 암코테크놀러지코리아 등 글로벌 패키징 업체의 한국 법인과도 거래 관계를 맺고 있다.

프로텍은 지난해 8월 일본 반도체 장비 업체 미나미을 인수했다. (보유지분율 100%). 미나미는 반도체 패키지, 인쇄회로기판(PCB)에 솔더페이스트를 인쇄도포하는 장비인 스크린프린터 제조사다. 프로텍은 자사의 디스펜서와 미나미의 스크린프린터의 상호 보완관계에 있어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프로텍의 매출액은 27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1% 줄었다. 영업이익은 35% 감소한 48억8800만원을, 순이익(연결 지배주주 기준)은 46% 감소한 37억300만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업체]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반도체 후공정이란 가공된 웨이퍼를 반도체 칩 단위로 자른 후 반도체 칩 내 패드와 리드프레임을 금선으로 연결하고 포장하는 ‘패키징(조립)’ 공정과 반도체 패키지 겉면에 상표, 품명을 마킹하는 공정, 마지막으로 반도체 칩의 상태를 검사하는 ‘테스트’공정을 통칭한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 시장은 전체 반도체 장비 시장의 약 20%를 차지하며, 전공정 장비보다 국산화율이 높다. 유니테스트에 따르면 2012년 반도체 후공정 장비투자는 전년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의 종류는 크게 웨이퍼 절단용 장비, 조립 공정용 장비, 레이저 마킹 장비, 각종 검사장비로 구분할 수 있다.

절단 장비(Dicer): 한미반도체
조립 공정용 장비: 미래산업, 프로텍, 고려반도체
레이저 마킹·응용 장비: 고려반도체, 이오테크닉스
각종 검사장비: 유니테스트, 디아이, 제이티, 고영, 미래산업, 테크윙

[반도체 후공정 장비업체]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한미반도체 11,300 ▼150 (-1.3%) 708 127 126 10.1 1.60 15.8%
미래산업 358 ▲19 (5.6%) 221 11 8 N/A 2.66 -56.4%
프로텍 8,440 ▲270 (3.3%) 278 49 45 6.2 0.92 14.9%
고려반도체 4,245 ▼25 (-0.6%) 131 -56 -43 N/A 1.77 -24.1%
유니테스트 1,795 ▼20 (-1.1%) 98 -18 -16 N/A 0.85 -24.5%
디아이 11,050 ▼250 (-2.2%) 135 -20 24 176.3 3.35 1.9%
제이티 3,900 ▼90 (-2.3%) 137 -7 -4 N/A 1.19 -1.6%
고영 31,650 ▼550 (-1.7%) 512 83 88 21.2 3.22 15.2%
테크윙 5,970 ▼90 (-1.5%) 426 50 -13 19.6 1.80 9.2%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프로텍]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반도체 후공정 장비 및 LED 장비인 '디스펜서' 생산업체
사업환경 ▷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라인 투자 확대로 반도체 장비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
▷ LED시장은 전세계적인 백열등 판매 금지에 따라 시장이 고성장하는 중
경기변동 반도체·LED 경기에 민감, 특히 반도체 설비투자 규모가 중요
주요제품 ▷ 디스펜서(Dispenser) : 반도체·LED 패키징용 등 장비 (60%)
(10년 10만1700원 → 11년 8만2000원 → 12년 7만8896원)
▷ 히트슬러그(HEAT SLUG) : 반도체 PBGA(Plastic Ball Grid Array)제조에 사용되는 장비 (10%)
(10년 57만9443원 → 11년 69만5000원 → 12년 86만7627원)
*괄호안은 매출 비중 및 내수 제품 가격
원재료 ▷ 전자: 디스펜서용 부품 (25%)
▷ 전장 : 디스펜서용 부품 (17%)
실적변수 ▷ 삼성전자, 하이닉스 설비투자 확대시 수혜
▷ LG이노텍, 삼성LED 시설투자 증가시 수혜
리스크 반도체·LED 경기 싸이클에 따라 실적 변동이 큼
신규사업 ▷ LED 장비 '다이본더' 생산
▷ 반도체 제조기계 생산회사인 일본 미나미사 인수(2012.08)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프로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6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278 780 545 833
영업이익 49 174 122 192
영업이익률(%) 17.6% 22.3% 22.4% 23%
순이익(연결 지배) 45 147 189 145
순이익률(%) 16.2% 18.8% 34.7% 17.4%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6.17
이시각 PBR 0.92
이시각 ROE 14.93%
5년평균 PER 5.20
5년평균 PBR 1.25
5년평균 ROE 25.24%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프로텍]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최승환본인보통주2,983,93133.152,983,93133.15-
이원호임원보통주800800-
보통주2,984,01133.152,984,01133.15-
------
[2012년 12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