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유니드, 기관 이목 집중...매력은?
국민연금이 유니드64,700원, ▲1,200원, 1.89% 지분율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증권가에 따르면 지난 9일 국민연금은 유니드 지분율을 종전 7.29%에서 8.34%로 1.05%P 늘렸다고 공시했다. 세부 내역을 보면 지난 4월 15일 추가 취득했다. 유니드에 대해 관심을 보인 기관투자자는 국민연금공단외에도 3곳이 더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달 27일, KB자산운용은 지난 5월 30일, 신영자산운용은 지난 4월 10일 각각 지분을 1% 이상 늘렸거나, 신규 보유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준 공시된 지분 합계는 29%에 이른다. (아래 표 참조)

이 같은 움직임은 유니드가 업계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증설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니드는 화학제품과 중질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reboard)을 생산하는 두 가지 사업을 하고 있다. 화학제품은 칼륨계 제품이 주력으로 국내 시장의 유일한 생산업체다. 주요 제품은 탄산칼륨으로 광학유리, 의약품, 수지, 식품첨가물 등 다양한 활용도를 갖는 물질이다.
MDF는 가구나 건축자재로 활용되는 합판의 일종으로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최근 국내 업계 1위로 올라섰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유니드는 지난해 1분기 국내 시장 점유율 16.5%로 3위권에 머물렀으나 올해 1분기 24.2%를 기록하며 앞서 있던 동화기업과 선창산업을 제친 것으로 알려졌다. 1분기 매출 비중은 화학 제품 61%, MDF 34%다.
유니드는 지난 2011년 이후 군산공장의 MDF생산 시설 확대에 나섰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생산능력은 지난 2011년 일간 1100미터톤에서 올해 1분기 1500미터톤으로 36% 늘었다. 국내 건설시장 부진으로 제품 수요가 둔화됐지만, 일본 등 해외시장 공략을 통해 늘어난 물량을 소화하고 있다.
다만 최근 실적은 부진했다. 1분기 매출액은 제품 판매량 증가로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한 1248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56억원으로 10% 감소했고, 지분법 반영 순이익은 24억원으로 48% 줄었다. 공장 증설 관련 비용으로 원가율이 높아졌고, 판매 관리비가 증가한 점 등이 주로 반영됐다.
최근 4분기 합산 실적 기준 유니드의 주가수익배수(PER)는 49.1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1배다.
[2013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11일 증권가에 따르면 지난 9일 국민연금은 유니드 지분율을 종전 7.29%에서 8.34%로 1.05%P 늘렸다고 공시했다. 세부 내역을 보면 지난 4월 15일 추가 취득했다. 유니드에 대해 관심을 보인 기관투자자는 국민연금공단외에도 3곳이 더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달 27일, KB자산운용은 지난 5월 30일, 신영자산운용은 지난 4월 10일 각각 지분을 1% 이상 늘렸거나, 신규 보유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준 공시된 지분 합계는 29%에 이른다. (아래 표 참조)

이 같은 움직임은 유니드가 업계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증설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니드는 화학제품과 중질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reboard)을 생산하는 두 가지 사업을 하고 있다. 화학제품은 칼륨계 제품이 주력으로 국내 시장의 유일한 생산업체다. 주요 제품은 탄산칼륨으로 광학유리, 의약품, 수지, 식품첨가물 등 다양한 활용도를 갖는 물질이다.
MDF는 가구나 건축자재로 활용되는 합판의 일종으로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최근 국내 업계 1위로 올라섰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유니드는 지난해 1분기 국내 시장 점유율 16.5%로 3위권에 머물렀으나 올해 1분기 24.2%를 기록하며 앞서 있던 동화기업과 선창산업을 제친 것으로 알려졌다. 1분기 매출 비중은 화학 제품 61%, MDF 34%다.
유니드는 지난 2011년 이후 군산공장의 MDF생산 시설 확대에 나섰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생산능력은 지난 2011년 일간 1100미터톤에서 올해 1분기 1500미터톤으로 36% 늘었다. 국내 건설시장 부진으로 제품 수요가 둔화됐지만, 일본 등 해외시장 공략을 통해 늘어난 물량을 소화하고 있다.
다만 최근 실적은 부진했다. 1분기 매출액은 제품 판매량 증가로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한 1248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56억원으로 10% 감소했고, 지분법 반영 순이익은 24억원으로 48% 줄었다. 공장 증설 관련 비용으로 원가율이 높아졌고, 판매 관리비가 증가한 점 등이 주로 반영됐다.
최근 4분기 합산 실적 기준 유니드의 주가수익배수(PER)는 49.1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1배다.
[유니드]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OCI 계열 기초 무기화학제품(가성칼륨/탄산칼륨 등) 제조 업체, 보드사업도 함 |
|---|---|
| 사업환경 | ▷ 칼륨계 제품은 기초 무기화학 제품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돼 지속적인 성장 예상 ▷ 유니드는 칼륨계 제품의 국내 유일의 제조업체 ▷ 목재 합판(MDF)을 생산해 국내 가구업체 및 일본 수출을 하고 있음 |
| 경기변동 | 기초 소재이므로 경기에 크게 민감하지 않음 |
| 주요제품 | ▷가성칼륨 등 (61%, 11년 톤당 157만6000원 → 12년 160만2000만원 → 13년 151만1000원) ▷목재합판 등 (34%, 11년 입방미터당 30만7000원 → 12년 31만3000원 → 13년 30만6000원) |
| 원재료 | ▷ 가성칼륨 등의 원재료: Canpotex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66%) ▷ 목재합판 등의 원재료: 대성목재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33%) |
| 실적변수 | ▷ 전기전자·식품 등 전방산업 호황시 수혜 |
| 리스크 | ▷ 중국산 저가 수입품의 증가 ▷ 건설업황 부진시 합판 매출 감소 |
|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유니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유니드]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주)OCI상사 | 본인 | 보통주 | 1,650,000 | 25.06 | 1,650,000 | 25.06 | - |
| 이수영 | 관계사임원 | 보통주 | 492,541 | 7.48 | 492,541 | 7.48 | - |
| 이복영 | 관계사임원 | 보통주 | 173,655 | 2.63 | 173,655 | 2.63 | - |
| 이화영 | 임원 | 보통주 | 681,543 | 10.35 | 681,543 | 10.35 | - |
| 이숙희 | 기타 | 보통주 | 202,228 | 3.07 | 202,228 | 3.07 | - |
| 이정자 | 기타 | 보통주 | 237,722 | 3.61 | 237,722 | 3.61 | - |
| 이은영 | 기타 | 보통주 | 350 | 0.00 | 350 | 0.00 | - |
| 이우일 | 기타 | 보통주 | 184,090 | 2.80 | 184,090 | 2.80 | - |
| 서일태 | 관계사임원 | 보통주 | 2,286 | 0.04 | 2,286 | 0.04 | - |
| 이주연 | 기타 | 보통주 | 40,000 | 0.61 | 40,000 | 0.61 | - |
| 조백인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800 | 0.01 | 800 | 0.01 | - |
| 계 | 보통주 | 3,665,215 | 55.66 | 3,665,215 | 55.66 | - | |
| 우선주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