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집중분석] 유니드, 2Q 실적 개선의 배경은?

올 들어 유니드 주가가 꾸준히 올라 관심을 끈다.

31일 아이투자 분석에 따르면 유니드64,700원, ▲1,200원, 1.89%의 개장 전 주가는 5만300원이다. 연초 3만8200원으로 출발한 것을 감안하면 현재까지 31% 오른 셈이다. 전일 장중 한때 5만800원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주가 상승의 배경에는 최근 실적호조가 자리하고 있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 잠정 집계한 유니드의 2분기 매출액은 17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6억원으로 47% 늘었으며, 자회사의 손익을 반영한 순이익은 263억원으로 293% 급증했다.

이 같은 기대감에서인지 유니드는 연초부터 큰손 투자자의 매수세가 집중됐다. 지난 9일 국민연금은 유니드 지분율을 종전 7.29%에서 8.34%로 1.05%P 늘렸다고 공시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달 27일, KB자산운용은 지난 5월 30일, 신영자산운용은 지난 4월 10일 각각 지분을 1% 이상 늘렸거나, 신규 보유했다고 밝혔다. 올 들어 기관의 누적 순매수 규모는 29만5485주로 발행주식수의 4.4%다.



▷ 글로벌 1위 칼륨 업체

유니드는 1980년 설립된 국내 최초 칼륨 제품 생산업체다. 1992년 청구물산의 중밀도 섬유판(MDF) 사업부를 인수해 보드 시장에 진출했으며, 이후 중국과 홍콩에 현지법인을 세워 글로벌 업체로 성장했다. 최대주주는 OCI상사로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지분 55.66%를 보유하고 있다.

칼륨은 기초 무기화학 제품이다. 쓰임새가 다양한 기초 소재로 다른 화학제품에 비해 경기에 영향을 덜 받는다. 유니드의 주력 제품은 가성칼륨과 탄산칼륨이다. 가성칼륨은 과거 세제, 식품첨가물, 합성고무, 알칼리 건전지, 염료 중간재용으로 사용됐다. 최근에는 반도체 세정제, 삼불화질소(NF3) 중간원료, 고순도 에폭시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다. 탄산칼륨은 과거 브라운관 전구용으로 쓰였지만, 현재 PDP, 합성수지, 세라믹 및 식품첨가물로 용도가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칼륨 시장은 연간 100만 톤 내외로 규모가 크지 않다. 때문에 비용이 대거 투입되는 화학 산업 특성상, 후발업체가 매력을 느끼고 진입하기 쉽지 않다. 또한 칼륨이 첨가제로 주로 쓰이는 까닭에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기보단, 연간 GDP 성장률 수준으로 확산되고 있다. 유니드가 글로벌 시장의 30%이상을 점유해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다.

보드 부문에선 MDF를 만든다. 이 제품은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하기 쉬워 기존 합판의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새집증후군 등 친환경 트랜드에 부합해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합판은 건설현장의 목재 거푸집에 주로 쓰이며 원목 수급에서 유리한 외국업체들이 공급을 도맡는다. 이에 반해 MDF는 국내 업체가 시장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유니드는 국내 시장점유율 23%(2013년 1분기)로 1위며, 성창산업(16%), 한솔홈데코635원, ▲6원, 0.95%(16%), 동화기업(15%), 포레스코(11%)와 경쟁하고 있다. MDF는 가구뿐만 아니라 내장재, 인테리어로 사용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다만, 여전히 건설경기에 민감하다.

유니드는 올 1분기 매출의 61%를 화학사업에서 올렸으며, 나머지 34%는 보드사업에서 벌었다. 칼륨 매출의 76%가 수출에서 나오며, MDF는 단 3%만이 해외 매출로 내수 시장 중심이다. 칼륨 수출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발생하며, 최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판로를 다변화하고 있다. 유니드는 중국현지법인 UNID Jiangsu Chemical(유니드 장쑤성 화학)를 통해서도 칼륨사업을 하고 있다.

▷ 2분기 영업이익 개선 비결은?

유니드는 원재료인 염화칼륨을 캐나다의 칸포텍스(Canpotex)사로부터 수입해 전기분해 과정을 거쳐 가성칼륨을 만든다. 탄산칼륨은 가성칼륨을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유니드는 글로벌 1위 기업답게 원재료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곧바로 반영시키고 있다. 때문에 염화칼륨 가격이 상승하면 유니드의 수익성은 개선된다. 염화칼륨 가격 인상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직결되는데, 이 때 기존의 저가 원재료가 투입되면서 영업이익이 늘어나는 구조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톤당 1810 ~1870달러를 오갔던 염화칼륨 수입 가격은 지난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올 2월 2000달러를 넘어서더니 4월부턴 2112달러를 유지하고 있다. 유니드의 재고자산 회전일수가 2개월임을 감안하면 가격이 오른 염화칼륨이 매출원가에 반영되는 시기는 12월 ~ 1월부터다. 약 2개월의 시차를 두고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조다. 2분기 매출액보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유독 높은 것도 이 같은 이유로 해석된다.



한편 유니드는 종속회사로 UNID Jiangsu Chemical(보유 지분 100%)과 LED 사업을 하는 유니드엘이디(50%)를 두고 있다. 이들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유니드의 연결 재무제표에 반영된다. 관계회사로는 Keystone Investment Hongkong(키스톤 투자 홍콩, 40%), 이테크건설(25.17%)가 있다. 관계회사의 순이익은 지분율만큼만 반영돼 유니드의 순이익에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실적 기준 순이익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업체는 유니드 중국법인과 이테크건설이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21%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유니드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4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367위(상위 21%)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밸류에이션 점수가 낮은 것은 현재 주가수익배수(PER)가 56.8배로 5년 평균보다 높은 점 등이 반영됐다. 수익 성장성이 낮은 것은 5년 연평균 순이익 성장률이 (-)이지만, 최근 연환산 순이익이 0보다 크고, 2년 전 연환산 값보다 큰 점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유니드]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OCI 계열 기초 무기화학제품(가성칼륨/탄산칼륨 등) 제조 업체, 보드사업도 함
사업환경 ▷ 칼륨계 제품은 기초 무기화학 제품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돼 지속적인 성장 예상
▷ 유니드는 칼륨계 제품의 국내 유일의 제조업체
▷ 목재 합판(MDF)을 생산해 국내 가구업체 및 일본 수출을 하고 있음
경기변동 기초 소재이므로 경기에 크게 민감하지 않음
주요제품 ▷가성칼륨 등 (61%, 11년 톤당 157만6000원 → 12년 160만2000만원 → 13년 151만1000원)
▷목재합판 등 (34%, 11년 입방미터당 30만7000원 → 12년 31만3000원 → 13년 30만6000원)
원재료 ▷ 가성칼륨 등의 원재료: Canpotex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66%)
▷ 목재합판 등의 원재료: 대성목재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33%)
실적변수 ▷ 전기전자·식품 등 전방산업 호황시 수혜
리스크 ▷ 중국산 저가 수입품의 증가
▷ 건설업황 부진시 합판 매출 감소
신규사업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유니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3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1,248 5,046 6,224 4,743
영업이익 56 254 558 668
영업이익률(%) 4.5% 5% 9% 14.1%
순이익(연결 지배) 33 95 498 714
순이익률(%) 2.6% 1.9% 8% 15.1%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56.81
이시각 PBR 0.71
이시각 ROE 1.25%
5년평균 PER 11.42
5년평균 PBR 0.77
5년평균 ROE 14.59%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유니드]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OCI상사본인보통주1,650,00025.061,650,00025.06-
이수영관계사임원보통주492,5417.48492,5417.48-
이복영관계사임원보통주173,6552.63173,6552.63-
이화영임원보통주681,54310.35681,54310.35-
이숙희기타보통주202,2283.07202,2283.07-
이정자기타보통주237,7223.61237,7223.61-
이은영기타보통주3500.003500.00-
이우일기타보통주184,0902.80184,0902.80-
서일태관계사임원보통주2,2860.042,2860.04-
이주연기타보통주40,0000.6140,0000.61-
조백인계열사임원보통주8000.018000.01-
보통주3,665,21555.663,665,21555.66-
우선주-----
[2013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1개

  • 에제르
    화학업황이 다시 살아날까요?
    2013.08/07 17:52 답글쓰기
  • 에제르
    2013.08/07 17:52
  •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