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2Q 실적] 코오롱생명, 영업익 29%↓...왜?
원료의약품 제조사 코오롱생명과학52,300원, ▲5,750원, 12.35%이 부진한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주가도 약세다. 23일 오전 10시 25분 현재 전일 대비 2.2% 하락한 7만4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 코오롱생명과학은 2분기 잠정 매출액 349억원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감소한 규모다. 매출 감소는 이익 축소로 이어졌다. 영업이익은 51억원으로 29% 줄었고, 순이익은 46억원으로 31% 감소했다. 일본 수출 비중이 높은 원료의약품 사업의 원/엔환율 하락 효과가 반영됐다. 또한, 의약중간체의 일시적 매출 감소와 연구개발비용의 증가 영향도 있다.
원료의약품은 코오롱생명과학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요 사업부로 대부분을 일본에 수출한다. 엔화는 지난해 100엔당 1400~1500원선에 거래됐으나 일본의 엔저 정책에 힘입어 지난 5월 1000원 후반대까지 하락했다. 최근에는 1100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보다 30% 하락한 수준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증권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증권사가 예상한 코오롱생명과학의 2분기 매출액은 평균치는 3870억원, 영업이익은 61억원이다. 회사 발표치는 이보다 각각 10%와 16% 낮다.

2분기 실적을 반영한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주가수익배수(PER)는 18.6배로 종전 16.9배보다 높아진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3.48배로 소폭 낮아지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8.7%로 종전 21.5%에서 2.8%p 낮아진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의약, 환경 소재, 워터솔루션사업을 하는 회사다. 의약사업은 신약 및 제네릭 완제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약품을 만든다. 환경 소재사업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제 등을 생산하며, 워터솔루션부문은 수처리제를 만든다. 매출액 비중은 의약 55%, 환경소재 26%, 워터솔루션 19%다.
[2013년 0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전일 코오롱생명과학은 2분기 잠정 매출액 349억원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감소한 규모다. 매출 감소는 이익 축소로 이어졌다. 영업이익은 51억원으로 29% 줄었고, 순이익은 46억원으로 31% 감소했다. 일본 수출 비중이 높은 원료의약품 사업의 원/엔환율 하락 효과가 반영됐다. 또한, 의약중간체의 일시적 매출 감소와 연구개발비용의 증가 영향도 있다.
원료의약품은 코오롱생명과학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요 사업부로 대부분을 일본에 수출한다. 엔화는 지난해 100엔당 1400~1500원선에 거래됐으나 일본의 엔저 정책에 힘입어 지난 5월 1000원 후반대까지 하락했다. 최근에는 1100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보다 30% 하락한 수준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증권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증권사가 예상한 코오롱생명과학의 2분기 매출액은 평균치는 3870억원, 영업이익은 61억원이다. 회사 발표치는 이보다 각각 10%와 16% 낮다.

2분기 실적을 반영한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주가수익배수(PER)는 18.6배로 종전 16.9배보다 높아진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3.48배로 소폭 낮아지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8.7%로 종전 21.5%에서 2.8%p 낮아진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의약, 환경 소재, 워터솔루션사업을 하는 회사다. 의약사업은 신약 및 제네릭 완제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약품을 만든다. 환경 소재사업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제 등을 생산하며, 워터솔루션부문은 수처리제를 만든다. 매출액 비중은 의약 55%, 환경소재 26%, 워터솔루션 19%다.
[원료의약품 제조회사]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원료의약품은 약 완성품의 원료인 순수 물질로 제약업의 기초산업이다. 원료의약품 제조회사들은 의약품 원료를 만들어 각 제약사에 납품한다. 신약특허가 풀려 복제약 생산이 가능해지면 제약사들의 원료의약품 수요가 늘어난다.
원료의약품 중 항생제에는 원료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균주에 따라 페니실린계, 세파계, 카바페넴계 등이 있다. 페니실린은 최초의 항생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균들이 내성이 생긴 경우가 많아 세파계로 대체되고 있다. 카바페넴계는 단가는 높지만 세파계에 내성이 생긴 균주를 처리할 수 있고 약효가 더 광범위하다.
- 원료의약품 회사 -
종근당바이오 : 항생제 원료 (20%)
화일약품 : 진해거담제 등의 원료 (72%)
하이텍팜 : 카바페넴, 세파계항생제 (99%)
에스텍파마 : 천식치료제 등 일반의약품 원료 (100%)
코오롱생명과학 : 일반 및 제네릭 의약품의 원료, 일본으로 수출 (51%)
바이오랜드: 한방의약품 원료 (11%)
*괄호안은 매출액 대비 비중
원료의약품 중 항생제에는 원료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균주에 따라 페니실린계, 세파계, 카바페넴계 등이 있다. 페니실린은 최초의 항생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균들이 내성이 생긴 경우가 많아 세파계로 대체되고 있다. 카바페넴계는 단가는 높지만 세파계에 내성이 생긴 균주를 처리할 수 있고 약효가 더 광범위하다.
- 원료의약품 회사 -
종근당바이오 : 항생제 원료 (20%)
화일약품 : 진해거담제 등의 원료 (72%)
하이텍팜 : 카바페넴, 세파계항생제 (99%)
에스텍파마 : 천식치료제 등 일반의약품 원료 (100%)
코오롱생명과학 : 일반 및 제네릭 의약품의 원료, 일본으로 수출 (51%)
바이오랜드: 한방의약품 원료 (11%)
*괄호안은 매출액 대비 비중
[원료의약품 제조회사]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화일약품 | 10,550원 | ▼50원 (-0.5%) | 248 | 21 | 17 | 26.5 | 1.82 | 6.9% |
| 하이텍팜 | 14,150원 | ▲100원 (0.7%) | 145 | 26 | 32 | 11.7 | 1.26 | 10.8% |
| 에스텍파마 | 11,850원 | 0원 (0%) | 86 | 19 | 16 | 12.2 | 1.97 | 16.1% |
| 종근당바이오 | 14,500원 | ▲50원 (0.3%) | 271 | 2 | 7 | 11.9 | 0.61 | 5.1% |
| 코오롱생명과학 | 74,000원 | ▼2,000원 (-2.6%) | 721 | 109 | 0 | 17.3 | 3.51 | 20.3% |
| 바이오랜드 | 14,500원 | ▼150원 (-1%) | 193 | 41 | 38 | 22.3 | 2.16 | 9.7% |
| KPX생명과학 | 4,210원 | ▲15원 (0.4%) | 94 | 0 | 2 | 31.4 | 1.17 | 3.7%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코오롱생명과학]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원료의약, 수처리제, 항균제, 바이오신약 등을 연구·개발 |
|---|---|
| 사업환경 | ▷의약품, 환경소재 등 기존 사업의 견조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신성장동력인 바이오신약을 집중 육성 ▷관절염 치료제인 바이오 신약 2차 임상 진행 ▷수처리 산업은 이양화학, 송원산업과 국내 시장 과점 |
| 경기변동 | ▷제약업은 전반적으로 경기 변동 영향이 적음 ▷일반의약품은 전문의약품에 비해 경기와 계절의 영향을 받음 |
| 주요제품 | ▷원료의약품(55%): 주로 일본(요신도 등)에 수출 ▷환경소재(25%): 항균제, 선박용 도료 납품. 유니레버 등에 공급 ▷수처리제(19%): 코오롱워터앤에너지, 트라이온 등에 공급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중국, 인도 등 해외에서 의약사업 원료인 KBMOT 등 수입 |
| 실적변수 | ▷정부의 바이오/의약/환경 부문 지원·규제 ▷외화자산이 많아 원/달러, 원/엔 환율 상승시 수혜 |
| 리스크 | ▷신약 개발은 임상 시험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비용 부담이 큼('13년 1분기 연구개발비 비중 7.5%) ▷미상환 신주인수권 38만8353주(발행주식 수의 7.4%) - 행사가액 2만5670원, 행사가능기간 11.9.30~14.7.23 |
|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코오롱생명과학]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코오롱생명과학]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코오롱 | 최대주주 | 보통주 | 1,141,042 | 22.2 | 1,141,042 | 22.0 | - |
| 이웅열 | 임원 | 보통주 | 694,120 | 13.5 | 694,120 | 13.4 | - |
| 이관희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66,466 | 1.3 | 66,466 | 1.3 | - |
| 서창희 | 배우자 | 보통주 | 30,654 | 0.6 | 30,654 | 0.6 | - |
| 박상후 | 임원 | 보통주 | 5,142 | 0.1 | 5,142 | 0.1 | - |
| 김남수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4,436 | 0.1 | 0 | 0.0 | 임원 퇴임 |
| 김화중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4,436 | 0.1 | 4,436 | 0.1 | - |
| 김철수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4,185 | 0.1 | 4,185 | 0.1 | - |
| 서명관 | 임원 | 보통주 | 3,613 | 0.1 | 3,613 | 0.1 | - |
| 이상우 | 임원 | 보통주 | 2,575 | 0.1 | 2,575 | 0.0 | - |
| 최태근 | 임원 | 보통주 | 1,394 | 0.0 | 1,394 | 0.0 | - |
| 이석준 | 임원 | 보통주 | 1,102 | 0.0 | 1,102 | 0.0 | - |
| 이우석 | 임원 | 보통주 | 0 | 0.0 | 1,627 | 0.0 | 장내 매수 |
| 이정윤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1,000 | 0.0 | 1,000 | 0.0 | - |
| 서윤덕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3,536 | 0.1 | 3,536 | 0.1 | - |
| 임문진 | 계열사 임원 | 보통주 | 21,200 | 0.4 | 21,200 | 0.4 | - |
| 계 | 보통주 | 1,984,901 | 38.6 | 1,982,092 | 38.2 | - | |
| -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