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켐트로닉스, 작년 순익 117%↑..PER 8.9배

13.02/19
이래학

켐트로닉스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하락세다. 19일 오후 2시 32분 현재 켐트로닉스29,000원, 0원, 0%는 0.5%(100원) 내린 1만7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켐트로닉스는 잠정 집계한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5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0억3000만원으로 62% 늘었으며, 순이익은 66억6000만원으로 419% 증가했다고 밝혔다.

순이익이 급증한 것은 환율 하락으로 외환관련수익이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켐트로닉스는 지난해 3분기 기준 614억원의 외화자산과 971억원의 외화부채를 보유하고 있다. 달러, 엔 등 주요국 통화 대비 원화가 10% 강세를 보이면 35억7000만원의 영업외 수익이 난다. 선진국의 유동성 공급정책으로 지난해 말부터 원화는 꾸준히 올랐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2326억원으로 2011년보다 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65억원으로 2% 늘었으며, 순이익은 162억원으로 117%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실적을 반영해 주가수익배수(PER)는 13.8배에서 8.9배로 낮아졌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41배에서 2.15배로 낮아졌으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7.4%에서 24.3%로 올랐다.

켐트로닉스는 반도체, 액정디스플레이(LCD)관련 화학물질과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소재업체다. 전자제품에 쓰이는 터치센서와 씬글래스를 주로 생산하며, 화학 사업부 에서는 반도체 및 LCD 생산에 쓰이는 화학물질을 제조한다. 또한 다우케미컬과 LG화학351,500원, ▲1,000원, 0.29%의 제품을 판매하는 국내 대리점의 역할도 한다. 매출액 비중은 전자 41%, 화학 33%, 씬글래스 26%다.



[터치스크린]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를 이용해 직접 입력이 가능한 화면이다. 압력을 가하면 터치한 위치가 인식되는 저항막 방식과 손가락 정전기를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에 적용된 정전용량 방식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터치스크린 업계는 더 가볍고 얇게 만드는 기술을 경쟁 중이다. 기술은 GFF(ITO필름 2장사용)→GF1(ITO필름 1장사용)→일체형(TOC, ITO필름 필요없음)으로 진화될 전망이다. ITO필름은 터치패널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재료다.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다. 기술이 발전해 필름 숫자가 줄어들수록 두께는 얇아지고, 화면은 선명해지며 원가는 줄어든다.

기술진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강화유리, ITO필름, 터치센서칩 등 주요부품 내재화로 원가절감에 성공한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차별화될 전망이다.

[주요 기업]
멜파스: 국내 유일 터치센서 칩 원천기술 보유
이엘케이: 강화유리 내재화. 터치스크린 최대 생산능력 보유업체로 모토로로, LG전자 등에 공급
일진디스플레이: ITO센서 공정 원가경쟁력 확보. 삼성 갤럽시탭 주요 공급사
에스맥: ITO센서 내재화 성공.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
유아이디: 국내 유일의 ITO 코팅(일체형) 전문 기업
태양기전: ITO센서, 강화유리 내재화. 2010년 하반기 삼성전자 터치패널 업체로 등록
디지텍시스템: ITO필름, 강화유리 등 핵심부품 내재화 추진
시노펙스: 삼성전자 터치모듈 공급사
모린스: 삼성전자에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공급.
켐트로닉스: 디지털 가전용 터치 IC와 모듈 생산

[터치스크린]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멜파스 20,450 0 (0%) 2,251 189 95 35.7 2.37 6.6%
이엘케이 21,100 ▲450 (2.2%) 1,137 -8 -34 N/A 3.36 -9.2%
일진디스플 19,900 ▲700 (3.6%) 4,418 500 490 8.7 3.96 45.5%
에스맥 16,050 ▲650 (4.2%) 3,187 248 194 7.4 2.61 35.4%
디지텍시스템 9,730 ▲420 (4.5%) 1,784 181 131 14.5 1.14 7.9%
시노펙스 2,325 ▲60 (2.6%) 3,653 59 -259 N/A 1.40 -33.8%
태양기전 19,100 ▲300 (1.6%) 1,579 98 61 14.1 1.97 14%
모린스 4,630 ▲130 (2.9%) 251 -129 -143 N/A 2.51 -100.2%
켐트로닉스 17,900 ▼100 (-0.6%) 1,746 125 96 13.8 2.41 17.4%
유아이디 9,310 ▲610 (7%) 423 100 79 11.7 3.03 25.9%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켐트로닉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터치센서, PCB, 화학소재를 만드는 기업
사업환경 유럽 재정위기 우려, 국제 원자재 가격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
경기변동 ㅇ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가전제품 업체들의 실적에 민감
ㅇ계절적으론 2,3분기 호황
주요제품 ㅇPBA Function: LCD·LED TV 및 기타 전 제품에 적용되는 기능 보드 (매출 비중 40%)
ㅇ글리콜 류: 반도체·LCD 등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세정제 및 식각용 화학소재 (매출 비중 33%)
ㅇ터치센서: (매출 비중 27%)
원재료 *원재료
ㅇ센서: 회로물 칩 자재. 켐트로닉스 자체 조달 (매입 비중 5.8%)
ㅇ인쇄회로기판(PCB): 회로기판물. 원경전자, 엔비텍에서 구입 (매입 비중 5.4%)
ㅇ하네스: 회로물 연결 와이어. 협진전선에서 구입 (매입 비중 9.2%)
ㅇPBA Function 등 기타 자재: 레이트론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27%)
실적변수 ㅇ실적은 2·3분기 고점, 1·4분기 저점
ㅇPC, 휴대전화 등 IT제품에 수요 증가시 수혜
리스크 미행사 신주인수권 30만3951주(전체 주식 4.2%)
- 행사가액: 9212원, 행사가능기간: 12.1.31~13.12.31
신규사업 ㅇ전자파 차폐 흡수체 개발 완료
ㅇ무선충전기 등 EMC 분야 새로운 시장에 진입 중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켐트로닉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9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1,746 2,260 1,966 1,844
영업이익(보고서) 125 162 130 78
영업이익률(%) 7.2% 7.2% 6.6% 4.2%
영업이익(K-GAAP) 125 162 130 78
영업이익률(%) 7.2% 7.2% 6.6% 4.2%
순이익(지배) 96 75 50 57
순이익률(%) 5.5% 3.3% 2.5% 3.1%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3.85
이시각 PBR 2.41
이시각 ROE 17.38%
5년평균 PER 13.56
5년평균 PBR 1.33
5년평균 ROE 2.07%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켐트로닉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김보균본인보통주845,624 11.301,088,10013.71-
이강선특수관계인보통주386,897 5.17398,503 5.02-
김응수특수관계인보통주366,010 4.89376,990 4.75-
장정선특수관계인보통주268,062 3.58276,103 0.02-
이정숙특수관계인보통주221,197 2.96227,832 2.87-
김응태특수관계인보통주186,517 2.49192,112 3.48-
김태연특수관계인보통주33,4180.4534,420 2.42-
김지우특수관계인보통주33,4180.4534,420 0.43-
이수현특수관계인보통주31,8270.4332,781 0.43-
정일순특수관계인보통주47,1740.631,4150.41-
보통주2,420,14432.342,662,67633.54-
------
[2012년 9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