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V차트] "한솔케미칼, 가동률 점진적 개선 예상"

23.11/21
김재호 연구원
한솔케미칼189,500원, ▲8,400원, 4.64%은 정밀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다. 회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지 및 섬유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와 섬유에 사용되는 차아황산소다, 폴리머 합성 시 중합개시제로 주로 사용되는 BPO를 생산한다. 또, 제지/환경제품으로 제지산업에서 부재료로 사용되는 라텍스외 제지약품, 폐수처리 등에 사용되는 고분자응집제 등도 판매한다.

3분기 기준 품목별 매출 비중은 정밀화학제품 36.2%, 제지/환경제품 15.8%, 전자 및 이차전지 소재제품 42.3% 등이다. 매출 중 내수와 수출 비중은 각각 78%, 22%다.

한솔케미칼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다, 올해 들어 조정을 받았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매출액 흐름과 함께 증가와 감소를 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6.2%, 15.2%다. 두 이익률은 2021년 2분기 26.8%, 20.6%를 최고점으로 하락세로 전환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 모두 최근 상승세를 보였다. 3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3.6%, 10.2%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3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15.9%다. 이 비중은 최근 상승세를 보였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4.6%다. 이는 5년 평균 20%와 비교해 낮다. ROE는 2021년 2분기 22.7%를 기록한 후 현재까지 하락세를 이어온다.

20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46배로, 5년 평균 3.28배에 비해 낮다. PBR은 최근 2.29배까지 내려갔다가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한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도 하락했다.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했으며, 주당 배당금이 계속 증가했다. 주당 배당금은 2020년 1800원 → 2021년 2100원 → 2022년 2100원을 기록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1.1%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46.3%, 146.9%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한솔케미칼은 이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3분기 기준 회사가 보유한 차입금은 2888억원이다. 이는 전체 자산의 21.3%에 해당한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3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24.2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하락세로 전환한 가운데, 주가는 최근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1일 다올투자증권 고영민 연구원은 "2024년 매출액 8349억원, 영업이익 1652억원을 전망한다'며, "업황의 개선 속도를 감안할 때 가동률 및 실적의 가파른 턴어라운드는 내년 2분기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 상반기, 가동률의 점진적 개선에 따른 매출액 우상향 회복세를 예상한다"며, "더불어 원재료 가격의 안정화(우하향)에 따라 매출 회복 이상의 이익률 개선도 보여질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 "고객사의 High-K 프리커서 신규 벤더 확대 추진에 따른 수혜를 기대한다"며, "내년에 관련 퀄 테스트 진행 예정이며, 성공시 2025년부터 공급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