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V차트 우량주] 극동유화, 원재료가 하락..이익률↑

14.04/01
박동규
편집자주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윤활유 제조사 극동유화3,900원, ▼-70원, -1.76%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해 눈길을 끈다.

극동유화는 지난해 수익성이 개선됐다. 매출액은 3060억원으로 전년 대비 8%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81억원으로 2% 증가했다. 순이익은 129억원으로 9% 늘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역대 최대치다.



제품가 하락으로 매출이 줄었지만 원재료가가 더 많이 내리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주력 제품인 유동파라핀 가격은 드럼당 33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8% 내렸다. 주요 원재료인 윤활기유 가격은 리터당 1045원으로 13% 하락했다.

극동유화는 과거부터 제품가와 원재료가 차이에 따라 수익성이 변동했다. 2011년엔 제품가 상승폭보다 원재료가 상승폭이 커 수익성이 악화됐었다. 2011년 제품 가격이 전년 대비 13% 올랐음에도 원재료 가격이 29% 상승하자 영업이익률은 4.9%에서 4.3%로 하락했다. 하지만 이후 원재료가가 내리면서 영업이익률은 2012년 5.3%, 2013년 5.9%로 상승했다.



극동유화는 기계 가동에 쓰이는 산업용 윤활유와 의약품,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유동파라핀(White Oil)을 주력으로 만든다. 지난해 기준 매출 비중은 산업용 윤활유 47%, 유동파라핀 10%다. 이 밖에 건설용 방수시트 제조(매출 비중 11%), LPG 판매(30%) 등의 사업도 영위한다.

윤활유의 원재료인 윤활기유(Base Oil)는 {S-Oil}, SK이노베이션100,000원, ▼-2,200원, -2.15%으로부터 80% 가량 조달받는다. 지난해 정유사들이 윤활기유 부문의 생산능력을 확장하면서 윤활기유 가격이 약세를 보였다.

▷ 재무구조 + 현금흐름 '튼튼'

극동유화는 재무 안전성을 갖추고 있다. 지난해 기준 유동비율은 155%, 부채비율은 72%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100%를 넘고 부채비율이 100% 미만이면 재무 구조가 건전한 것으로 판단한다. 극동유화는 지난해 말 기준 497억원의 차입금을 보유하고 있고, 연간 이자비용은 25억원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자보상배율이 7.3배를 기록해 단기적으로 이자 상환엔 문제가 없다.

또한 극동유화는 우량 기업의 현금흐름을 보이고 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이고,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각각 마이너스(-)다. 이는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을 재무활동과 투자활동에 쓰고 있다는 의미다. 세부내역을 보면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장기기타채권과 유형자산 투자로,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단기차입금 상환과 배당금 지급 등으로 각각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극동유화는 안정적인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배당금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600원이던 주당배당금은 2011년과 2012년 700원으로 늘었고, 지난해엔 800원으로 증가했다. 시가배당률은 과거부터 매년 3%를 넘었다. 지난해 시가배당률은 3.3%를 기록했다.



▷ PER 6.6배...5년 평균 넘어

극동유화는 그간 연간 순이익 기준 주가수익배수(PER)가 2.5배에서 10.8배 사이를 움직여왔다. 지난해 순이익과 전날 종가를 반영한 PER은 6.6배로, 최근 5년 평균치인 5.9배를 넘어선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75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4%다.



[극동유화]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윤활유 생산 및 부산, 경남권 LPG 판매회사
사업환경 ▷ 국내 윤활유 산업구조가 성숙기에 진입해 큰 폭의 성장을 기대키 어려운 상황. 다만, 기계 수명 유지를 위한 필수소모품으로 기본적인 수요는 꾸준히 발생
▷ 국내 LPG 수요는 무공해 연료보급 확대 및 LPG 차량 증가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LNG의 도시가스 보급 증가와 정부의 자동차세율 인상으로 성장세가 다소 주춤한 상황임
경기변동 ▷ 윤활유 수요는 국내외 산업 가동률, 자동차 보급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
▷ 기계 수명 유지를 위한 수요가 비교적 꾸준해 매출 변동 규모는 크지 않은 편
주요제품 ▷ 윤활유(46%) : 기계유 등
▷ LPG(32%) : 난방취사용, 자동차용
▷ 유동파라핀(10%) : PS 가소제
원재료 ▷윤활유 원재료(윤활기유, 윤활조유 등, 46%): S-Oil, SK 등에서 매입
- 윤활조유 가격추이 11년 1,275원 → 12년 1,160원 → 13년 1,010원
- 윤활기유 가격추이 11년 1,321원 → 12년 1,200원 → 13년 1,030원
▷LPG(상품,36%)
* 괄호 안 숫자는 매입비중
실적변수 ▷ 산업 가동률 증가시 윤활유 수요 증가
▷ LPG 차량 증가시 수혜
리스크 윤활유 부문의 경쟁심화
신규사업 현대오일뱅크와 4개의 LPG충전소 임차 계약을 체결해 운영 중(2011.6월~)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극동유화의 정보는 2014년 01월 27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극동유화]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3,060 3,332 3,156 2,475
영업이익 181 177 137 122
영업이익률(%) 5.9% 5.3% 4.3% 4.9%
순이익(연결지배) 129 119 92 90
순이익률(%) 4.2% 3.6% 2.9% 3.6%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6.61
이시각 PBR 0.75
이시각 ROE 11.40%
5년평균 PER 5.90
5년평균 PBR 0.68
5년평균 ROE 11.70%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극동유화]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장홍선최대
주주
보통주964,35827.66964,35827.66-
장인우특수
관계인
보통주33,0410.9533,0410.95-
장인주특수
관계인
보통주204,0835.85214,0836.13-
장선우특수
관계인
보통주286,0738.20296,0738.49-
우암
홀딩스(주)
계열회사보통주9,7000.289,7000.28-
보통주1,467,55542.091,517,25543.51-
우선주0000-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