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이지바이오, 국민연금 6.4% 보유...왜?
11일 증시 개장을 앞둔 가운데 국민연금공단(이하 '국민연금')이 신규 보유를 공시한 이지바이오6,420원, ▲260원, 4.22%가 상승세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전일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각각 1.5%와 1.2% 하락한 가운데 이지바이오는 4.7% 급등한 3425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7월 4일 이 회사 주식에 대한 누적 순매수량이 235만431주(지분 5%)에 이르러 5% 신규 공시 의무가 발생했고, 21일 65만8220주(지분 1.4%) 신규 취득해 지분율을 6.4%로 높였다. 이로써 지난 3분기 기관 순매수량의 대부분이 국민연금의 매수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7월 2일부터 9월 21일까지 기관 순매수량은 267만9943주이다.
눈길을 끄는 점은 국민연금의 마지막 지분 매수일인 9월 21일 이후도 기관 투자자의 순매수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다.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전일까지 기관 순매수량은 50만7293주(1.1%)다.
이 같은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한 기관의 적극 '구애'는 이지바이오의 양호한 영업 실적과 축산업 수직계열화에 따른 향후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 천연제재 동물사료 업체...2007년부터 매출·영업이익 꾸준한 성장세
이지바이오는 지난 2007년부터 양호한 영업 실적을 기록해 왔다. 매출액은 매년 10~20% 늘어 지난해 951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두 해를 제외하고 30% 이상 늘어 지난해 13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항생제의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 천연제제 배합사료 및 첨가물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기존에는 질병원인균이 내성을 보이면 대부분 축산 농가가 강도가 더 센 항생제를 투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질병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강해져 결국 가축들의 집단 폐사를 방지하지도 못하고, 항생제 남용에 따른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만 높아지게 됐다. 이에 따라 EU에서는 이미 1999년부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던 4종류의 항생제 사용을 금지했고, 전 세계적으로 이 같은 조치가 확산되는 추세다.
▷ 사료에서 양계까지...수직 계열화 위한 적극적 M&A
이지바이오는 축산업 수직 계열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인수·합병(M&A)를 진행해 왔다. 2003년 양돈 사료 기업 도드람 B&F를 인수했고, 지난해는 양계기업 마니커780원, ▲9원, 1.17%를 인수했다. 또한, 올해도 삼양사의 사료사업을 인수했다. 2분기 말 기준 관계기업지분관련투자자산이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2%다. 이 가운데 종속기업 관련 비중은 48%에 달한다.

다만, 현재는 수직 계열화에 따른 '시너지'보다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순이익 감소라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큰 상황이다. 올 상반기 이지바이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607억원과 104억원으로 각각 55%와 65%가 늘었다. 하지만 순이익은 117억원으로 45%가 줄었다. 이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결과다. 상반기 지분법 이익은 3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0% 급감했는데, 주요 자회사 중 하나인 마니커780원, ▲9원, 1.17%가 94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한편, 이지바이오의 차입금은 투자자가 유의할 부분이다. 총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올해 1분기 말 36%까지 상승했다가, 2분기 말 현재 31%로 떨어진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40%를 넘어가면 재무 구조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이자 상환능력과 현금흐름이 원활한지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분기 연환산 기준 이지바이오의 이자보상배율은 약 3배로 양호한 편이다. 반면, 영엉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를 기록해 현금 흐름은 원활치 못했다. 따라서 당장 이자 상환에는 문제가 없지만, 향후 재무 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7월 4일 이 회사 주식에 대한 누적 순매수량이 235만431주(지분 5%)에 이르러 5% 신규 공시 의무가 발생했고, 21일 65만8220주(지분 1.4%) 신규 취득해 지분율을 6.4%로 높였다. 이로써 지난 3분기 기관 순매수량의 대부분이 국민연금의 매수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7월 2일부터 9월 21일까지 기관 순매수량은 267만9943주이다.
눈길을 끄는 점은 국민연금의 마지막 지분 매수일인 9월 21일 이후도 기관 투자자의 순매수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다.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전일까지 기관 순매수량은 50만7293주(1.1%)다.
이 같은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한 기관의 적극 '구애'는 이지바이오의 양호한 영업 실적과 축산업 수직계열화에 따른 향후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 천연제재 동물사료 업체...2007년부터 매출·영업이익 꾸준한 성장세
이지바이오는 지난 2007년부터 양호한 영업 실적을 기록해 왔다. 매출액은 매년 10~20% 늘어 지난해 951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두 해를 제외하고 30% 이상 늘어 지난해 13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항생제의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 천연제제 배합사료 및 첨가물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기존에는 질병원인균이 내성을 보이면 대부분 축산 농가가 강도가 더 센 항생제를 투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질병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강해져 결국 가축들의 집단 폐사를 방지하지도 못하고, 항생제 남용에 따른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만 높아지게 됐다. 이에 따라 EU에서는 이미 1999년부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던 4종류의 항생제 사용을 금지했고, 전 세계적으로 이 같은 조치가 확산되는 추세다.
▷ 사료에서 양계까지...수직 계열화 위한 적극적 M&A
이지바이오는 축산업 수직 계열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인수·합병(M&A)를 진행해 왔다. 2003년 양돈 사료 기업 도드람 B&F를 인수했고, 지난해는 양계기업 마니커780원, ▲9원, 1.17%를 인수했다. 또한, 올해도 삼양사의 사료사업을 인수했다. 2분기 말 기준 관계기업지분관련투자자산이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2%다. 이 가운데 종속기업 관련 비중은 48%에 달한다.

다만, 현재는 수직 계열화에 따른 '시너지'보다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순이익 감소라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큰 상황이다. 올 상반기 이지바이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607억원과 104억원으로 각각 55%와 65%가 늘었다. 하지만 순이익은 117억원으로 45%가 줄었다. 이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결과다. 상반기 지분법 이익은 3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0% 급감했는데, 주요 자회사 중 하나인 마니커780원, ▲9원, 1.17%가 94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한편, 이지바이오의 차입금은 투자자가 유의할 부분이다. 총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올해 1분기 말 36%까지 상승했다가, 2분기 말 현재 31%로 떨어진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40%를 넘어가면 재무 구조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이자 상환능력과 현금흐름이 원활한지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분기 연환산 기준 이지바이오의 이자보상배율은 약 3배로 양호한 편이다. 반면, 영엉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를 기록해 현금 흐름은 원활치 못했다. 따라서 당장 이자 상환에는 문제가 없지만, 향후 재무 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지바이오]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도드람' 브랜드로 알려진 축산산업 수직계열화한 지주회사로 동물약품 제조 |
|---|---|
| 사업환경 | ㅇ동물약품 및 기능성첨가제는 화학제품에서 환경친화적 천연제제 제품으로 전환 중 ㅇ수요처인 배합사료 산업은 성숙산업에 진입 |
| 경기변동 | 주로 전방산업(육가공,유가공,수산물가공) 경기에 영향을 받음 |
| 주요제품 | ㅇ사료첨가제 : 가축의 면역 증강 및 유해세균의 억제 (매출 비중 70%) ㅇ첨가제 : 고급단백질 공급 및 소화 촉진 (매출 비중 22%) |
| 원재료 | 옥수수, 대두박 등 |
| 실적변수 | ㅇ옥수수 및 소맥(밀) 국제가격 하락시 수혜 ㅇ환율 하락시 원가경쟁력 상승 |
| 리스크 | 미행사 전환사채 잔량 10만주 |
|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이지바이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이지바이오]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지원철 | 본인 | 보통주 | 5,407,051 | 11.74 | 5,916,179 | 12.61 | - |
| 성순희 | 특수관계 | 보통주 | 751,698 | 1.63 | 751,698 | 1.60 | - |
| 지현욱 | 특수관계 | 보통주 | 7,627,177 | 16.56 | 7,947,284 | 16.94 | - |
| 우리손영농조합 | 특수관계 | 보통주 | 1,231,855 | 2.67 | 1,231,855 | 2.63 | - |
| 김지범 | 특수관계 | 보통주 | 3,579 | 0.01 | 3,579 | 0.01 | - |
| 아날로그 | 특수관계 | 보통주 | 0 | 0 | 139,946 | 0.30 | - |
| 계 | 보통주 | 15,021,360 | 32.61 | 15,990,541 | 34.09 | - | |
| 우선주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