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아세아시멘트 3%↑...PER 7.3배

13.01/21
형재혁
아세아시멘트10,320원, ▲40원, 0.39%가 52주 최고가를 기록했다. 21일 장중 6만4900원으로 지난해 11월 23일 이후 2개월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오후 2시 7분 현재 주가는 장중 고가 대비 0.6% 내린 6만45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전일 대비 3% 오른 것이다.

주가 상승을 이끈 것은 기관투자자로 풀이된다. 금융정보 제공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기관은 아세아시멘트 주식 2만주(총 발행주식의 0.4%)를 순매수했다. 주가 상승이 본격화된 지난해 6월 중순 이후 누적 순매수량은
11만주(2.3%)다. 반면, 같은 기간 외국인과 개인투자자는 10만주(2.1%)와 3만7000주(0.8%)를 각각 순매도했다.

절대적인 기준에서 순매수량이 아주 많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중순 이후 일간 평균 거래량이 5200주인 것을 고려하면, 기관이 적극적인 매수세를 지속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같은 기관의 행보는 제품가 인상과 자회사 실적 호전에 힘입어 실적 개선세를 지속한 것에 주목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3분기 아세아시멘트의 매출액은 8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140억원과 1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와 155% 늘었다.

이로써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액은 2527억원으로 전년 연간치 대비 21% 줄었지만, 3분기 누적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153억원과 338억원으로 전년 연간치를 각각 83%와 379% 초과했다.

올해 연초 시멘트 판매가격을 톤당 7만3600원으로 종전 대비 9% 인상하고, 레미콘 가격을 입방미터(m3)당 5만9900원으로 6.6% 인상한 데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늘었다. 순이익 증가 폭이 특히 컸던 것은 골판지 업황 호조에 힘입어 자회사인 아세아제지8,130원, ▼-30원, -0.37%와 아세아페이퍼텍이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결과다.

아세아시멘트는 국내 시멘트 시장의 7%를 점유하고 있는 시멘트·레미콘 제조업체다. 임대사업을 겸하고 있어 타 업체보다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사업별 매출 비중은 시멘트 69%, 레미콘 25%, 임대 6%지만,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사옥을 통해 대부분의 영업이익을 낸다.

한편, 아세아시멘트의 3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개 분기 실적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7.3배로 5년 평균 11.5배보다 낮게 거래되고 있다. 5년 평균 계산시 실적 급감으로 PER이 급등한 2010년은 제외했다.

[시멘트 업계]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시멘트의 주원료는 석회석으로, 생산공장은 석회석 매장량이 풍부한 충북과 강원에 집중돼 있다.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한 산업으로 생산은 연중 균일하나 소비는 여름(3분기)과 겨울(1분기)은 기후의 영향을 받아 제한적이다. 소비지 연결과 계절성 극복을 위한 물류기능이 중요하며, 에너지 소모가 큰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다.

시멘트 업황은 부동산 경기와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2008년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사업이 급감하면서 시멘트 업계도 불황을 겪고 있다. 그러나 2011년 4월, 2012년 3월 두 차례에 걸친 시멘트 가격 인상(톤당 5만2000원→7만3600원)을 기점으로 시멘트 업계 실적이 턴 어라운드 중이다.

지난 2011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률이 흑자를 기록한 업체는 아세아시멘트(12.5%), 한일시멘트(8.6%), 현대시멘트(6%), 동양시멘트(2%), 쌍용양회(1.2%)다. 성신양회는 -6.7%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주요 기업]
쌍용양회: 국내 시멘트 22% 점유
유니온: 국내 백시멘트 80% 점유
동양시멘트, 현대시멘트, 성신양회,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시멘트 업계]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쌍용양회 6,800 ▲770 (12.8%) 9,651 429 -90 37.8 0.42 1.1%
동양시멘트 4,230 ▲550 (14.9%) 4,584 188 -157 N/A 0.92 -10.2%
현대시멘트 6,630 ▲860 (14.9%) 2,110 134 6 N/A 0.85 -169.3%
성신양회 6,330 ▲550 (9.5%) 3,776 45 -352 N/A 0.37 -4.8%
한일시멘트 49,450 ▲1,250 (2.6%) 6,165 406 176 10.8 0.29 2.6%
아세아시멘트 64,500 ▲1,900 (3%) 2,527 154 158 7.1 0.36 5.1%
유니온 4,840 ▲155 (3.3%) 922 33 40 14.3 0.36 2.5%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아세아시멘트]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시멘트·레미콘·부동산임대업을 하는 업체
사업환경 ㅇ국내 토목·주택건설경기 불황으로 시멘트 수요는 감소하는 추세
ㅇ최근 시멘트 가격 인상(톤당 5만2000원→7만3600원)은 긍정적
ㅇ시멘트 산업은 자본집약 산업으로 신규 진입 어려움, 7개업체가 과점 (점유율 6.9%, 2011)
경기변동 경기변동에 민감한 편이며, 국내 견설경기와 변동 사이클이 밀접
주요제품 ㅇ시멘트 (매출 비중 68%)
ㅇ레미콘 (24%)
ㅇ임대 (8%)
원재료 ㅇ유연탄: 글렌코아에서 매입 (매입 비중 36%)
ㅇ모래/자갈: 삼표 등에서 매입 (18%)
실적변수 ㅇ부동산 경기 호황 시 수혜
ㅇ모래/자갈/유연탄 등 원재료 가격 하락시 원가율 개선으로 수혜
ㅇ원재료 수입으로 환율 상승 시 피해
리스크 ㅇ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
ㅇ유연탄 가격 상승에 민감
신규사업 메탈실리콘 사업 진출 선언. 2014년까지 연산 3만5000톤 규모 말레이시아 공장을 신설할 계획.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아세아시멘트]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9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2,527 3,208 2,808 3,226
영업이익(보고서) 154 84 -129 153
영업이익률(%) 6.1% 2.6% -4.6% 4.7%
영업이익(K-GAAP) 151 81 -129 153
영업이익률(%) 6% 2.5% -4.6% 4.7%
순이익(지배) 158 96 15 268
순이익률(%) 6.3% 3% 0.5% 8.3%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7.09
이시각 PBR 0.36
이시각 ROE 5.14%
5년평균 PER 29.65
5년평균 PBR 0.32
5년평균 ROE 3.01%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아세아시멘트] 주요주주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이병무 대주주 보통주 658,484 13.90 658,484 13.90 -
이정자 특수관계인 보통주 20,185 0.43 20,185 0.43 -
이훈범 특수관계인 보통주 192,000 4.05 192,000 4.05 -
이훈송 특수관계인 보통주 13,654 0.29 13,654 0.29 -
이인범 특수관계인 보통주 146,300 3.09 146,300 3.09 -
이윤무 특수관계인 보통주 118,210 2.49 118,210 2.49 -
이선혜 특수관계인 보통주 18,979 0.40 18,979 0.40 -
문경학원 특수관계인 보통주 240,937 5.08 240,937 5.08 -
고규환 특수관계인 보통주 3,740 0.08 3,740 0.08 -
(주)부국레미콘 특수관계인 보통주 50,000 1.06 50,000 1.06 -
최건환 특수관계인 보통주 6,922 0.15 6,922 0.15 -
박원희 특수관계인 보통주 22 0.00 22 0.00 -
이상현 특수관계인 보통주 63 0.00 63 0.00 -
- 1,469,496 31.02 1,469,496 31.02 -
- - - - - -
- - - - - -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