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승부주] 피에스케이, 현금 풍부한 반도체 장비 회사

13.05/23
기업분석팀
편집자주 '오늘의 승부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저평가 우량주 중에서 외국인 등 '큰손' 투자자들이 지분을 확대하는 주식을 골라 아이투자에서 매일 공개합니다. 오늘 하루에 승부를 보는 종목이 아닌, 오늘부터 관심권에 두는 종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올해 들어 기관투자자가 피에스케이31,750원, ▲500원, 1.6% 주식을 적극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23일 금융정보 제공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기관투자자는 올해 연초부터 전일까지 약 5개월간 피에스케이 주식 106만4800주를 순매수했다. 이는 현재 총 발행주식 수의 5.4%다. 최근 한 달 기준으로도 11만1500주(0.6%)를 사들이며 순매수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기관 순매수분의 대부분은 신영자산운용이 사들인 물량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신영자산의 보유 지분율은 지난해 연말 약 10%에서 5월 22일 현재 약 15%로 5%포인트 높아졌다.



피에스케이는 반도체 전(前)공정 장비인 ‘애셔(Asher)’를 만드는 회사다. 애셔란 반도체 표면처리장비 중 하나로 감광액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반도체 공정의 핵심장비지만 시장규모는 크지 않다. 연 매출액 1000억원이 안 되는 피에스케이가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 이 때문에 피에스케이 실적은 반도체 생산업체의 투자규모에 따른 변동성이 크다.

피에스케이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7월 미국 반도체장비 업체인 세미기어(Semigear)를 인수했다. 세미기어는 웨이퍼 처리장치와 반도체 패키징 장비를 만드는 업체다. 피에스케이의 최대주주인 금영의 협력사 중 하나다. 세미기어는 지난 2010년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회사의 2011년 매출액은 1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고, 순이익은 23억6000만원으로 42% 늘어났다.

지난해 피에스케이의 매출액은 704억원으로 전년보다 19% 줄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4% 늘어난 48억4700만원을, 순이익(연결 지배지분)은 729% 늘어난 114억7500만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매출 감소에도 원가절감 활동으로 영업이익을 큰 폭으로 늘렸다. 순이익 증가 폭이 특히 큰 것은 금융투자상품과 지분투자상품 매도차익 및 평가차익이 늘어난 결과다.
아직 올해 1분기 실적은 발표하지 않았다. 

최근 증권가에선 피에스케이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13일 한화투자증권 안성호 연구원은 "2013년 하반기부터 삼성전자가 중국 시안공정과 17 신규라인 건설을 본격화하고, SK하이닉스가 M12 라인 증설에 나설 것으로 전망돼 피에스케이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 순현금이 시가총액의 41%

피에스케이는 시가총액 대비 높은 수준의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말 순현금(현금 + 단기금융자산 - 총 차입금)은 476억원으로 지난 22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1150억원의 41%에 이른다. 즉, 이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는데 실제로 필요한 금액은 시가총액에서 순현금을 뺀 674억원이다. 순현금 만큼의 인수대금을 대출로 조달하고, 인수에 성공하면 곧바로 사내 여유자금을 현금화해 갚으면 되기 때문이다. 

피에스케이의 지난해 실적 기준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0배다. 만약 순현금을 반영한 시가총액(674억원=1150억원-476억원) 기준으로 PER을 재산정하면, PER은 5.9배로 내려간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21%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피에스케이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4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367위(상위 21%)를 차지했다.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낮아 저성장주에 속한다.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삼성전자 선정 강소기업]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삼성전자는 2011년 8월 26일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대상'을 선정했다. 선정된 협력사의 기술, 제조, 경영관리 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금, 인력, 제조 등 분야별로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2011년 28개사를 시작으로 매년 육성 대상 협력사를 추가해 2015년까지 총 50개사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선정된 협력사들은 대부분 삼성전자와 오랜 협력관계를 맺어온 기업으로 각 분야에서 국내 1,2위를 다투는 곳들이다.

한편 2011년 지정된 28개사 가운데 상장기업은 18개다. (2012.2.21)

[삼성전자 지정 강소기업 -28개]
* (비)=비상장
프레스: 신흥정밀(비), 기린정밀공업(비)
금속가공: 파버나인(비), 영림전자(비)
기구일반: 삼진, 아성화학(비)
전기: 뉴모텍(비), 부전전자(비), 케이엠더블유, 대덕전자
사출: 인탑스
전자: 알에프텍, 이랜텍
설비: 에스엔유프리시젼, 원익IPS, 유진테크, 이오테크닉스, 피에스케이, AP시스템, 에스에프에이
설비부품: 마이크로프랜드(비), 새솔다이아몬드(비), 코디에스
원부자재: 이엔에프테크놀러지, 솔브레인, 심텍, 신화인터텍

[삼성전자 선정 강소기업]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삼진 7,490 ▲10 (0.1%) 1,297 90 45 12.8 1.05 8.2%
케이엠더블유 23,550 ▲200 (0.9%) 804 88 0 10.3 8.13 79%
대덕전자 11,750 ▲100 (0.9%) 7,510 586 479 11.7 1.31 11.2%
인탑스 31,000 ▲50 (0.2%) 5,551 244 407 6 0.83 13.8%
알에프텍 15,800 ▼250 (-1.6%) 2,754 243 190 7.2 1.88 26.1%
이랜텍 10,600 ▼300 (-2.8%) 3,830 71 46 26.4 1.65 6.3%
에스엔유 9,020 ▲120 (1.4%) 134 7 0 N/A 2.49 -36%
원익IPS 7,150 ▲650 (10%) 2,388 33 45 60.6 1.77 2.9%
유진테크 23,300 ▲700 (3.1%) 1,683 536 511 9.4 3.83 40.5%
이오테크닉스 38,400 ▼100 (-0.3%) 2,044 318 265 17.2 2.33 13.6%
피에스케이 6,000 ▲210 (3.6%) 705 48 92 10 0.85 8.4%
AP시스템 12,700 ▲100 (0.8%) 806 84 0 23.8 3.28 13.8%
에스에프에이 65,600 ▼800 (-1.2%) 1,079 171 0 16.7 3.20 19.1%
코디에스 4,420 ▼50 (-1.1%) 159 -43 -42 N/A 1.77 -27%
이엔에프테크놀로지 11,900 ▼200 (-1.6%) 2,330 235 179 11.9 1.91 16%
솔브레인 48,450 ▲150 (0.3%) 5,852 1,005 611 10.6 2.35 22.2%
심텍 9,930 ▲390 (4.1%) 1,185 -76 0 15.6 1.47 9.4%
신화인터텍 4,815 ▼20 (-0.4%) 2,496 130 -84 N/A 1.62 -16.9%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피에스케이]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반도체 전공정 장비 제조사. 웨이퍼 가공용 감광액 제거기(애셔)가 주력.
사업환경 ㅇIT산업이 스마트 기기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임에 따라 반도체 설비투자 수요 또한 꾸준할 것으로 전망
ㅇ반도체 장비산업은 다품종 소량체체, 3~4년 마다 새로운 장비 교체 수요 발생
경기변동 ㅇ경기에 매우 민감한 산업으로 전방업체(반도체 제조기업)의 설비투자에 영향을 받음
ㅇ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반도체 제조업체보다 큼
주요제품 ㅇ반도체 제조장비: 웨이퍼 가공용 감광액 제거기 (매출 비중 79%)
ㅇ기타: (매출 비중 21%)
원재료 ㅇ플라즈마 발생장치: 미국, 일본업체에서 구입 (매입 비중 18%)
ㅇ로봇 류: 웨이퍼 이송장치. 국내, 일본업체에서 구입 (매입 비중 14%)
실적변수 ㅇ반도체 생산업체(주로 SK하이닉스, 대만·중국업체)들의 투자 확대시 수혜
리스크 반도체 업황에 따라 실적변동 큼
신규사업 ㅇEtch Back System 시장 진출: Etch Back System은 산화막 제거 장비로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 직접화에 따라 수요 발생할 전망
ㅇ전력용 반도체 Etcher장비 시장 진출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피에스케이]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금영최대주주보통주6,533,91732.906,533,91732.90-
이희권특수관계인보통주10,0000.0510,0000.05-
양재균특수관계인보통주5,0000.035,0000.03-
보통주6,548,91732.986,548,91732.98-
우선주0000-
[2012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