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D램 평균가] 2.21달러...0.14%↓

14.12/18
투자정보팀
반도체 시장 조사기관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17일(대만 현지 시각 오후 6시10분) 반도체 D램(DDR3 2Gb 256Mx8 1333MHz 기준) 현물 평균 가격은 전일 대비 0.14% 내린 2.21달러다. DDR3 4Gb 512Mx8 1600MHz의 가격은 전일 대비 0.08% 내린 3.692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일 이후 11일 연속 하락세다. 이 기간 가격 하락률은 1.47%이다.

플래시 메모리 32Gb(4Gx8 MLC) 현물 평균가는 전일보다 0.36% 내린 1.959달러다. 지난 3일 이후 10일 연속 하락세다. 이 기간 가격 하락률은 3.97%이다. 플래시 메모리 64Gb(8Gx8 MLC) 현물 평균가는 전일보다 0.16% 내린 2.492달러다. 지난달 12일 이후 25일 연속 하락세다. 이 기간 가격 하락률은 10.78%이다.



[반도체 생산 업체]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계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1위, 하이닉스가 2위를 점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세계 반도체 기업 중 생산능력 1위기도 하다. 하이닉스는 TSMC, 마이크론, 도시바/샌디스크에 이은 생산능력 5위다.

반도체 경기 불황이 닥치면 삼성전자 처럼 높은 시장점유율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기업들만 살아 남는다. 이들은 향후 반도체 경기 호황 때 이전 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게 된다. 2012년 3월 세계 D램 3위 기업이던 일본 엘피다가 파산했고, 후지쯔, 파나소닉도 반도체 사업 합병 뒤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삼성전자는 2012년 화성 시스템 반도체 생산라인에 2조2500억원을 투자해 2015년 가동 예정이다. 신규 주력 품목으로 떠오르는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생산할 예정이다. 2012년 10월 아이폰5에서 삼성의 메모리를 제외하는 등 악재로 공사가 중단됐었지만, 2013년 4월 다시 공사를 재개해 시스템 반도체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전체 매출의 60% 이상이 AP에서 발생한다.

국내 반도체 생산 전문업체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동부하이텍이 있다.

[반도체 생산 업체] 관련종목

주가 : 12월 17일 종가 기준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삼성전자 1,266,000원 ▼13,000원 (-1%) 1,041,763 128,092 177,966 7.5 1.18 15.9%
SK하이닉스 46,700원 ▲200원 (0.4%) 117,748 33,764 25,711 10.1 2.09 20.6%
동부하이텍 4,545원 ▼5원 (-0.1%) 4,102 230 -582 N/A 1.41 -69.9%
* 기간 : 2014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