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알려株] 펄어비스, '검은사막'으로 유명한 게임사

17.09/14
김보미 연구원
편집자주 '알려주'는 상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투자자들에게 생소한 기업을 골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만드는 제품 및 제공하는 서비스, 주요 매출처, 이익 창출과정 등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룹니다.
검은사막으로 유명한 게임 개발업체 펄어비스41,450원, ▼-50원, -0.12%가 9월 14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 결과, 0.43 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해 미달이 났다. 일반 투자자들에게 배정된 물량 중 미매각된 물량은 기관 투자자들이 모두 공모가에 사들였다. 확정 공모가는 희망가 밴드(8만원~10만3000원)의 최상단인 10만3000원으로 결정됐다.

상장 첫날인 14일 시초가는 공모가보다 10% 낮은 9만2700원이다. 이날 오전 10시 49분 현재 9만4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 검은사막으로 성장한 게임 개발업체

2010년 설립된 펄어비스는 온라인 게임 및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다. 설립 후 4년간 개발한 끝에, 대표작인 MMORPG(다중접속 역할수행게임) 검은사막을 출시했다. 검은사막이 속한 MMORPG 장르는 진입장벽이 높지만, 상위권에 안착하게 되면 매니아층 유저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랭킹의 변동이 적어 꾸준한 매출과 장기간 서비스가 가능한 특성이 있다.

연간 실적은 성장세가 뚜렷하다. 2014년엔 영업이익, 순이익 적자였으나 그 다음해부터 매출액인 영업수익이 큰 폭으로 늘면서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영업수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616억원, 4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399억원), 272%(326억원) 증가했다. 지배지분 순이익은 297%(303억원) 늘어난 405억원을 기록했다. 6월 결산 법인인 펄어비스의 8기 3분기(2017년 1월~2017년 3월) 영업수익은 318억원이다. 이는 작년 연간 영업수익의 52%로, 작년 2개 분기 매출을 올해 1개 분기만에 거둔 셈이다.



펄어비스의 매출의 100%는 검은사막에서 발생한다. 검은사막은 2014년 12월 다음게임(현 카카오게임즈)을 통해 국내에 출시된 후 일본, 러시아, 북미/유럽, 대만, 남미에서 잇따라 출시됐다. 7개 권역의 100여개 국가에 진출한 상태다. 매출 비중은 국내보다 해외가 더 크다. 8기 3분기(2016년 7월~2017년 3월) 누적 기준 국내 매출 비중은 25.7%며, 나머지 74.3%는 해외 매출이다.

해외 매출 중 작년 3월 출시한 북미/유럽 매출 비중은 31.3%다. 북미/유럽에서 올해 5월 24일부터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STEAM)을 통한 패키지 판매를 시작했다. 스팀은 전세계 온라인 게임 1위 유통채널이며 1억명 이상의 유저 수를 보유하고 있다. 2017년 7월 말 기준 패키지 판매량은 53만장, 판매금액은 1300만달러를 돌파했다. 검은사막은 스팀 최고 매출 순위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대만에서도 인기 몰이 중이다. 대만에서는 올해 1월 출시했음에도 매출 비중 28.3%에 달했다.


▷ 해외 시장 확대..모바일, 콘솔 시장도 진출 예정

검은사막 PC버전은 하반기 해외 시장 확장을 이어나간다. 2017년 4분기 동남아, 중동, 터키, 중국으로의 진출이 예정돼있다. 검은사막의 중국 퍼블리셔는 스네일게임즈로 선정됐고, 나머지 지역은 자체 퍼블리싱한다. 중국의 판호버전은 개발이 완료된 상태며 사전 예약자는 20만명에 달한다.

PC버전의 흥행과 함께, 모바일과 비디오게임(콘솔) 시장 진출도 앞두고 있다. 펄어비스는 8월 16일 검은사막 모바일 티저 사이트(https://www.blackdesertm.com/)를 오픈해 실제 플레이 영상을 공개했다. 모바일 버전인 검은사막 M(가칭)은 올해 4분기 한국에서 출시될 예정이며, 내년 중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8년에는 콘솔 시장 진출로 Xbox One X 버전이 출시될 전망이다.



▷ 원게임 컴퍼니(One Game Company)..신작 출시는?

펄어비스는 검은사막 1개의 게임에서 매출이 발생하는 수익 구조다. 온라인 게임 중에서도 MMORPG의 경우 타 장르 게임보다 수명 주기가 긴 편이나, 검은사막의 성장 정체가 발생한다면 실적이 감소할 수 있다.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회사측은 신작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2018년 이후에 첫 선을 보일 거라 예상했다.

▷ 조달 자금은 운영자금, 해외투자로

확정 공모가액 10만3000원을 기준으로 산정된 유입 자금은 약 1797억원이다. 펄어비스는 공모자금 중 464억원을 콘텐츠 개발과 운영비용으로 사용한다. 890억원은 M&A 와 신규 IP확보에 활용할 계획이다. 나머지 443억원으로는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에 배정했다.

펄어비스의 2016년 연간 순이익 405억원과 상장을 통해 유입된 자금 1797억원, 확정공모가액 기준 시가총액 1조2428억원을 반영한 주가수익배수(PER)는 30.6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5.24배, ROE는 17.1%다. 확정공모가액 기준 시가총액은 NH투자증권 안재민 연구원이 8월 29일 리포트에서 추정한 올해 연간 순이익 970억원의 12.8배다.

[펄어비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update17.08/29

온라인 게임 '검은사막' 개발, 공급업체
사업환경

update17.08/29

▷ 2016년 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1362억달러로 전년 대비 4% 증가함
▷ 2015년까지 급속하게 성장하던 모바일 게임의 성장률은 주춤하나, 온라인 게임은 꾸준한 성장세 유지 중
경기변동

update17.08/29

▷ 경기 변동보다는 대규모 업데이트 주기에 따른 매출 변동이 있음
주요제품

update17.08/29

▷ 온라인 게임(MMORPG): 검은 사막
원재료

update17.08/29

▷ 게임 개발사업 특성상 원재료 없음
실적변수

update17.08/29

▷ 국내 및 해외에서 개발 게임 흥행 시 수혜
▷ 지속적인 신작 출시 필요
리스크

update17.08/29

▷ 게임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 강화 시 실적 악화 가능성
신규사업

update17.08/29

▷ 신규 IP 확보 및 신작개발
▷ 유통경로 다변화(Steam 등), 플랫폼 다변화(모바일, 콘솔) 등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펄어비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2016.07.01)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주1)지분율
김대일최대주주보통주      441,524 47.31     4,710,422 45.88주1)
윤재민등기임원보통주
48,0005.14448,0004.36주2)
서용수등기임원
보통주
60,0006.43562,4395.48주3)
지희환등기임원
보통주
36,0003.86326,0003.18주4)
고도성등기임원
보통주
20,0002.14220,0002.14주5)
류휘만실장보통주
4,0000.4344,0000.43주6)
(주)펄어비스자기주식보통주
--848,7608.27주7)
보통주609,52465.317,159,62169.74

[2017년 8월 28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