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알려株5] 지투파워,산업설비 CMD 기술의 IT 솔루션 업체

22.03/22
신혜정 기자
편집자주 알려株5는 상장을 앞둔 공모주 기업을 5가지 포인트로 정리해 알기 쉽게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1. 공모가 1만6400원 확정…희망밴드 상단

CMD 기술 기반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기업 지투파워10,360원, ▲60원, 0.58%가 22~23일 일반 청약을 거쳐 내달 1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대표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며 KB증권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한다.

공모가는 희망 공모 밴드(1만3500원~1만6400원) 상단인 1만6400원으로 확정했다. 지난 17~18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1785개 기관이 참석했고 1729.6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체 참여기관 중 최상단인 1만6400원을 제시한 기관은 전체 기관의 98%(미제시 30곳 포함)다.

공모를 통해 조달되는 금액은 총 119억원이다. 회사 측은 지속 성장하는 프로젝트 수주금액에 맞춰 생산 CAPA를 확보하기 위해 신축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라 알렸다. 신축공장에는 토지 30억원, 공장 건설 24억원, 설비투자 12억원 등 총 66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2022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나머진 시제품 생산비용, 경상연구개발비 등 운영자금(51억원), 채무상환자금(2억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공모 주식을 포함한 발행주식총수의 26.96%에 해당하는 99만4000주가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이다. 상장 후 1개월 후에는 110만2785주(발행주식총수의 29.91%), 3개월 후에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인 2만6550주(0.72%)가 유통 가능하다. 최대주주 등이 보유한 156만3500주(공모 후 지분율 42%)는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 동안 보호예수된다.

2. 지투파워, 수배전반 상태감시진단 전문기업

지투파워는 산업 설비 상태감시진단(CMD) 기술의 IT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상태감시진단 기술은 IoT, AI, ICT 기술로 전력 상태를 모니터링 및 진단하는 기술이다. 사업 영역은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 ESS 등으로 구분된다. 2021년 3분기 기준 제품별 매출 비중은 수배전반 63%, 태양광발전시스템 26%, 인버터(민간) 8% 등이다.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배전반과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전량 공공기관에 조달 납품 중이다. 공공기관은 구매하려는 품목에 인증 신제품(NEP)이 있는 경우 그 품목의 구매액 중 20% 이상을 의무 구매하여야 하며, 조달청 우수제품 및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도적 인증은 지투파워의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

또한 관급시장은 민수시장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높고 공공기관을 상대로 하는 사업 특성상 안전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다만 특정 기업이 독점하는 것을 제한하고 다양한 중소기업에게 기회를 주는 정책 방향성으로 관급시장에서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는데 한계가 존재하기도 한다. 지투파워는 수배전반 관급시장에서 2021년 3분기 기준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으며 태양광발전시스템 분야에선 9위를 기록했다.

매출이 하반기에 집중되는 점도 특징이다. 관급 조달의 경우 1분기에 계획단계에 있거나 발주가 이뤄져 매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이후 공공기관이 조달청을 통해 발주 공고를 내는 2분기부터 지투파워의 제품 생산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경 최대치를 기록한 후 11월까지 유지된다. 12월이 되면 공장 내 생산물량은 줄어들고 납기에 의한 현장 설치가 증가한다.


(자료 : 지투파워 IR Book)

3. 필수 인증을 통한 수주경쟁력 확보

지투파워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기술 인증제품(NEP), 조달우수제품 인증, 혁신제품 인증을 바탕으로 정부 인증이 있어야지만 참여가 가능한 수의계약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CMD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능인증 5건, NEP 1건, NET 1건, 조달우수제품 3건, 혁신제품인증 1건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여기에 인증 만료를 대비하여 기존 수배전반보다 높은 고부가가치를 제공하는 AI 신경망 알고리즘, 무선 LORA 원격기술 등이 탑재된 CMD 제품을 개발했다. 또한 CMD 기술을 태양광, ESS에도 적용시켜 관급시장에서의 기술력 및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아 관련 매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나아가 태양광발전시스템, ESS의 접속반 및 인버터를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하여 회사 제품의 원자재로 사용하고, 민수업체에 별도 품목으로도 납품하고 있다.

지투파워는 광섬유 기반의 안전진단 EPC, 친환경전력기기 관련 연구개발 등 신기술,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면서 사업 다각화도 추진 중이다. SOC 디지털화의 필수요소인 광섬유 안전진단 시스템 개발 및 필수 인증 취득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SF6가스의 탄소 배출을 방지할 친환경 GIS 배전반 등을 출시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향후 전력망(grid)의 안전을 보장하고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위한 IT 시스템을 통칭하는 것으로 스마트전력망(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진행되면서 IoT, AI, ICT 기술이 탑재된 CMD 시스템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사업 다각화를 통해 스마트그리드 산업 내 밸류체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력 IT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이라 전했다.


(자료 : 지투파워 IR Book)

4. 차별화된 솔루션 제공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지투파워는 IoT 융복합 센서와 AI 제어장치를 통해 솔루션을 제공하는 EMS(에너지관리시스템)의 일종인 CMD 기술을 개발한 회사다. 정부 각 기관으로부터 신기술(NEP), 조달우수제품, 혁신제품인증 등을 받았으며 관급시장에서 공고한 상위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해당 정부 인증을 바탕으로 관급 시장에서의 수배전반 매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지속적인 수주 증가도 매출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에 힘입어 지투파워 매출은 2018년 115억원에서 2019년 191억원(+66% 이하 전년비), 2020년 291억원(+53%)으로 가파르게 성장했다. 이러한 성장 추세는 지난해도 이어졌으며 2021년 3분기 매출액은 2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총이익률은 35% 수준으로 동업종 평균(20%) 대비 우위에 있다. 최근 3년간 주요 제품인 수배전반의 매출 증가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와 공정 효율성 개선으로 매출총이익률이 지속 상승했다. 또한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2021년 모듈 및 구조물 단가 개선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원가율이 하락해 매출총이익률 상승에 힘을 보탰다.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 2019년 매출 증가에도 영업적자를 기록한 반면 2020년에는 매출 증가 및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흑자전환했고 지난해도 개선세가 지속됐다. 관급 매출 확대 과정에서 외부 에이전트에게 지급하는 판매위탁수수료가 증가했고 신제품 출시를 위한 경상연구개발비 증가 및 매출채권 미회수 가능성으로 인한 대손상각비 발생 등으로 판관비가 늘어난 영향이다.

(자료 : 지투파워 IR Book)

5. 우수연구인력 기반 핵심 원천 기술력 보유

지투파워의 김영일 대표이사(회장)는 대림대학교 전기과 교수이자 산학협력처장으로 관련 업종에서 20년 이상의 연구 개발과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했으며, 많은 중소기업들의 기술자문과 산학 협력을 통해 기술 노하우 이전 및 신기술 인증, 특허 등록 지원 업무를 수행했다. 산학협력 활동을 지속하면서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부분 방전 진단기술을 바탕으로 지투파워를 설립했다.

장철수 대표이사(사장)는 과거 케이디파워의 영업 부사장으로 재직하면서 업계의 수주, 판매, 영업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지투파워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후 관급 시장에서 제품 판매를 위해 영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민수시장, 한국전력, 해외시장 등 다양한 시장을 확보하여 지투파워의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투파워의 수배전반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산업은 신제품, 조달우수제품, 혁신제품 등 제도적 인증에 대한 유효기간 연장 및 차세대 인증 추가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중요하다. 지투파워의 기술연구소는 대부분 석,박사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책과제를 총괄하는 김현주 연구소장을 중심으로 분야별 전문성이 높은 인력이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김현주 연구소장은 한양대학교 전자통신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라온즈, 미디어젠, 링크메스드 등을 거쳐 지난 2021년 9월 지투파워에 합류했다. 친환경 전력기기 사업을 총괄하는 박병락 수석연구원(부사장)은 한국전기연구원에서 35년 동안 근무하다가 LS산전, 시앤에스를 거친 후 2021년 5월에 지투파워에 입사했다.


<원문 리포트 출처>
IR GO "주주와 기업이 소통하는 투자정보 서비스"
☞ 바로가기 https://m.irgo.co.kr/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