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승부주] 엠피씨, 사업 확장중인 컨택센터 회사

13.07/30
기업분석팀
편집자주 '오늘의 승부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저평가 우량주 중에서 외국인 등 '큰손' 투자자들이 지분을 확대하는 주식을 골라 아이투자에서 매일 공개합니다. 오늘 하루에 승부를 보는 종목이 아닌, 오늘부터 관심권에 두는 종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엠피씨의 주가가 반등하고 있다. 엠피씨의 주가는 작년 9월 3295원에서 12월 2115원까지 3개월 만에 36% 급락했다. 이후 주가 등락을 거쳐 현재 엠피씨는 52주 최저가 대비 18% 상승한 2395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엠피씨의 최근 1년간 수익률은 코스피 지수를 18%p 하회했다. 엠피씨의 주가 반등은 계속될 수 있을까.
 


▷ 사업영역 확장 중인 컨텍센터 운영 전문 회사

엠피씨는 1991년 설립된 컨텍센터 전문기업이다. 컨텍센터 중 국내 최초로 고객관계관리(CRM) 전문 사업에 진출했다. CRM 마케팅은 고객과 관련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고객을 세부적으로 분류해 효과적인 마케팅을 계획 및 지원한다. 고객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마케팅 채널과 연결해야 하는 서비스다. 엠피씨는 5개 컨텍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인 어바이어(Avaya)의 솔루션을 판매한다.

엠피씨는 부동산투자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지난 5월 서울시 양천구 목동의 공동주택 사업부지 6,743㎡ 를 매입해 아파트를 건설하고 있다. 또한 기존 상담원 인력파견 사업을 확장해 사무직, 경비, 비서, 청소 등으로 업무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엠피씨는 2007년부터 경기도 화성시 유니버셜 스튜디오 조성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유니버셜 스튜디오는 롯데그룹과 포스코가 주도해 아시아 최대의 테마파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엠피씨는 290억원을 투자했으나,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3조원에 달하는 총 사업비를 조달하기 어려워 6년째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다만 지난 4월 호텔롯데와 롯데자산개발이 16억원 추가 증자해 화성시 및 토지주인인 수자원공사와 다시 협상에 나서고 있다.

엠피씨는 아직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지 않았다. 엠피씨의 1분기 매출액은 3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매출 감소로 1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12억원에 비해 58% 감소한 5억원에 그쳤다.

▷ 최근 외국인 매수

외국인 투자자는 엠피씨를 지난 4월부터 매도하기 시작했다. 지난 4월 1.5%던 엠피씨의 외국인 지분율은 7월 1.1% 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최근 외국인의 매매동향이 달라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25일부터 엠피씨의 주식을 사흘 연속으로 순매수했다. 엠피씨의 외국인 지분율도 1.6%로 다시 상승하고 있다.

엠피씨의 최대주주는 유니버셜스튜디오 국내 사업권을 보유한 시행사 한국유스코의 황인준 부회장이다. 황이사는 친인척 지분을 합쳐 엠피씨의 지분 16.9%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주요주주로 이선씨가 7.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주식MRI 분석 결과 : 상위 4%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엠피씨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8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70위(상위 4%)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컨택센터 산업]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컨택센터는 전화 중심의 콜센터에서 발전해 자동응답, 웹채팅, 팩스 등 다양한 고객채널을 이용한다.

금융권에서 시작한 컨텍센터 아웃소싱은 제조, 유통업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컨택센터 솔루션을 자체 개발한 브리지텍을 제외하면 컨택센터 운영회사들은 애스팩트(Aspect) 등 외국업체로부터 솔루션을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컨택센터솔루션 : 브리지텍
컨택센터 운영: 효성ITX, 케이티스, KTcs, 엠피씨, 한솔인티큐브, 한일네트웍스

<컨택센터 관련 기업의 주요 매출처>
은행 : 브리지텍
KT : 케이티스(서울,경기,인천,강원), KTcs(충청이남지역)
카드, 공공부문 : 효성ITX
한전, SK : 한솔인티큐브
자동차, 외국IT사 : 엠피씨
외국보험사 : 한일네트웍스(구, 오늘과내일)

[컨택센터 산업]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브리지텍 3,430 ▲10 (0.3%) 108 5 7 5.5 1.49 27.1%
효성ITX 4,920 ▼50 (-1%) 605 22 15 11.5 2.01 17.4%
케이티스 4,685 ▼15 (-0.3%) 941 42 40 9.4 1.31 13.9%
KTcs 2,630 0 (0%) 989 44 42 7.3 1.01 13.8%
한솔인티큐브 1,855 ▼15 (-0.8%) 124 -13 -13 N/A 1.06 -9%
엠피씨 2,390 ▲20 (0.8%) 310 5 4 16 0.90 5.6%
한일네트웍스 2,080 ▲10 (0.5%) 169 3 9 10.5 0.78 7.5%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엠피씨]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컨택센터 아웃소싱 종합 서비스 회사
사업환경 ▷ 기업의 핵심역량 집중과 비용절감을 위해 네트워크 및 컨텍센터 아웃소싱 서비스 수요 꾸준할 전망
▷ 금융권, 통신사를 중심으로 발달한 컨텍센터는 홈쇼핑, 관공서 등으로 영역이 확대될 전망
경기변동 컨텍센터 서비스 산업은 불황기 비용절감 수혜 산업으로 경기변동의 영향이 적음
주요제품 ▷ 컨택센터 아웃소싱 (85%)
▷ 컨택센터 구축 및 지원: 개발·유지보수 (9%)
▷ 컨택센터 ASP: 제반 환경의 일체 또는 일부를 임대하는 서비스 (6%)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서비스업으로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관공서 및 기업 컨택센터 아웃소싱 수요 증가시 수혜
리스크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아 경쟁 심화 가능성
신규사업 송산그린시티 내 유니버셜 스튜디오 테마파크 조성사업에 290억원 투자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엠피씨]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3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310 1,402 1,245 1,058
영업이익 5 32 19 -13
영업이익률(%) 1.6% 2.3% 1.5% -1.2%
순이익(연결 지배) 4 32 32 -57
순이익률(%) 1.3% 2.3% 2.6% -5.4%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6.04
이시각 PBR 0.90
이시각 ROE 5.63%
5년평균 PER 25.15
5년평균 PBR 0.90
5년평균 ROE -0.81%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엠피씨]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황인준본인보통주3,175,60515.653,175,60515.65-
황지연친인척보통주252,4851.24252,4851.24-
보통주3,428,09016.893,428,09016.89-
우선주0000-
기 타0000-
[2013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