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대주전자재료 3%↑…MRI점수 상위 13%
대주전자재료70,500원, ▲2,100원, 3.07%가 사흘 연속 상승세다. 2일 오후 12시 35분 현재 전일 대비 3.6% 오른 8810원을 기록중이다.
대주전자재료는 지난 1981년 설립된 전자재료 생산업체다. 설립당시 회사명은 대주교역이었으며, 지난 1985년에 대주정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현재의 이름인 대주전자재료는 지난 2003년 부터 사용했다. 생산 제품은 액상절연재, 칩부품용 전자재료, EMI 차폐용 재료, PDP용 전자재료, 나노잉크, 태양전지 재료, 이차전지 재료, AMOLED 재료 등으로 광범위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주요제품은 PDP용 형광체, 전도성 페이스트, 태양전지 전극재료, 나노재료다. 올해 1분기 기준 각각의 매출 비중은 형광체 38%, 전도성 페이스트, 21%, 태양전지 8%, 나노재료 7%다. 이 네가지 제품이 매출의 74%를 차지한다. 형광체 부문은 지난 2007년 LG화학의 형광체 사업부문을 인수해 현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전도성 페이스트는 전기, 전자부품에 전극을 형성시켜 전기를 통하게끔 하는 재료다.
올해 1분기에는 매출감소에도 원재료 가격 인하로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5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줄었다. 영업이익은 48억원으로 168% 급증했으며, 순이익은 36억원으로 265% 늘어났다. 원재료 가격하락으로 인해 지난해 1분기 83%였던 매출원가율이 68%로 줄었다.
대주전자재료는 지난 1981년 설립된 전자재료 생산업체다. 설립당시 회사명은 대주교역이었으며, 지난 1985년에 대주정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현재의 이름인 대주전자재료는 지난 2003년 부터 사용했다. 생산 제품은 액상절연재, 칩부품용 전자재료, EMI 차폐용 재료, PDP용 전자재료, 나노잉크, 태양전지 재료, 이차전지 재료, AMOLED 재료 등으로 광범위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주요제품은 PDP용 형광체, 전도성 페이스트, 태양전지 전극재료, 나노재료다. 올해 1분기 기준 각각의 매출 비중은 형광체 38%, 전도성 페이스트, 21%, 태양전지 8%, 나노재료 7%다. 이 네가지 제품이 매출의 74%를 차지한다. 형광체 부문은 지난 2007년 LG화학의 형광체 사업부문을 인수해 현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전도성 페이스트는 전기, 전자부품에 전극을 형성시켜 전기를 통하게끔 하는 재료다.
올해 1분기에는 매출감소에도 원재료 가격 인하로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5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줄었다. 영업이익은 48억원으로 168% 급증했으며, 순이익은 36억원으로 265% 늘어났다. 원재료 가격하락으로 인해 지난해 1분기 83%였던 매출원가율이 68%로 줄었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13%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대주전자재료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7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17위(상위 13%)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현금 창출력과 재무 안전성은 낮은 점수를 받았다. 올해 1분기를 제외한 최근 3개분기동안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를 보였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를 기록한 점 등이 반영됐다. 그리고 부채비율166%, 유동비율 69%인 부분이 재무 안전성 점수에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삼성전자가 2012년 2분기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스마트폰 갤럭시 Skin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련 업종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고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다. 가볍고 깨지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 현재 유리기판 대신 플라스틱 기판이 채택되고 아몰레드(AMOLED)가 핵심 디스플레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 플렉서블 단말기 : 삼성전자
- 소재 : 제일모직, 아이컴포넌트, 큐리어스, 나노신소재
- 장비 : AP시스템, 테라세미콘
- AMOLED 재료 : 덕산하이메탈, CS, 대주전자재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고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다. 가볍고 깨지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 현재 유리기판 대신 플라스틱 기판이 채택되고 아몰레드(AMOLED)가 핵심 디스플레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 플렉서블 단말기 : 삼성전자
- 소재 : 제일모직, 아이컴포넌트, 큐리어스, 나노신소재
- 장비 : AP시스템, 테라세미콘
- AMOLED 재료 : 덕산하이메탈, CS, 대주전자재료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제일모직 | 99,700원 | ▼200원 (-0.2%) | 13,717 | 1,014 | 737 | 22.4 | 1.56 | 7% |
| 아이컴포넌트 | 10,750원 | ▲150원 (1.4%) | 99 | 4 | -3 | N/A | 2.35 | -3.2% |
| 큐리어스 | 334원 | ▲43원 (14.8%) | 44 | -3 | -6 | N/A | 0.57 | -60.1% |
| 나노신소재 | 17,800원 | ▲50원 (0.3%) | 61 | 2 | 3 | 38.5 | 2.19 | 5.7% |
| AP시스템 | 13,250원 | ▼150원 (-1.1%) | 602 | 93 | 71 | 16 | 3.24 | 20.3% |
| 테라세미콘 | 32,650원 | 0원 (0%) | 352 | 71 | 59 | 45.1 | 4.93 | 10.9% |
| 덕산하이메탈 | 25,050원 | ▲700원 (2.9%) | 325 | 92 | 93 | 18.6 | 4.82 | 26% |
| CS | 6,970원 | ▼30원 (-0.4%) | 92 | -28 | -32 | N/A | 2.18 | -21.4% |
| 대주전자재료 | 8,890원 | ▲390원 (4.6%) | 252 | 49 | 37 | 9.4 | 1.81 | 19.2%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대주전자재료]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IT기기에 들어가는 각종 전자재료를 생산·판매하는 업체 |
|---|---|
| 사업환경 | ㅇ국내 전자재료 시장은 삼성전기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음 ㅇ해외에서는 대만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음 ㅇLED, OLED, 신재생 에너지사업과 관련된 전자재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 경기변동 | ㅇIT산업 경기변동에 민감 |
| 주요제품 | ㅇPDP용전자재료: PDP패널에 적용되는 유리재료 및 전극재료 (매출 비중 7%) ㅇ전도성 페이스트: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초소형, 고용량의 특성을 지닌 칩부품 (매출 비중 22%) ㅇ태양전지 전극재료: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매출 비중 8%) ㅇ나노재료: 산화마그네슘 (매출 비중 8%) ㅇ형광체: 3D PDP용 (매출 비중 38%) |
| 원재료 | ㅇ귀금속류(은, 희토류): 칩부품전자재료, 고온전극재료의 주재료 (매입 비중 43%) ㅇ세라믹 파워: PDP전자재료의 주재료 (매입 비중 48%) |
| 실적변수 | ㅇ은가격, 희토류 가격 하락시 수혜 ㅇIT경기 호황시 수혜 ㅇ원/달러 환율 상승시 영업외 수익 발생 |
| 리스크 | ㅇ국제 귀금속 가격 변동에 따라 실적변동이 큼 ㅇ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를 기록하고 있음 ㅇ유동비율이 63%로 낮고, 부채비율이 189%로 높음 |
| 신규사업 | ㅇ첨단 디스플레이와 나노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2차전지용 신재료 등을 생산할 계획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대주전자재료]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대주전자재료]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임무현 | 본인 | 보통주 | 510,703 | 6.21 | 510,703 | 6.21 | - |
| 박정자 | 배우자 | 보통주 | 417,240 | 5.07 | 417,240 | 5.07 | - |
| 임일지 | 자 | 보통주 | 373,550 | 4.55 | 373,550 | 4.55 | - |
| 임중규 | 자 | 보통주 | 879,140 | 10.69 | 877,740 | 10.68 | - |
| 임문현 | 형 | 보통주 | 196,890 | 2.39 | 196,890 | 2.39 | - |
| 임해지 | 자 | 보통주 | 131,480 | 1.60 | 131,480 | 1.60 | - |
| 임성지 | 자 | 보통주 | 130,000 | 1.58 | 130,000 | 1.58 | - |
| 박정철 | 처남 | 보통주 | 40,300 | 0.49 | 40,300 | 0.49 | - |
| 권형원 | 임원 | 보통주 | 26,090 | 0.32 | 26,090 | 0.32 | - |
| 이정일 | 조카 | 보통주 | 24,390 | 0.30 | 24,390 | 0.30 | - |
| 신영웅 | 관계회사 임원 | 보통주 | 18,020 | 0.22 | 18,020 | 0.22 | - |
| 임대산 | 손자 | 보통주 | 287,000 | 3.49 | 282,000 | 3.43 | - |
| 계 | 보통주 | 3,034,803 | 36.91 | 3,028,403 | 36.83 | - | |
| 우선주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