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니분석] 송원산업, 바닥 다졌나?…내부자 매수+최저PBR
주가 하락을 보이던 송원산업이 최근 상승세를 보여 관심을 끈다. 송원산업의 주가는 지난 4월초부터 5월말까지 약 25% 하락했다. 그러던 주가가 6월 들어 다른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 지난 6월 4일 최저점인 7410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하더니 전날(28일) 976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최저점부터 전일가까지 주가 상승률은 32%다. 송원산업은 바닥을 다지고 본격 반등에 나선 것일까?

▷ 세계 2위 산화방지제 제조업체
송원산업8,970원, ▲80원, 0.9%은 합성수지 첨가제인 산화방지제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정밀화학업체다. 산화방지제는 합성수지가 산소에 의해 품질저하가 일어나는 산화 작용을 막는 첨가제를 뜻한다. 합성수지인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ABS수지 등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필수 원료다.

송원산업은 산화방지제부문에서 국내 시장점유율 63%, 세계 시장점유율 22%로 전체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생산능력을 2008년 2만톤, 2011년 1만5000톤 증설해 7만톤까지 확대시키는 동시에, 09년초 당시 세계 2위였던 미국 켐추라(Chemtura)사가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됐다. 한편 산화방지제 시장의 세계 1위는 스위스 시바(Ciba)사로 점유율 50%를 확보하고 있다. 시바는 지난 2009년 4월 독일 바스프(BASF)사에 피인수됐다.
송원산업은 국내에서 전체 매출의 35%가 발생하고 있고, 나머지 매출은 그 외 아시아(22%), 유럽(21%), 아메리카(21%) 등에서 나온다. 수출 비중이 높아 원/엔, 원/유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수록 수혜를 입는 구조다.
송원산업은 산화방지제의 원료인 알킬페놀과 이소부틸렌을 직접 생산하는 유일한 업체이기도 하다. 특히 알킬페놀은 산화방지제 품질을 좌우하는 원료로 운송과 보관이 까다로운 물질이다. 현재 송원산업은 산화방지제 생산에 필요한 알킬페놀 전량을 직접 생산할 수 있는 상태다.
또한 알킬페놀의 원재료인 이소부틸렌은 여천NCC와 LG화학393,000원, ▲30,000원, 8.26%으로 부터 공급받고 있으나 현재 매암공장에서 4만톤을 생산하는 등 자체 생산시설을 통해 외부 원재료 조달 비중을 줄이고 있다. 송원산업은 원료의 수직계열화를 통해 유가 변동에 따른 영향을 축소하고 안정적인 공급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 1분기 실적 '부진'…2분기엔 '반짝' 개선?

송원산업은 올 1분기 세계 석유화학 시장의 업황 둔화로 부진한 실적을 내놨다. 매출액은 14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46% 줄어든 45억6200만원, 순이익은 70% 감소한 11억8100만원을 기록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부터 올 2월까지 산화방지제 수요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설비가동율이 70%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유럽, 미국 등 경기침체 여파가 합성수지 제품의 판매부진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 원인이다.
그럼에도 2분기 전망은 밝다. 3월 이후 산화방지제 수요가 회복되면서 가동률 역시 90% 수준까지 올라갔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현재의 수요 회복은 고객사들의 낮은 재고수준에 따른 것으로, 전반적인 수요 창출을 위해선 석유화학 업황의 회복이 절실하다는 게 업계의 견해다.
▷ 내부자는 '매수', 국민연금은 '매도'
큰 손들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송원산업의 비등기 임원인 김기찬 씨는 올해 들어 소량의 주식을 꾸준히 사들이고 있다. 김 씨는 공시를 통해 2월말 400주, 3월말 1500주, 4월말 2000주, 6월말 1980주의 주식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민연금은 지분을 축소하는 모습이다. 올해 초인 지난 1월 9일 지분을 1.05% 확대했다고 공시했으나, 4월 9일에는 오히려 2.14%를 축소했다고 밝혔다. 현재 국민연금의 지분율은 6.94%(166만4687주)다.
▷ PBR 0.8배…5년 평균치 대비 37% 낮아
송원산업의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8배로 나타났다. 이는 5년 평균치인 1.3배에 비해 37% 가량 낮은 수준이다. 송원산업의 PBR은 2007년 이후 1이하로 내려갔던 적이 많지 않다. 2008년 금융위기 시절 이후 처음이다. 10년간 최저치는 0.3배, 최대치는 2배이나 5년 동안의 최저치는 0.7배다. PBR은 시가총액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됐다고 판단한다.

[송원산업]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산화방지제, 안정제,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생산하는 정밀화학업체 |
|---|---|
| 사업환경 | 산화방지제 시부문 국내 시장 60% 점유. 안정제 부문은 국내 시장 25% 점유 |
| 경기변동 | 석유화학 업황에 민감. 중국 수출 의존도가 커 이 지역 경기와 밀접. 안정제는 건설 경기와도 밀접 |
| 실적변수 | 석유화학업계 공장가동률이 높을수록 유리. 안정제의 경우 7~8월이 비수기 |
| 신규사업 | 산화방지제 생산능력 확대, 무독성 안정제 개발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송원산업]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