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바텍, 기관·외인 ‘쌍끌이’...배경은?

14.03/25
강현정
기관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가 동반 순매수 중인 KH바텍14,780원, ▲10원, 0.07%이 눈길을 끈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외국인은 이 회사 주식 17만763주를, 기관은 16만4971주를 순매수했다. 이들이 사들인 바텍 주식은 총 33만5734주로, 발행주식총수의 2.2% 규모다. ‘큰손’ 투자자들은 바텍의 수익성 개선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바텍의 별도 기준 매출액은 867억원으로, 2012년보다 6% 감소했다. 회사측은 매출액 감소 이유로 환율 영향을 꼽았다. 바텍은 수출판매 비중이 국내판매 비중보다 높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수출판매 비중은 62%다.

반면 영업이익은 75% 늘어난 91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11%로, 5%P 높아졌다. 매출원가가 10% 감소한 666억원을 기록한 영향이다. 판관비 또한 16% 감소한 108억원을 기록했다. 2012년 출시한 PaX-i(팍스아이)시리즈 영향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바텍에 따르면, PaX-i 시리즈는 과거 시스템 구동에 보드 3개가 쓰였던 것을 1개로 줄였다.

지난해 바텍의 연결 지배기준 순이익은 56억원으로, 2012년에 비해 5% 감소했다. PaX-i 시리즈로 플랫폼을 통합하면서, 과거 플랫폼 자산을 폐기한 영향이다. 실제 바텍의 기타비용이 73% 늘어난 21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재고자산폐기손실이 1031% 늘어난 70억원을, 무형자산손상차손이 1324% 증가한 27억원을, 유형자산처분손실이 2358% 급증한 1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다만, 여기에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레이언스의 여성용 유방검진기 자산 양도에 따른 중단산업손익 122억원이 포함되면서 감소폭이 낮아졌다.

올해에도 바텍의 수익성 개선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PaX-i 시리즈 계열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제품 개발이 완료되면서 수출이 본격화 되고 있는 부분도 긍정적이다. 바텍은 지난해 12월 5일 독일 치과 유통사인 뒤르덴탈(Durr Dental AG)과 9884유로(1398억원, 2012년 12월 6일 기준) 규모의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진단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2012년 12월 5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다. 하지만 지난해 10월에야 제품 개발이 완료돼 11월부터 본격적으로 공급하기 시작했다. 공시당시 총 계약금액의 1.7%(171만5200유로) 수준만 공급이 완료된 상태다.

여기에 지난 1월 14일에는 중국 의료영상장비 1위 유통업체인 캉다(Kangda Medical Equipment)와 272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2013년 11월 26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다. 다만, 최종 제품 검수 단계를 통과해 실제 계약 효력이 발휘되는 날짜는 올해 1월 13일까지다. 바텍이 독일과 중국에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납품이 진행하면서,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레이언스(지분율 45.74%)의 올해 실적도 긍정적으로 전망된다. 레이언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671억원으로, 2012년 대비 41% 늘었다. 순이익은 541% 급증한 184억원을 기록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레이언스는 지난해 GE헬스케어에 여성용 유방검진기 사업을 매각하고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제품을 공급할 예정으로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한 상황이다.

증권정보제공업체 와이즈에프엔(WiseFn)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증권사가 추정한 바텍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68억원이다. 이는 2013년 바텍의 연결 기준 매출액 1715억원 대비 21% 늘어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62% 증가한 248억원으로 전망했다.




[의료기기 업계]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삼성전자는 메디슨과 넥서스를 인수해 의료기기사업에 진출했다. 10년간 1.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LG, SK그룹도 의료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U-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산업은 높은 기술수준 요구, 제도적 규제, 품질 중심의 수요 등으로 진입장벽이 높다. 연구개발비 부담으로 첨단 고부가가치 제품은 대기업이 주도하고, 일반 검사와 분석기기 등은 전문 중소기업이 중심이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미국이 전세계 시장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에서 국내 시장의 비중은 1.3%로 순위는 13위다. 아직 국내 의료기기 경쟁력이 약해 수입의존도가 67%며 수출은 초음파 영상진단기, 치과용 임플란트 등 범용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중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만성질환의 치료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스텐트 등 의료용 수술기기, 제세동기, 혈당측정기, 인공관절 등 의료기기 수요도 함께 증가했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 주요 기업은 존슨앤존슨, GE, 지멘스, 필립스, 로쉐 등이 있다.

[관련기업]
삼성메디슨(비상장): 삼성그룹 의료기기 사업 중심 기업
휴비츠: 안경점 및 안과용 진단기기
바텍: 국내 치과용 디지털 X-ray 70% 점유. 세계 4위
오스템임플란트: 국내 치과용 임플란트 40% 점유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 영상 전송 저장시스템(PACS) 솔루션 개발
인포피아: 휴대용 혈당 측정기, 콜레스테롤 측정기 생산
뷰웍스: 디지털 X-ray 디텍터
바이오스페이스: 체성분 분석기 국내 1위
나노엔텍: 세포계수기, 유전자 주입, 진단기기 제조
루트로닉: 흉터, 주근깨 치료 등 의료용 레이저치료기 전문
씨유메디칼: 심장 제세동기 생산
아이센스: 휴대용 혈당계, 혈당스트립 생산
세운메디칼: 비혈관용 스텐트 및 인공유방보형물 제조
코랜텍: 인공관절(고관절, 슬관절)
인터로조: 시력교정 및 미용 콘텍트렌즈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기자재

[의료기기 업계] 관련종목

주가 : 3월 26일 종가 기준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휴비츠 13,200원 ▼100원 (-0.8%) 467 49 38 22.8 2.14 9.4%
바텍 13,500원 ▲200원 (1.5%) 868 92 57 34.8 2.38 6.8%
오스템임플란트 23,250원 ▲100원 (0.4%) 1,124 194 64 47.5 4.10 8.6%
인피니트헬스케어 8,080원 ▼70원 (-0.9%) 285 16 70 47.4 3.85 8.1%
인포피아 13,200원 ▲200원 (1.5%) 509 -60 N/A N/A 1.54 -7.3%
뷰웍스 27,200원 ▲650원 (2.5%) 458 89 69 38.3 4.47 11.7%
바이오스페이스 9,810원 ▼190원 (-1.9%) 208 48 51 24.7 2.71 11%
나노엔텍 7,600원 ▲50원 (0.7%) 191 11 N/A N/A 6.69 -19%
루트로닉 13,650원 ▼200원 (-1.4%) 511 17 N/A N/A 4.41 -0.3%
씨유메디칼 7,140원 ▲140원 (2%) 123 -3 -7 104.2 1.26 1.2%
아이센스 56,100원 ▲1,100원 (2%) 826 187 N/A 30.1 5.08 16.9%
세운메디칼 4,985원 ▼35원 (-0.7%) 481 100 N/A 30.8 3.95 12.8%
코렌텍 19,650원 ▼150원 (-0.8%) 199 15 11 107.5 3.86 3.6%
인터로조 22,250원 ▲150원 (0.7%) 401 105 90 26.2 4.29 16.4%
디오 8,240원 ▼110원 (-1.3%) 557 -24 N/A N/A 2.18 -13.4%
* 기간 : 2013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바텍]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및 CT 제조 업체
사업환경 ▷ 임플란트, 교정 등 고급진료에 대한 수요증가로 고급 진료 장비 도입 또한 증가하는 추세
▷ 치과용 엑스레이 시장은 중국 등 신흥시장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음
경기변동 ▷ 의료장비 산업은 경기변동에 둔감한 편임
주요제품 ▷ 치과용 CT (64%)
▷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30%)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센서 (36%)
▷ 금속절삭가공물 (28%)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고가 진료대상자 확보를 위한 경쟁 가속화시 수혜
▷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 2011년을 기점으로 매출이 감소하고 있음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바텍의 정보는 2013년 10월 09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바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868 924 987 1,266
영업이익 92 53 69 136
영업이익률(%) 10.6% 5.7% 7% 10.7%
순이익(연결지배) 57 60 20 93
순이익률(%) 6.6% 6.5% 2% 7.3%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34.78
이시각 PBR 2.38
이시각 ROE 6.85%
5년평균 PER 49.06
5년평균 PBR 1.88
5년평균 ROE 8.19%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바텍]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바텍이우홀딩스본인보통주6,512,29943.847,266,00848.92(주1)
노창준(주)바텍이우홀딩스
최대주주
보통주937,2826.31937,2826.31-
정성희노창준
배우자
보통주92,8000.6292,8000.62-
오세홍등기임원보통주5,0150.035,0150.03-
김성호등기임원보통주55,5710.3755,5710.37-
최명규(주)바텍이우홀딩스
 등기임원
보통주5,0150.035,0150.03-
고성용관계사 등기임원보통주5,0150.0300-
(주)레이언스관계사보통주57,6410.3900-
(주)바텍이엔지관계사보통주24,7120.1724,7120.17-
보통주7,695,35051.818,386,403 56.46-
기타-----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