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스톡워치] 코오롱인더, 다양한 산업 소재 생산 기업

23.07/24
김재호 연구원
코오롱인더42,050원, ▲350원, 0.84%의 사업부문은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기타사업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분기 연결기준 매출 비중은 산업자재군 47%, 화학소재군 18%, 필름/전자재료군 9%, 패션군 23%, 기타사업군 3%다. 또, 전체 매출에서 내수와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6%, 54%다.

코오롱인더의 연환산 매출액은 2020년 4분기까지 감소세를 이어오다 반등해 작년 4분기까지 증가했다. 그러다 올해 1분기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연환산 영업이익은 2020년 3분기 저점을 기준으로 반등해 2021년 3분기까지 증가했다. 이후 다시 감소세로 전환해 현재에 이르렀다. 순이익은 2021년 1분기 이후 1년간 증가했다가 감소세로 전환해 그 흐름을 이어온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3.9%, 2.3%다. 영업이익률은 2021년 4분기부터, 순이익률은 작년 2분기부터 하락세로 전환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 가운데, 판관비율은 상승세를 보였다.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3%, 23.1%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추이는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으로, 올해 1분기 23.7%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6%다. 이는 5년 평균 5.7%에 비해 낮다. ROE는 작년 1분기 8.8%를 기록한 이후 하락해 현재 수준까지 떨어졌다.

21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54배로, 5년 평균 0.61배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PBR은 2021년 3분기 1.11배를 고점으로 하락세로 전환했다가 최근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이어간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배당을 꾸준히 지급했으며, 주당 배당금이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8년과 2019년 900원이었던 주당 배당금은 2020년 1000원, 2021년 1300원까지 증가했다. 작년 주당 배당금도 1300원으로, 시가배당률은 3.2%였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은 2019년 83% → 2020년 15% → 2021년 21% → 2022년 22%였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24.2%, 89.7%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코오롱인더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아쉬운 모습이다.

[그래프9]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회사의 차입금 규모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상승해, 올해 1분기 40.9%를 기록했다.

[그래프10]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2.4배를 기록했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다만, 영업이익 증가에도 이자보상배율이 증가하지 못한 부분은 주의가 필요하다.

[그래프11]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하락세를 이어간 가운데, 주가도 크게 하락했다가 최근 반등해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1일 코오롱인더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한 대신증권 위정원 연구원은 "2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622억원이다"며, "산업자재부문 예상 영업이익은 41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RE타이어 수요회복 마진에도 불구하고 감익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핵심 제품인 아라미드의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대비 5% 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화학 사업부문에 대해서는 "예상 영업이익 19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6.7% 증가할 것이다"며, "IT 산업의 점진적 회복에 따른 에폭시 수지 수익성 회복이 예상되는 가운데 석유수지 스프레드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위 연구원은 "내년 연간 예상 영업이익은 2671억원으로, 전년 대비 63.2%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①2024년 1분기 이후 아라미드 증설분(7500톤)이 온기 반영될 것이며, ②PMR 석유수지 증설에 따른 화학부문 영업이익률 향상, ③2차전지 리사이클링 지분투자 확대에 따른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포인트"라고 전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