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쎄트렉아이 10배 상승이 왜 가능한가?

15.04/01
SM트레이더

2020년까지 주식시장 상승률 1위를 기록할 초대박기업

대한민국 넘버1 독점 인공위성 기업


  쎄트렉아이( 099320 )


       현재 주가   21,500원   시가총액 787억원
 
     목표 주가  200,000원   시가총액 1조원




 * 2015년부터 1천억 이상 수주하여

                             2022년까지 2조원 수주전망!!
 
 * 2016년부터 예상당기순이익 300억이상~ 

                            2022년까지 순이익 2000억원 가능!!


 * 국내 유일 인공위성 완제품 생산

                       -  본체, 탑재체, 지상체 모두 제작하는 기술력!!



1.  4개부처 2조원 계획한 2015년 대한민국 위성 시대 개막!!

 

    · 국방부 정찰위성- 2015년 10월 1조원대 민간 업체와 계약( 쎄트렉아이 유력 )

    · 공군 및 산림청 조기 경보 위성 - 2021년까지 총 5000~7000억원 투입

     · 미래창조과학부 우주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

                                    - 2015년 우주개발 분야 R&D에 총 3740억원 투자

     · 박근혜 3년차 대선 공약 실행
            
               - 대북 감시 능력 확보를 위한 군사전용 위성 및 무인정찰기 단계적으로 도입


 
            국방부 ( 1조원 군사 정찰 위성 총 5기 2015년 10월까지 완료 )

                 -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구축 중인 '킬 체인'과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의 핵심 탐지자산

                 - 2020년에 1기, 2021년에 2기, 2022년에 2기 등 총 5기가 실전에 배치

                 - 해상도는 0.3∼0.5m 수준

                 - 4기 : 구름 낀 날씨에도 관측이 가능한 고성능 영상레이더(SAR)를 탑재

                 - 1기 : 전자광학(EO) 및 적외선장비(IR) 감시장비가 장착

                 -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 2015년 시작

                 - 민간 업체와의 계약 10월 예정( 쎄트렉아이 유력 )

                 - 개발 및 양산에 투입되는 예산 : 1조원 (발사체 제외)


             공군·산림청(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비·산불감시 )


                 - 공군 주도 조기 경보 위성 전력화

                 - 현재 미군에게 의지

                 - 공군 단독이 아닌 산림청과 함께 2021년까지 전력화

                 - 소요 예산 5000억~ 7000억원


              미래창조 과학부


                 - 2020년까지 다양한 목적의 위성(다목적 위성)을 2기 개발

                 - 한국형발사체 2555억원, 인공위성 926억원, 우주핵심기술개발 239억원, 
             
                   과학로켓센터 건립 10억원



 2. 세계 최고의 인공위성 기술과 제조 수출의 경력으로

                                    4개부처 인공위성 사업 독점 예상!!

 

                  - 1999년 회사설립 후 총 4대의 소형 관측 인공위성 수출

                  - 2001년 11월 말레이시아 해상도 2.5m 이하 RazakSAT호 수주

                                           (2009년 7월 발사 성공)

                  - 2006년 4월 아랍에미리트 해상도 2.5m 이하 DubaiSat-1호

                                            (2009년 7월 발사 성공)

                  - 2008년 2월에는 아랍에미리트 해상도 1m급 DubaiSat-2호를 수주

                                            ( 2013년 11월 발사 성공 )

                  - 2010년 스페인 고해상도 1m급 데이모스 2호(Deimos-2) 위성 수주

                                            ( 2014년 6월 발사 성공 )

                  - 2014년 말레이시아 라자크샛(RazakSAT)’ 후속 모델 해상도 1M급 위성

                              수주 진행중 ( 정권교체로 딜레이중, 300~400억원 규모 예측 )
                    


 3. 군사 정찰위성 수주를 위한 삼성정밀화학으로부터

                                    연구소 부지(5000평)를 매입 공사중


                  - 인공위성 생산설비를 기존 2~3대 대비 증가한 4~5대로 확장 공사를 진행 중

                  - 2014년 기존건물 리모델링 완공 2015년 하반기 완정예정


 
 4. 최근 발사 성공한 아리랑3a호 역시

                             쎄트렉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음!!


                 - 대법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쎄트렉아이에게 불공정 거래 했다 판결
 
                 - 과징금 2억3000만원을 2011년 8월 부과 후 재소송 진행중

                 - 쎄트렉아이 기술력 입증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검증!


 5. 2015년 현재 소형 위성 세계 1위 기술력 확보


                 - 세계 소형 관측위성 메이커 : 영국의 SSTL, 프랑스 에어버스D&S, 쎄트렉아이

                 - 2.5m급 고화질 위성 SSTL보다 2년 먼저인 지난 2009년에 발사하는 데 성공

                 - 세계 최초 2013년 1m터급 고해상도 위성발사 성공

                 - 2015년 0.5m급 초고해상도 위성개발 완료 예정

                 - 세계 최초 0.3m급 초고해상도 위성 개발 진행중
                


 6. 전세계 지구관측위성 시장 연간 2조원


                 - 2001~2012년간 지구관측위성 121기 발사

                 - 2012~2021년간 발사될 위성 수 239기 예정


 7. 우량한 재무구조 최고등급의 경영


                 - 자산 550억  부채 105억  순자본(청산가치) 446억

                 -  매출과 순이익이 2013년 2014년 2년연속 줄었으나,

                     But 2년동안 215억의 투자를 하고도 부채가 줄어듬

                 -  2015년 4월 직원이 행복한 회사 선정


 8. 신성장 동력 연간 2조원 규모위성 영상 사업 급성장중


                 - 2014년 4월 물적 분할 통한 자회사 신설

                 - 전세계 위성영상 시장 2022년까지 연평균 9% 성장한 4조원 규모

                 - 2014년 매출 8억원 2015년 40억원 예상

                 - 2015년 구글과 페이스북에 위성영상 판매 준비중

                        ( 대전MBC )



                                     [ 결론 ]


   첫째, 국방부를 시작으로한 4개 부처 수주 획득 시작으로 인하여

            -   2016년 매출액 1000~1500억 달성시

                예상 당기순이익 300억~400억 가능하므로

                목표가 10만시총 3500억


   둘째, 2020년까지 4개 부처 2조원 수주 완료 및 추가 발주,

                                                       세계 위성 수출 증대로 인하여

            -   2025년까지 매출액 2000~3000억 달성시

                예상 당기순이익 700억~1000억 가능하므로

                  목표가 30만원   시총 1조원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