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펀드(아내) 2017-12-31 - (나의 포트폴리오) 게재용 3-3

18.01/05
숙향

5. 2017년을 보내며..
2016년의 투자 실적은 공개하고 있는 펀드(아내) 1.3% 펀드(친구) 2.0% 수익률로 나눠 운용하는 펀드 8개 중에서 꼴찌와 그 다음으로 부진해 면목없어했으나 총 운용자산 평가수익률은 5.7% 3.3% 상승한 Kospi지수에 비해 2.4% 잘 했었습니다. 2017년 평가수익률은 9.6%로 2016년보다 많은 수익을 얻었으나 전혀 예상치 않게^^ Kospi지수에 비해 무려 12.2% 마이너스 수익률을 얻었습니다. (아래 표는 나눠 운용하는 펀드의 분기별 수익률입니다.)

<운용 펀드별 수익률>
시장 지수
2016-12
2017-03
2017-06
2017-09
2017-12
2017년 12월
Kospi 지수
2,026.46
2,160.23
2,391.79
2,394.47
2,467.49
 
- 전년 대비
 
6.6%
18.0%
18.2%
21.8%
 
Kosdaq 지수
631.44
619.28
669.04
652.82
798.42
 
- 전년 대비
 
-1.9%
6.0%
3.4%
26.4%
 
운용 펀드
2016-12
2017-03
2017-06
2017-09
2017-12
배당수익률
Fund(1)
 
0.5%
8.6%
7.9%
9.2%
2.3%
Fund(B)
 
0.3%
8.6%
8.3%
10.0%
2.1%
Fund(법인)
 
-0.2%
8.3%
7.4%
10.1%
1.9%
Fund(아내)
 
0.1%
10.1%
9.7%
10.0%
2.3%
Fund(아이1)
 
0.1%
11.0%
11.2%
10.9%
2.6%
Fund(아이2)
 
0.0%
9.7%
8.8%
8.3%
3.2%
총액 기준
 
0.3%
9.0%
8.5%
9.6%
Fund(친구) 제외
Fund(친구)
 
0.3%
10.3%
9.5%
9.1%
2.4%
Fund(BB)
 
-0.3%
8.4%
5.8%
9.3%
2.9%

작년 반성문에서 매매의 빈도가 투자수익률과 관계 있는지에 대한 경험에서 얻은 결과를 언급했었는데, 이와 함께 이번에는 (터무니없게도)보유하고 있는 종목의 오를 시기를 알 수 있을지에 대한 제 생각을 다듬어 보았습니다.

투자금을 목적/용도에 따라 나눠 운용하면서 유독 매매가 잦은 계좌가 있고 거의 매매를 하지 않는 계좌가 있지만 한 해를 보내고서 결산을 해보면 매매의 빈번 정도는 수익률과 관계가 없었습니다. 잦은 매매가 많은 수수료 부담으로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일반적인 얘기는 저에게는 해당되지 않았고 그냥 별 차이가 없더라는 정도가 제 경험입니다.

또 하나는 주가가 금방 오를 종목을 알 수 있을지에 대한 건데요. 차트를 잘 본다는 소위 전문가들은 가능하다고 하지만, 제 경우 매수할 때는 차트를 참고하지만 매도에 있어서는 전혀 깜깜이라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확실한 것은 절대 오를 것 같지 않은 종목, 완벽하게 확신이 가는 종목을 기다림에 지쳐 팔아버리는 순간, 날아가더라는 겁니다.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올라가더라는 흔히 하는 얘기가 실제 그렇더라는 건데요.

제 포트폴리오는 나름 계산한 내재가치, 기업의 신뢰감 등에 비춰 이만한 기업이 없다는 판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팔고 나면 기다렸다는 듯이 날아 오를 것 같은 두려움이 2년 이상을 거의 그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가장 정확한 이유입니다. 여기에 게으름이 더해져 팔면 바로 다음날부터 오를 것 같은 (숱한 경험에서 몸에 배인)불안감이 붙들고 있는 이 현상은 마치 저의 인내력이 대단한 것처럼 잘못 비춰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매수하고서 2년 혹은 3년이 지나면 주가와 관계없이 매도하라고 했다는 벤저민 그레이엄을 비롯한 많은 대가들의 말씀을 떠올리곤 합니다. 그러면서도 은행금리 이상의 배당수익률을 얻을 수 있으면서, 나중에 원금을 더 불려 돌려줄 것이 확실한 주식이라면 정기예금에 들었다 치고서 보유기간에 관계없이 버티려고 합니다. 그레이엄을 추종하지만 실행에 있어서는 스승과 다른 길을 가려는 저의 고집입니다.

저에게는 올 한 해가 유난히 어려웠던지 반성문을 시작하면서 오래 전 처음 투자하던 시절을 회상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마무리를 하면서 부언하려고 합니다. 1985년 직장 상사의 지시로 코리아펀드에 대해 조사해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주식투자라는 신세계를 보았고 저에게는 행운의 시작이었습니다. 1988년 또 다른 직장 상사 한 분의 조언을 귀담아 듣고서 그 동안 주식투자로 불렸던 돈을 모두 동원하고도 그 만큼의 빚을 내어 부족한 자금을 만들어서 아파트를 샀습니다. 제 명의로 구입한 17평 아파트는 아내로 하여금 볼품없던 제게 시집올 결심을 하게 만들었는데, 저에게는 또 다른 행운입니다. 재무제표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있었기에 시작부터 가치에 비해 싸게 거래되는 기업에만 투자하면서 자연스레 가치투자를 하게 되었던 저에게 주식투자는 단순히 고마운 존재가 아닌 삶을 바꿔준 행운의 주신(株神)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주가 움직임이 제 맘 같지 않아서 원망도 많이 하곤 하지만 주신(株神)은 그런 저를 너그럽게 봐 주시리라 믿습니다^^

연말 배당락을 앞둔 12월 26일, Kospi시장에서 매매주체 중 개인이 0.9조를 매도하였고 12월에만 4조 가까이 순매도 하였습니다. 제 판단으로는, 이례적인 현상인데, 이는 한 종목당 15억 이상 보유자를 양도세 대상으로 개정된 세법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종목당 대주주 대상 범위 금액이 낮아지면서 이런 현상은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투자자가 주식투자에서 얻을 수 있는 수익을 배당수입과 자본차익이라고 할 때, 자본차익을 얻기 위한 가장 큰 촉매는 기업의 내재가치에 비해 시장 가격이 싼 것이 가장 크지만 저는 현실적으로 강력한 매수세력, 특히 중소형주에서는 개인 큰손의 영향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소형가치주에 투자하는 외국인 혹은 국내 기관 자금의 투자가 왕성해지거나 혹은 M&A 활성화, 상장폐지를 위한 고가의 공개매수를 기대할 수 있겠으나 나름 중소형가치주에 집중하는 저로선 고민거리가 하나 더 늘었습니다. 차차 궁리해야 할 일이겠지요.

2017년보다는 더 나은 2018년이 될 수 있도록 그래서 1년후 2018년의 반성문을 쓰면서 1년 동안 많이 발전했구나 하며 스스로를 칭찬할 수 있도록 올 한 해, 열정을 화두로 삼아 정진하려고 합니다.


사족1: 옛 얘기를 하다 보니, 한때 뜨거웠던 존리가 생각납니다. 존리의 스승인 브렛이 천신만고 끝에 (대략 7년간의 노력으로) 외국 자본이 한국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코리아펀드를 만들어 운용을 시작한 것이 1984년입니다. 국내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하다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 존리는 회계사가 됩니다. 회계사로써 격무에 시달리던 중 이직을 원했던 존리는 같은 건물에 있던 스커더를 방문해서 면접을 봅니다. 브렛의 면접에 합격한 존리가 스커더에 입사한 것이 1991년입니다. 코리아펀드가 만들어지고서 7년이 지난 후의 일입니다.

사족2. 대략 2015년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2년 6개월 동안 우리 주식시장은 제 바람과는 다르게 움직여 왔습니다. 그래서 고민할 시간은 충분했습니다. 갈수록 더해지는 게으름 탓에 기업에 대한 공부는 하지 않고 책만 많이 읽었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위로가 되는 앙드레 코스톨라니 등의 투자관련 책도 있었고 과거 역사로부터 마음과 달리 진행되는 현실을 버텨 이겨내는 많은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대망], [열국지], [삼국지] 등의 역사소설과 [레미제라블]과 같은 고전도 읽었습니다. 2015년, 135권, 2016년, 115권 그리고 2017년은 142권으로 지금까지 독서량의 기록을 경신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은퇴 후에 맘껏 즐기고 싶었던 해외여행도 충분히 하였습니다. 2015년 2회, 2016년 3회 그리고 2017년은 막내와 대화를 위한 3일짜리 큐슈 여행을 포함해서 총 5회로, 자유로운 여행을 위해 굳이 은퇴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연차휴가를 적절히 이용하였습니다.

사족3: [숙향의 투자일기]에 표지로 장식된 연 평균 수익률 25%가 작년에 이미 깨졌음을 밝혀야 할 의무감이 듭니다. 책이 나올 때만 해도 2015년까지 10년간 평균수익률이 26.8%였으므로 연말까지 25% 수익률은 가능할 것으로 보았으나 연말에 워낙 부진했습니다. 올해 수익률도 신통치 않아 이제 평균 수익률은 23%대로 떨어졌습니다.

시장 지수와 투자 수익률 비교
연도
Kospi
Kosdaq
총투자 수익률
Kospi 대비
2005
1,379.37
지수등락
등락율
701.79
지수등락
등락율
2006
1,434.46
55.09
4.0%
606.15
-95.64
-13.6%
24.6%
20.6%
2007
1,897.13
462.67
32.3%
704.23
98.08
16.2%
85.3%
53.0%
2008
1,124.47
-772.66
-40.7%
332.05
-372.18
-52.8%
-41.1%
-0.4%
2009
1,682.77
558.30
49.7%
513.57
181.52
54.7%
70.8%
21.1%
2010
2,051.00
368.23
21.9%
510.69
-2.88
-0.6%
26.7%
4.8%
2011
1,825.74
-225.26
-11.0%
500.18
-10.51
-2.1%
-0.3%
10.7%
2012
1,997.05
171.31
9.4%
496.32
-3.86
-0.8%
17.5%
8.1%
2013
2,011.34
14.29
0.7%
499.97
3.65
0.7%
25.6%
24.9%
2014
1,915.59
-95.75
-4.8%
542.97
43.00
8.6%
32.6%
37.4%
2015
1,961.31
45.72
2.4%
682.35
139.38
25.7%
25.9%
23.5%
2016
2,026.46
65.15
3.3%
631.44
-50.91
-7.5%
5.7%
2.4%
2017
2,467.49
441.03
21.8%
798.42
166.98
26.4%
9.6%
-12.2%
 
 
 
 
 
 
 
 
 

2017-2005
1,088.12
88.9%
 
96.63
55.0%
282.9%
194.0%
12년 평균(2006~2017) 수익률:
7.4%
 
 
4.6%
23.6%
16.2%
11년 평균(2006~2016) 수익률:
6.1%
 
 
2.6%
24.8%
18.7%
10년 평균(2006~2015) 수익률:
6.4%
 
 
3.6%
26.8%
20.4%

사족4: 보유종목에 대한 저의 투자 관점이랄까 간단한 생각은 2016년 연말 반성문과 지난 11월 반성문에 붙인 글에서 크게 변한 게 없으므로 공유파일에서는 생략합니다.

끝~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