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MDS테크, 전일 12% 급락
[아이투자 강우람] 5일 개장을 앞두고 MDS테크1,332원, ▲11원, 0.83%의 주가 추이가 주목된다.
MDS테크는 지난 5월 14일 1만5900원을 기록한 후 하락세다. 전일에는 12.5%나 하락한 1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3주만에 MDS테크의 주가는 28% 내렸다. MDS테크의 하락에는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일까.

MDS테크의 1분기 실적은 크게 개선됐다. 이 회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126억원에 그쳤으나. 그러나 영업이익은 669% 증가한 17억7000만원, 순이익은 202% 증가한 22억7000만원을 기록했다.
MDS테크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의 가파른 증가는 원가율 개선 효과 덕분이다. 올해 1분기 MDS테크의 원가비중이 57%로 67%를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에 비해 10%P 개선됐다. 이는 영업이익률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1분기 MDS테크의 영업이익률은 2%에 불과했으나, 올해 13%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원가율 개선의 원인은 마진율이 높은 자동차 부문의 개발 솔루션 매출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MDS테크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 1위 업체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특정 제품이나 솔루션에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추가로 탑재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MDS테크는 과거 모바일 분야에 의존했다. 그러나 매출처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면서 자동차 및 정보기기 시장 개척에 성공, 과거 50%가 넘던 모바일 매출비중은 2010년 20% 이하로 떨어졌다. MDS테크는 향후 IT·융합 확산에 따라 자동차, 국방·항공·산업용 기기 영역에서의 고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식MRI 분석 결과 상위 9%
밸류에이션 부문에서읜 낮은 평가는 현재 MDS테크의 주가수익배수(PER)가 5년 평균치와 비슷한 11배에 거래되고 있는 점이 반영됐다.
MDS테크는 지난 5월 14일 1만5900원을 기록한 후 하락세다. 전일에는 12.5%나 하락한 1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3주만에 MDS테크의 주가는 28% 내렸다. MDS테크의 하락에는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일까.

MDS테크의 1분기 실적은 크게 개선됐다. 이 회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126억원에 그쳤으나. 그러나 영업이익은 669% 증가한 17억7000만원, 순이익은 202% 증가한 22억7000만원을 기록했다.
MDS테크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의 가파른 증가는 원가율 개선 효과 덕분이다. 올해 1분기 MDS테크의 원가비중이 57%로 67%를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에 비해 10%P 개선됐다. 이는 영업이익률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1분기 MDS테크의 영업이익률은 2%에 불과했으나, 올해 13%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원가율 개선의 원인은 마진율이 높은 자동차 부문의 개발 솔루션 매출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MDS테크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 1위 업체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특정 제품이나 솔루션에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추가로 탑재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MDS테크는 과거 모바일 분야에 의존했다. 그러나 매출처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면서 자동차 및 정보기기 시장 개척에 성공, 과거 50%가 넘던 모바일 매출비중은 2010년 20% 이하로 떨어졌다. MDS테크는 향후 IT·융합 확산에 따라 자동차, 국방·항공·산업용 기기 영역에서의 고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식MRI 분석 결과 상위 9%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MDS테크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8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164위(상위 9%)를 차지했다.
밸류에이션 부문에서읜 낮은 평가는 현재 MDS테크의 주가수익배수(PER)가 5년 평균치와 비슷한 11배에 거래되고 있는 점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스마트카 관련 기업 - 자동차 전장화 수혜]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스마트카는 IT기술을 활용해 운전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쾌적성과 안전성을 높여준 '똑똑한 자동차'를 말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업체와 IT 업체는 신차 기획부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 그룹은 스마트폰과 차량을 연동시키는 블루링크를 개발했다. 인텔코리아, BMW, 포드, 도요타 등 경쟁사들도 최적 운행경로 탐색, 운전자 음성인식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자동차에 IT기능이 융합되면서 자동차 전장부품 시장도 확대될 전망이다. 관련 업체는 차량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터치스크린, 무선서비스 솔루션 업체 등이다.
[관련기업]
현대모비스: 스마트카 솔루션, 단말기
인팩: 모비스와 전장화 제품 EPB, ECS 엑츄에이터 2012년 양산
유비벨록스: 스마트카 솔루션, 단말기 부가기능 개발
씨앤에스: 차량용 반도체 공급. 칩셋용 반도체칩 개발(주차지원, 차선·영상 인식)
MDS테크: 차량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현대차 그룹은 스마트폰과 차량을 연동시키는 블루링크를 개발했다. 인텔코리아, BMW, 포드, 도요타 등 경쟁사들도 최적 운행경로 탐색, 운전자 음성인식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자동차에 IT기능이 융합되면서 자동차 전장부품 시장도 확대될 전망이다. 관련 업체는 차량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터치스크린, 무선서비스 솔루션 업체 등이다.
[관련기업]
현대모비스: 스마트카 솔루션, 단말기
인팩: 모비스와 전장화 제품 EPB, ECS 엑츄에이터 2012년 양산
유비벨록스: 스마트카 솔루션, 단말기 부가기능 개발
씨앤에스: 차량용 반도체 공급. 칩셋용 반도체칩 개발(주차지원, 차선·영상 인식)
MDS테크: 차량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스마트카 관련 기업 - 자동차 전장화 수혜]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현대모비스 | 267,000원 | ▼6,000원 (-2.2%) | 41,811 | 5,845 | 5,532 | 14.9 | 2.30 | 15.4% |
| 유비벨록스 | 26,600원 | ▼1,750원 (-6.2%) | 171 | 21 | 10 | 15.3 | 2.68 | 17.6% |
| 씨앤에스 | 3,285원 | ▲185원 (6%) | 54 | -19 | -26 | N/A | 3.94 | -67.2% |
| MDS테크 | 11,500원 | ▼1,650원 (-12.6%) | 126 | 18 | 23 | 9.7 | 1.73 | 17.9% |
| 인팩 | 3,205원 | ▼195원 (-5.7%) | 317 | 12 | 25 | 4.6 | 0.66 | 14.4%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MDS테크]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솔루션 제공업체 |
|---|---|
| 사업환경 | ㅇ정부의 소프트웨어 육성 정책에 따라 국가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음 ㅇ자동차, 모바일기기, 국방·항공용 기기, 산업용·지능형 로봇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상황 |
| 경기변동 | ㅇ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으나 전방산업에 비해 덜함 |
| 실적변수 | ㅇ모바일·자동차·조선 등 완제품 시장의 확대시 수혜 ㅇ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적용분야 증가시 수혜 |
| 신규사업 | ㅇ임베디드 개발 솔루션의 지속적인 기능 업그레이드, 신기술을 개발, 신규 시장 및 신규 사업 분야 개척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MDS테크]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