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강세업종]풍력발전 관련주 상승세..동국S&C 3%↑
풍력발전 관련업체들이 상승세다. 2일 오후 1시 43분 현재 동국S&C2,015원, 0원, 0%는 전일 대비 3.4% 상승한 3870원에 거래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3.1% 오른 5만9300원, 용현BM은 1.2% 오른 6620원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풍력 발전시장 확대 수혜기업]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풍력 발전은 기초투자비가 태양광의 23% 수준이며 운영 비용도 태양광, 수력보다 저렴하다.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업체들은 주요 부품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STX그룹 등 대기업의 풍력 시장 진출도 주목된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RPS를 시행한다. 포스코파워와 SK E&S는 전남에 20조원 규모 풍력단지 건설에 합의했다. 지식경제부는 2019년 말까지 10조2천억을 투입해 2.5기가와트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RPS: 에너지생산량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비율 의무화 제도.
한편, 글로벌 풍력시장은 중국과 미국이 발전 능력 1,2위다. 특히 세계 10대 풍력 업체 가운데 4개는 중국 기업이다(2010년 기준).
[풍력 발전 주요 설비 업체]
블레이드: 국도화학
발전기 및 메인샤프트: 두산중공업, 효성, 유니슨, 현대중공업, 태웅, 용현BM, 현진소재
기어박스: 두산중공업, 효성, 유니슨
피치시스템 및 요시스템: 태웅, 용현BM
타워: 동국S&C(세계 30% 점유), 스페코
* 유니슨은 2011.11.23 단조사업 철수하고 풍력에 집중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RPS를 시행한다. 포스코파워와 SK E&S는 전남에 20조원 규모 풍력단지 건설에 합의했다. 지식경제부는 2019년 말까지 10조2천억을 투입해 2.5기가와트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RPS: 에너지생산량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비율 의무화 제도.
한편, 글로벌 풍력시장은 중국과 미국이 발전 능력 1,2위다. 특히 세계 10대 풍력 업체 가운데 4개는 중국 기업이다(2010년 기준).
[풍력 발전 주요 설비 업체]
블레이드: 국도화학
발전기 및 메인샤프트: 두산중공업, 효성, 유니슨, 현대중공업, 태웅, 용현BM, 현진소재
기어박스: 두산중공업, 효성, 유니슨
피치시스템 및 요시스템: 태웅, 용현BM
타워: 동국S&C(세계 30% 점유), 스페코
* 유니슨은 2011.11.23 단조사업 철수하고 풍력에 집중
[풍력 발전시장 확대 수혜기업]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두산중공업 | 59,200원 | ▲1,700원 (3%) | 17,009 | 1,355 | 709 | 30.7 | 1.68 | 5.5% |
| 효성 | 54,900원 | ▲200원 (0.4%) | 23,033 | 1,551 | 1,123 | 22.6 | 0.65 | 2.9% |
| 유니슨 | 7,280원 | ▲90원 (1.3%) | 132 | -32 | -66 | N/A | 5.28 | -199.8% |
| 태웅 | 20,750원 | ▲150원 (0.7%) | 1,363 | 40 | 21 | 26.9 | 0.75 | 2.8% |
| 용현BM | 6,620원 | ▲80원 (1.2%) | 484 | 7 | -9 | N/A | 0.80 | -26.2% |
| 동국S&C | 3,865원 | ▲110원 (2.9%) | 291 | 13 | 17 | N/A | 0.97 | -6.2% |
| 스페코 | 2,150원 | ▲15원 (0.7%) | 149 | 9 | 5 | N/A | 0.98 | -0%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동국S&C]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풍력발전기용 지주대(기둥) 생산 기업 |
|---|---|
| 사업환경 | 유럽 재정위기로 기존 풍력시장 수요 감소 전망되며 새로운 해상풍력시장 기대 |
| 경기변동 | 경기 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아 풍력발전단지 건설이 지체될 수 있음 |
| 실적변수 | 원유가 상승시 수혜, 정부 대체에너지 투자시 수혜 |
| 신규사업 | 해상풍력 사업 진출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동국S&C]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