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용 화장품, 헤어제품, 메니큐어 및 페디큐어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산업입니다. 화장품은 대표적인 소비재 품목으로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화장품 기업들은 많은 비용을 브랜드 및 마케팅에 투입을 하며, 제품 제조는 직접 또는 주문자위탁생산(OEM) 방식으로 생산을 합니다. 전 세계적인 한류 열풍에 따라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글로벌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 점유율은 지난 10년간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최근에는 화장품과 의약품을 합성한 코스메슈티컬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 기능을 합친 제품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기업으로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이 있으며 해외는 Estee Lauder, L'Oreal, Shiseido 등이 있습니다.
항목 |
기업 A |
기업 B |
기업 C |
기업 D |
기업 E |
---|---|---|---|---|---|
재무연월 기준 | 2020.12 | 2020.12 | 2020.12 | 2020.12 | 2020.12 |
재무제표 기준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매출액(억) | 78,445 | 49,301 | 44,322 | 13,829 | 13,221 |
매출총이익(억) | 48,816 | 35,590 | 31,668 | 2,108 | 4,263 |
영업이익(억) | 12,209 | 1,507 | 1,430 | 666 | 1,217 |
세전순이익(억) | 11,211 | 313 | 253 | 1 | 2,216 |
당기순이익(억) | 7,976 | 104 | 351 | 214 | 1,603 |
PER(배) | 30.60 | 548.86 | 445.94 | 56.41 | 8.31 |
PBR(배) | 5.13 | 1.75 | 3.51 | 3.52 | 2.14 |
ROE(%) | 16.77 | 0.32 | 0.79 | 6.24 | 25.70 |
전일종가(원) | 1,564,000 | 66,900 | 255,500 | 119,000 | 56,400 |
시가총액(억) | 244,112 | 56,979 | 156,669 | 12,059 | 13,317 |
* 당기순이익 : 연결은 지배지분 순이익, 개별은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 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재무상태표 : 최근 분기 기준* 주가 : 04월 10일 기준
* 주가 :04/13 15:30기준
58,200원
▲1,800원 +3.19%
한국콜마, 사업부별 성과 상이...목표가 4%↑-메리츠證
21.04/12
22,800원
▲1,300원 +6.05%
클리오, 1Q 실적 예상치 부합 전망...목표가 9%↑ 2만3000원-현대...
21.04/09
120,000원
▲1,000원 +0.84%
코스맥스, 그래핀 양자점 화장료 조성물 특허권 취득
21.04/08
29,750원
▼800원 -2.62%
연우, 1Q 영업익 추정치 29% 상향..목표가 9%↑ -유안타證
21.04/08
69,100원
▲2,200원 +3.29%
아모레G, 1Q 자회사 낙수효과 기대 -메리츠證
21.04/08
35,800원
▲150원 +0.42%
[리스트] MVP 상위 주식 20선 -8일
2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