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기신정기, 영업익 8%↑...주가는?

17일 개장을 앞둔 가운데 전일 장 마감후 잠정 실적을 공시한 기신정기2,310원, ▲10원, 0.43%의 주가흐름이 관심을 끈다. 이 회사는 최근 6일간 약세를 기록했고, 전일에는 6170원으로 보합 마감했다. 실적 발표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기신정기는 3분기 매출액이 26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영업이익은 60억원으로 8%, 순이익은 52억원으로 10% 늘었다. 기신정기는 3월 결산법인으로 일반적으로 12월 결산법인의 4분기(10월~12월)에 해당하는 기간이 3분기로 집계된다.

이번 실적은 증권가 예상치를 넘어선 수치다. 지난달 3일 한화투자증권은 보고서에서 기신정기의 3분기 실적에 대해 매출액 257억원, 영업이익 58억원을 전망했다. 발표된 매출액은 이보다 9억원, 영업이익은 2억원 높은 수준이다.

지난 2분기에 이어 실적 개선을 기록한 점도 눈에 띈다. 지난해 2분기(7~9월) 매출액은 2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늘었다. 영업이익은 55억2000만원으로 10%, 순이익은 48억1000만원으로 16% 증가했다.

▷ 국내 1위 몰드베이스 회사

기신정기는 지난 1988년 일본 후다바전자공업(이하, 후다바)과 합작으로 설립돼 2007년 상장된 몰드베이스 제조사다. 최대주주는 후다바로 지분 61.37%을 들고 있다. 후다바는 지난 1948년 설립된 몰드베이스 제조사로 글로벌 상위권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대기업이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8200억원에 달한다. 기신정기는 후다바를 통해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으며, 해외 진출시 협력하고 있다.

회사는 설립 초기 플라스틱 사출금형용 몰드베이스를 주로 생산했다. 이후 사출금형용 코아 플레이트, 프레스금형용 스틸다이세트, 금형 및 치구용 정밀 플레이트로 생산품목을 확대했다. 현재 주력제품은 몰드베이스로 여기에서 지난 2분기 매출의 86%를 올렸다. 이외에 코아 플레이트 6%, 다이세트 2%를 차지했다. 증권가에서는 기신정기를 국내 몰드베이스 시장 1위 업체로 꼽는다. 점유율은 54%다.

사출금형이란 플라스틱 수지를 녹여 틀에 부어 넣는 방식으로 원하는 제품을 대량생산하는 장치다. 사출금형 장치는 제품의 모양을 성형하는 부위(CORE)와 성형부위를 감싸는 몰드 베이스로 나뉜다. 몰드베이스는 제품의 모양이 다르더라도 정형화된 규격에 따라 생산되고 있어 빨리 생산할 수 있다. 수주를 받은 뒤 납기가 2~3일 정도에 불과하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기신정기의 몰드베이스는 주로 가전제품 및 정보통신기기 제작에 사용된다. 100% 수주 생산의 형태로 거래되며, 3000여개 업체와 거래하고 있다. 또한 회사는 2011년 생산라인을 구축해 지난해 삼성전자101,400원, ▲2,100원, 2.11%로 직접 공급하기 시작한 대형 몰드베이스의 매출 증가를 목표로 한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1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기신정기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72위(상위 1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밸류에이션 점수는 0점을 받았다. 현재 주가수익배수(PER)가 최근 5년 평균치보다 높은 점 등이 반영됐다. 또한 최근 4년간 연평균 순이익 성장률이 3.4%인 점이 반영돼 수익 성장성 점수는 5점 만점에 2점을 받았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신영자산운용 5% 이상 보유기업]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신영자산운용(이하 신영자산)은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과 함께 우리나라 가치투자 기관의 양대산맥으로 불린다. 1956년 설립된 신영증권의 자회사로 1996년 출범했다. 총 수탁고는 2조913억원(7월 2일 국내 주식형 공모펀드 기준)이며 대표 펀드는 '마라톤펀드'다.

한편 5% 이상 지분을 가진 주주는 매달 변동내역과 보유현황을 공시할 의무가 있다. 신영자산은 매달 10일쯤 내역을 공시한다.

[신규 보고 종목과 지분율 -2012.8.1~2012.8.31]
삼천리 5.3%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보유 종목과 지분율 -2012년 9월 11일 기준]
위닉스 17.2, 화천기공 16.6, 삼영이엔씨 14.3, 세이브존I&C 13.2, KC코트렐 12.8
NPC 11.2, WISCOM 11.1, 한국공항 10.8, 한국단자 10.7, 동성하이켐 10.4,
세보엠이씨 10.1, 신세계I&C 10.1%, 삼정펄프 10.1, 듀오백코리아 10,
피에스케이 9.9, KCC건설 9.9, 농심홀딩스 9.7, 진도 9.3, 한신공영 9
영풍정밀 9, 경동가스 8.9, 한진 8.4, 건설화학 8.3, 차이나그레이트 7.9,
신영증권 7.7

[신영자산운용 5% 이상 보유기업]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신도리코 64,300 ▼2,700 (-4%) 6,007 538 597 11.1 0.82 7.4%
E1 67,500 ▼400 (-0.6%) 49,611 1,129 738 5.9 0.44 7.4%
한국단자 27,250 ▲50 (0.2%) 3,186 268 234 7.7 0.75 9.8%
농심홀딩스 63,800 ▼500 (-0.8%) 200 176 158 54.8 0.43 0.8%
전북은행 4,490 ▲5 (0.1%) 2,362 600 0 4.2 0.40 9.6%
세이브존I&C 2,900 ▲50 (1.8%) 1,274 218 124 7.6 0.44 5.8%
삼천리 121,000 ▲500 (0.4%) 23,162 603 474 17.1 0.43 2.5%
신영증권 33,600 ▼250 (-0.7%) 562 9 0 4.3 0.36 8.4%
한진 19,950 ▼600 (-2.9%) 8,944 248 -11 N/A 0.32 -3.4%
한국철강 26,050 ▼250 (-0.9%) 7,569 95 105 N/A 0.36 -3.3%
한국철강 26,050 ▼250 (-0.9%) 7,569 95 105 N/A 0.36 -3.3%
동아타이어 14,750 ▼100 (-0.7%) 3,023 287 268 5.3 0.67 12.8%
KCC건설 25,200 ▲200 (0.8%) 8,835 178 104 8.4 0.34 4%
화천기공 48,000 ▼200 (-0.4%) 1,754 131 106 5.6 0.47 8.5%
영풍정밀 11,050 ▼150 (-1.3%) 866 121 118 11.2 0.64 5.7%
세이브존I&C 2,900 ▲50 (1.8%) 1,274 218 124 7.6 0.44 5.8%
유니드 36,350 ▲250 (0.7%) 3,702 243 217 8.4 0.53 6.3%
KC코트렐 9,870 ▲220 (2.3%) 2,037 69 84 12.3 1.49 12.2%
NPC 2,500 ▼10 (-0.4%) 1,973 150 122 5.2 0.69 13.3%
삼영전자 8,460 ▼30 (-0.3%) 1,813 137 104 13.5 0.39 2.9%
차이나그레이트 1,495 ▲5 (0.3%) 0 0 0 3 0.63 0%
삼영무역 11,350 ▲550 (5.1%) 2,064 40 118 7.8 1.01 13%
일신방직 78,600 ▲100 (0.1%) 2,501 -178 -112 N/A 0.41 -0.1%
건설화학 20,600 ▼100 (-0.5%) 2,479 223 189 4.4 0.41 9.3%
한국공항 27,150 ▼50 (-0.2%) 3,040 118 103 N/A 0.34 -9.7%
신세계 I&C 52,500 ▼900 (-1.7%) 2,258 129 115 5.9 0.66 11.3%
삼영이엔씨 7,060 ▼10 (-0.1%) 317 81 66 7.3 1.05 14.4%
피에스케이 4,395 ▲100 (2.3%) 601 77 106 6.8 0.64 9.4%
동성하이켐 5,410 0 (0%) 1,615 114 94 6.7 1.25 18.6%
GⅡR 6,660 ▼10 (-0.1%) 116 28 40 13.1 1.01 7.7%
환인제약 12,000 ▼50 (-0.4%) 799 139 114 14.1 1.32 9.4%
위닉스 4,560 ▲40 (0.9%) 1,218 71 67 10.5 0.95 9.1%
삼익THK 5,630 ▼20 (-0.3%) 1,461 57 59 9 1.03 11.4%
기신정기 6,170 0 (0%) 494 113 98 12 0.97 8.1%
포스코강판 15,700 ▼100 (-0.6%) 6,498 -389 -330 N/A 0.50 -22.1%
WISCOM 4,250 ▲5 (0.1%) 1,169 58 66 7.1 0.55 7.8%
디씨엠 10,300 ▼50 (-0.5%) 1,226 160 138 6.6 0.88 13.3%
SJM 7,780 ▲10 (0.1%) 846 -11 135 6.2 1.01 16.3%
한신공영 7,050 ▲210 (3.1%) 5,963 200 70 6.7 0.18 2.7%
한국제지 24,100 0 (0%) 4,644 117 84 8 0.26 3.2%
리바트 5,600 0 (0%) 3,593 36 33 24.5 0.51 2.1%
삼정펄프 49,800 ▲350 (0.7%) 1,222 133 126 5.5 0.70 12.8%
태경산업 3,445 ▲55 (1.6%) 1,165 72 91 5.5 0.62 11.3%
KSS해운 8,260 ▼10 (-0.1%) 837 118 90 7 0.70 10%
KMH 8,460 ▲20 (0.2%) 372 56 50 9.4 1.58 16.8%
신영와코루 96,900 ▲500 (0.5%) 1,992 155 143 5.6 0.33 5.9%
진도 4,560 ▼90 (-1.9%) 958 85 -78 N/A 0.71 -12.8%
일진에너지 5,080 ▲80 (1.6%) 1,013 26 9 N/A 1.31 -11.2%
한국알콜 3,370 ▲5 (0.1%) 1,546 32 44 11.5 0.44 3.8%
TCC동양 4,370 ▼90 (-2%) 3,343 104 51 N/A 0.33 -0.2%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기신정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플라스틱 사출금형 부품 및 소재업체
사업환경 ㅇ 금형은 대량생산을 위한 필수 도구로 거의 모든 공산품 생산에 활용됨
ㅇ 국내 금형기업들은 IT와 자동차 산업의 설비투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ㅇ 최근 삼성전자, 현대기아차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로 국내 금형업체들이 수혜를 보고 있음
경기변동 ㅇ 불황 때 개발용 금형, 호황 때 양산용 금형 수요 발생해 비교적 경기에 둔감
ㅇ 업계 구조조정에 따른 시장독점도 경기 민감도를 낮춘 요인임
주요제품 ㅇ몰드베이스: 플라스틱 사출금형 원재료(매출 비중 87%)
ㅇ코아 플레이트: 플라스틱 사출금형 형상가공((매출 비중 7%)
원재료 ㅇ탄소구조강 등: 포스코, 일본 KOBE 등에서 매입(매입 비중 54%)
ㅇ특수강: 코아 플레이트 생산용, 포스코특수강 등에서 매입(매입 비중 14%)
실적변수 ㅇ 5대 수요산업인 자동차, IT(반도체, 핸드폰), 디스플레이, 가전 설비투자 증가시 수혜
ㅇ 원/엔 환율 하락시 원가 개선 (주요 원재료을 일본에서 조달)
리스크 ㅇ 중국 천진 자회사 기신정밀모구 2011년 적자 기록
신규사업 ㅇ 강재 사업
ㅇ 일본 후바다전자공업에 '몰드베이스 구성 플레이트' 수출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기신정기]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9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494 683 644 625
영업이익(보고서) 113 154 159 135
영업이익률(%) 22.9% 22.5% 24.7% 21.6%
영업이익(K-GAAP) 101 144 159 135
영업이익률(%) 20.4% 21.1% 24.7% 21.6%
순이익(지배) 98 131 140 116
순이익률(%) 19.8% 19.2% 21.7% 18.6%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1.98
이시각 PBR 0.97
이시각 ROE 8.12%
5년평균 PER 9.78
5년평균 PBR 0.86
5년평균 ROE 9.00%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기신정기]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후다바전자공업(주)최대주주 본인보통주17,920,00061.3717,920,00061.37-
기신산기(주)계열회사보통주1,251,0404.281,224,5704.19장내매도
(주)기신몰드계열회사보통주62,3300.2192,0900.32장내매수
윤종수계열회사 임원보통주1,092,0003.74972,0003.33증여
윤현도계열회사 임원보통주840,0002.88960,0003.29수증
윤혜란계열회사 임원보통주114,5100.39114,5100.39-
윤현필계열회사 임원보통주00.00137,0400.47신규선임
황영희계열회사 임원보통주13,5200.0513,5200.05-
송병선계열회사 임원보통주17,7360.0612,5060.04장내매도
김승호계열회사 임원보통주21,3980.0700.00임원퇴임
이종은계열회사 임원보통주40,0000.1400.00임원퇴임
보통주21,372,53473.1921,446,23673.45-
우선주00.0000.00-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