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산업은 크게 발전소,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발전 기자재와 공작기계, 그리고 토목, 건설 작업에 필요한 건설기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전설비 산업은 경제활동의 원동력인 중간 생산재(에너지)를 생사하는 기간산업이자 설비산업으로 투자규모가 크고 자본의 회수기간이 길어 전반적인 경기 상황, 정부의 사회간접 자본 투자정책, 기업의 설비투자 동향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결정됩니다. 산업 특성상 공공부문과 민자부문으로 나뉘며, 대부분 국가에서 전력 수급을 효과적으로 계획, 통제하기위해 중장기적으로 전원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건설기계 산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 쓰이는 기계의 총칭으로 굴착기계, 크레인, 하역기계 등이 있습니다. 건설 기계 산업은 건설 경기에 따라 수요 변동이 밀접하게 영향을 받으며, 완전 경쟁 체제로서 다수의 글로벌 업체와 특정 지역 내 기반을 둔 로컬 업체들의 시장 참여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발전, 전력 기계 회사로는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효성, LS산전 등이 있으며 건설기계 회사로는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현대건설기계 등이 있습니다.
항목 |
기업 A |
기업 B |
기업 C |
기업 D |
기업 E |
---|---|---|---|---|---|
재무연월 기준 | 2020.12 | 2020.12 | 2020.12 | 2020.12 | 2020.12 |
재무제표 기준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매출액(억) | 169,693 | 65,922 | 79,341 | 26,175 | 8,958 |
매출총이익(억) | 24,281 | 3,509 | 17,282 | 4,628 | 1,786 |
영업이익(억) | 2,750 | 720 | 6,586 | 916 | 331 |
세전순이익(억) | -8,993 | 845 | 4,483 | 92 | 273 |
당기순이익(억) | -5,533 | 610 | 1,488 | -97 | 204 |
PER(배) | 6.40 | 29.11 | 2.70 | 7.11 | 12.00 |
PBR(배) | 0.63 | 0.56 | 0.91 | 0.61 | 1.15 |
ROE(%) | 9.78 | 1.92 | 33.67 | 8.55 | 9.55 |
전일종가(원) | 82,100 | 66,700 | 6,320 | 40,950 | 16,900 |
시가총액(억) | 13,566 | 18,139 | 12,479 | 8,067 | 4,027 |
* 당기순이익 : 연결은 지배지분 순이익, 개별은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 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재무상태표 : 최근 분기 기준* 주가 : 05월 14일 기준
* 주가 :05/16 15:30기준
13,150원
▼100원 -0.75%
삼익THK, 1Q 영업이익 44억원.. PER 20.3배
22.05/16
5,600원
▲190원 +3.51%
대창단조, 1Q 영업이익 112억원.. PER 6.2배
22.05/16
2,385원
▼75원 -3.05%
에이치케이, 1Q 영업이익 3억원.. PER 11배
22.05/16
2,045원
▲80원 +4.07%
스맥, 1Q 영업이익 48억원.. PER 18.9배
22.05/16
7,150원
▲70원 +0.99%
서암기계공업, 1Q 영업이익 5억원
22.05/16
65,900원
▼800원 -1.20%
현대위아, 1Q 영업이익 515억원.. PER 33.3배
22.05/14
인더스트리워치 서비스가 이미 안내해 드린 대로 2일(월)부터 아이투자의 협력사인 (주)데이터히어로의 신규 사이트로 이전되었습니다.
기존 결제 회원은 데이터히어로의 신규 사이트에서 서비스가 계속해서 제공되오니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새로운 사이트를 방문해 주십시오.
그동안 인더스트리워치 서비스를 이용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더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아이투자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