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용 화장품, 헤어제품, 메니큐어 및 페디큐어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산업입니다. 화장품은 대표적인 소비재 품목으로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화장품 기업들은 많은 비용을 브랜드 및 마케팅에 투입을 하며, 제품 제조는 직접 또는 주문자위탁생산(OEM) 방식으로 생산을 합니다. 전 세계적인 한류 열풍에 따라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글로벌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 점유율은 지난 10년간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최근에는 화장품과 의약품을 합성한 코스메슈티컬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 기능을 합친 제품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기업으로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이 있으며 해외는 Estee Lauder, L'Oreal, Shiseido 등이 있습니다.
항목 |
기업 A |
기업 B |
기업 C |
기업 D |
기업 E |
---|---|---|---|---|---|
재무연월 기준 | 2020.12 | 2020.12 | 2020.12 | 2020.12 | 2020.12 |
재무제표 기준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매출액(억) | 78,445 | 49,301 | 44,322 | 13,829 | 13,221 |
매출총이익(억) | 48,816 | 35,590 | 31,668 | 2,108 | 4,263 |
영업이익(억) | 12,209 | 1,507 | 1,430 | 666 | 1,217 |
세전순이익(억) | 11,211 | 313 | 253 | 1 | 2,216 |
당기순이익(억) | 7,976 | 104 | 351 | 214 | 1,603 |
PER(배) | 12.65 | 20.07 | 47.41 | 9.70 | 25.33 |
PBR(배) | 1.98 | 1.09 | 1.93 | 1.29 | 1.33 |
ROE(%) | 15.67 | 5.44 | 4.07 | 13.26 | 5.24 |
전일종가(원) | 684,000 | 43,800 | 157,000 | 63,600 | 39,650 |
시가총액(억) | 106,828 | 36,117 | 91,834 | 7,218 | 9,072 |
* 당기순이익 : 연결은 지배지분 순이익, 개별은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 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재무상태표 : 최근 분기 기준* 주가 : 05월 17일 기준
* 주가 :05/18 15:30기준
63,500원
▼100원 -0.16%
[52주 최저가] 코스맥스 11.8%↓, 17개 종목 장중 신저가
22.05/17
1,575원
▲25원 +1.61%
[오전 거래 급증주 점검] 아우딘퓨쳐스, 거래량↑… 그 외 종목은...
22.05/17
156,000원
▼1,000원 -0.64%
아모레퍼시픽, 1Q 영업이익 1580억원.. 전년비 -10.3%
22.05/17
20,350원
▼100원 -0.49%
한국콜마홀딩스, 1Q 영업이익 143억원.. PER 15.5배
22.05/17
20,800원
▼400원 -1.89%
잇츠한불, 1Q 영업이익 21억원
22.05/17
677,000원
▼7,000원 -1.02%
LG생활건강, 1Q 영업이익 1756억원.. PER 15.5배
22.05/17
인더스트리워치 서비스가 이미 안내해 드린 대로 2일(월)부터 아이투자의 협력사인 (주)데이터히어로의 신규 사이트로 이전되었습니다.
기존 결제 회원은 데이터히어로의 신규 사이트에서 서비스가 계속해서 제공되오니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새로운 사이트를 방문해 주십시오.
그동안 인더스트리워치 서비스를 이용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더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아이투자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