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에스티오, 실적과 딴판인 주가...왜?

14.03/25
김구민
지난해 부진한 실적을 거둔 에스티오1,970원, ▼-60원, -2.96% 주가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어 관심을 끈다.

25일 오후 12시 17분 현재 에스티오는 전일보다 1.6% 상승한 36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적자로 전환한 작년 실적을 발표한 지난 2월 27일 이후 주가는 오히려 19% 올랐다. 

에스티오는 지난해 연간으로 86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10% 감소한 수치다. 이익도 부진했다. 영업이익은 -35억원, 순이익은 -52억원으로 각각 적자 전환했다. 이는 회사가 유통망 개선을 추진함에 따른 것이다. 남성복(셔츠, 넥타이, 정장) 브랜드 샵을 운영하는 에스티오는 역세권 중심의 소형 매장과 할인점 위주로 제품을 판매하던 전략에서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브랜드를 대형 매장에서 판매하는 SPA브랜드로의 전환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소형 매장을 폐점했고, 대신 대형 매장을 신규로 오픈했다. 자사가 보유한 브랜드를 직접 제조하고 유통까지 하는 전문 소매점인 SPA브랜드들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슷한 전략을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반적인 매장 수 감소로 임차료 등 유지비도 절약할 수 있게 됐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 보고서를 보면 에스티오의 총 매장수는 지난 2011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331곳에서 2012년엔 304곳으로 줄었고, 작년 3월말에는 253곳으로 감소했다. 특히 직영점과 할인점의 감소세가 눈길을 끈다. 두 곳 모두 회사가 직접 운영하는 형태다. 직영점은 2012년 79곳에서 작년 3분기 말 42곳으로 47%, 할인점은 89곳에서 59곳으로 34% 각각 줄었다.



반면 대리점주와 계약을 체결해 판매를 위탁하는 방식의 대리점 수는 큰 변화가 없었고, 유통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온라인 부문은 19개에서 34개로 매장수를 79% 늘렸다. 그 결과 지급임차료는 지난 2012년 67억원에서 지난해 57억원으로 감소했다.

에스티오는 지난 2003년 설립된 의류업체로 200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국내 최초의 셔츠&타이 전문점인 'STCO' 브랜드로 출발해 니트, 가디건, 자켓 등의 품목을 추가했고, 정장브랜드 비노, 남성복 폴앤루이스 등을 추가했다. 지난 2007년 중국에도 진출해 판매법인 (상해)복장무역유한회사(지분율 100%)를 설립했고 해외에서 15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적자를 기록한 점 등이 반영돼 회사의 재무안전성과 수익성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아이투자가 개발한 저평가 우량주 발굴 솔루션인 주식MRI로 보면 수익성장성에서는 5점 만점에 0점을, 재무안전성에서는 5점 만점에 2점을 각각 얻었다.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7점이다. 전체 상장기업 중 상위 61%에 해당한다.


[의류업계]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의류업은 크게 패션산업과 섬유산업으로 구분된다. 패션산업은 고급 브랜드 보유 여부가, 섬유산업은 원재료인 면화가격 추이가 중요한 실적 변수다. 상대적으로 옷값이 비싼 겨울에 실적이 개선되는 특성이 있다.

[주요 기업]
제일모직(패션사업부), LG패션, 신원, 한섬, 인디에프(옛 나산), 베이직하우스, 코오롱인더(패션사업부), F&F, 한세실업, 이랜드월드(비상장), 신성통상, 휠라코리아, 에스티오

* 2011년 노스페이스 인기 등 아웃도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영원무역이 최대 수혜주로 꼽혀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다.
아웃도어 의류: 영원무역홀딩스, 영원무역

[의류업계] 관련종목

주가 : 3월 25일 오후 12시 19분 현재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제일모직 67,100원 ▲2,000원 (3.1%) 42,776 1,716 2,566 13.3 1.12 8.4%
LG패션 26,500원 0원 (0%) 9,958 592 338 11.9 0.87 7.3%
신원 1,525원 ▲5원 (0.3%) 4,118 -26 -117 N/A 0.56 -5.7%
한섬 26,350원 ▼100원 (-0.4%) 4,626 560 439 14.8 0.89 6%
인디에프 698원 ▼2원 (-0.3%) 1,972 -33 -61 N/A 0.46 -6.8%
베이직하우스 22,900원 ▲300원 (1.3%) 1,125 20 139 15.9 2.34 14.7%
코오롱인더 50,100원 ▼400원 (-0.8%) 28,514 1,303 795 13.1 0.71 5.4%
F&F 7,680원 ▲60원 (0.8%) 2,220 72 84 14 0.66 4.7%
한세실업 22,450원 ▼100원 (-0.4%) 8,828 515 350 22.1 3.41 15.4%
신성통상 1,165원 ▲20원 (1.8%) 1,861 81 -24 N/A 0.84 -0.9%
휠라코리아 87,300원 ▼1,500원 (-1.7%) 4,152 247 967 9.4 1.81 19.3%
영원무역홀딩스 68,000원 ▼500원 (-0.7%) 243 193 778 12 1.56 13%
영원무역 37,500원 ▲700원 (1.9%) 10,962 697 1,105 14.8 1.92 13%
대현 2,475원 ▼60원 (-2.4%) 2,453 125 88 13.1 1.07 8.2%
에스티오 3,620원 ▲60원 (1.7%) 836 1 N/A N/A 0.72 -13.9%
지엔코 1,365원 ▲5원 (0.4%) 1,137 80 12 51.6 0.62 1.2%
* 기간 : 2013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에스티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남성 정장 및 캐주얼의류 패션회사
사업환경 ▷ 남성 소비자들의 패션을 통한 자기표현 욕구가 커지며 남성 캐주얼의류 시장 꾸준히 성장
경기변동 ▷ 남성복 시장은 경기 변동 영향이 적으며 여름과 겨울이 계절적 비수기임
주요제품 ▷ 셔츠(19%)
▷ 셔츠 외(81%)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면, 실크, 라벨, 단추, 지퍼 등
실적변수 ▷ 내수 경기 활성화시 수혜
▷ 브랜드 인지도 향상시 수혜
리스크 ▷ 경기 불황시 매출 감소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에스티오의 정보는 2013년 10월 1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에스티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836 914 956 883
영업이익 1 66 78 53
영업이익률(%) 0.1% 7.2% 8.2% 6%
순이익(연결지배) N/A 17 21 32
순이익률(%) N/A 1.9% 2.2% 3.6%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N/A
이시각 PBR 0.72
이시각 ROE -13.86%
5년평균 PER 21.74
5년평균 PBR 0.76
5년평균 ROE 4.84%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에스티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김흥수최대주주보통주3,726,04265.323,726,04265.32-
류득영특수관계인보통주1,1020.021,1020.02-
보통주3,727,14465.343,727,14465.34-
기타-----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