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코오롱생명, 매분기 영업익 증가 비결은?

12.12/05
형재혁
거시 경제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는 가운데 코오롱생명과학22,600원, ▲250원, 1.12%(이하 '코오롱생명')의 꾸준한 실적 증가세가 주목된다.

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 회사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지난해 2분기부터 매분기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이에 힘입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6억원과 172억원으로 각각 전년 연간치를 50%와 55% 초과했다. 이는 일본향 원료의약품 수출 증가로 의약 부문 매출이 늘고, 신규 거래처 확보로 워터솔루션 매출도 늘어난 결과다.

이 같은 양호한 성장세에 주목할 것일까.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는 코오롱생명에 대해 꾸준히 순매수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전일까지 기관과 외국인은 코오롱생명 주식을 각각 69만주와 24만주를 순매수했다. 이는 총 발행주식의 13.8%와 4.8%에 해당하는 것이다.

코오롱생명은 의약, 환경 소재, 워터솔루션사업을 한다. 의약사업은 신약 및 제네릭 완제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제(원료 의약, 의약중간체)를 만든다. 환경 소재사업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제 등을 생산하며, 워터솔루션부문은 수처리제를 만든다.

매출액 비중은 의약 51%, 환경소재 26%, 워터솔루션 24%다. 그러나 영업이익 기여도는 의약사업이 98%로 압도적이다. 코오롱생명이 주력하고 있는 원료의약품사업은 기술 집약도가 높은 분야다. 신제품 개발 여부에 따라 높은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코오롱생명과학은 바이오신약인 '티슈진-C'를 개발하고 있다. 티슈진-C는 세포유전자치료제로 연골재생 유전자를 이식, 손상된 연골을 재생시켜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기술이다. 기존 자가세포치료제와 달리 수술과 배양기간 필요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임상에 성공한다면 상용화 시기는 2017년 즈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 회사의 3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개 분기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9배로 2009년 4월 상장후 3년여간 평균인 18배보다 높게 거래되고 있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2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코오롱생명과학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4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441위(상위 2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현금 창출력 점수가 2점으로 낮다. 3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개 분기 합산)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를 기록했고, 잉여활동현금흐름비율이 7% 미만인 점 등이 반영됐다.

밸류에이션 점수도 1점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3분기 연환산 기준 현재 PER이 최근 3년간 평균보다 높게 거래되고 있는 점 등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원료의약품 제조회사]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원료의약품은 약 완성품의 원료인 순수 물질로 제약업의 기초산업이다. 원료의약품 제조회사들은 의약품 원료를 만들어 각 제약사에 납품한다. 신약특허가 풀려 복제약 생산이 가능해지면 제약사들의 원료의약품 수요가 늘어난다.

원료의약품 중 항생제에는 원료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균주에 따라 페니실린계, 세파계, 카바페넴계 등이 있다. 페니실린은 최초의 항생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균들이 내성이 생긴 경우가 많아 세파계로 대체되고 있다. 카바페넴계는 단가는 높지만 세파계에 내성이 생긴 균주를 처리할 수 있고 약효가 더 광범위하다.

- 원료의약품 회사 -
종근당바이오 : 항생제 원료 (20%)
화일약품 : 진해거담제 등의 원료 (72%)
하이텍팜 : 카바페넴, 세파계항생제 (99%)
에스텍파마 : 천식치료제 등 일반의약품 원료 (100%)
코오롱생명과학 : 일반 및 제네릭 의약품의 원료, 일본으로 수출 (51%)
바이오랜드: 한방의약품 원료 (11%)
*괄호안은 매출액 대비 비중

[원료의약품 제조회사]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화일약품 7,800 ▲300 (4%) 683 55 36 1.4 1.29 93.7%
하이텍팜 15,750 ▲2,050 (15%) 431 90 79 10.5 1.26 11.9%
에스텍파마 17,200 ▲250 (1.5%) 390 74 65 16.6 3.01 18.2%
종근당바이오 12,400 ▼250 (-2%) 834 86 65 6.8 0.53 7.9%
코오롱생명과학 79,500 ▲200 (0.3%) 1,076 206 173 18.7 3.92 21%
바이오랜드 14,550 ▼200 (-1.4%) 554 123 102 16.1 2.20 13.7%
KPX생명과학 4,020 ▲30 (0.8%) 361 29 26 16.4 0.98 6%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코오롱생명과학]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원료의약, 수처리제, 항균제, 바이오신약 등을 연구·개발
사업환경 ㅇ의약품, 환경소재 등 기존 사업의 견조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신성장동력인 바이오신약을 집중 육성
ㅇ관절염 치료제인 바이오 신약 2차 임상 진행
ㅇ유니레버 '도브' 샴푸에 비듬방지 향균제 납품
경기변동 ㅇ제약업은 전반적으로 경기의 영향을 덜 탐
ㅇ일반의약품은 전문의약품에 비해 경기와 계절의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원료의약품 (매출 비중 51%)
ㅇ향균제 (매출 비중 27%)
ㅇ수처리제 (매출 비중 21%)
원재료 중국, 인도 등 해외에서 의약사업 원료인 KBMOT 등 수입
실적변수 ㅇ정부의 바이오/의약/환경 부문 지원·규제
ㅇ원자재 대부분을 수입해 환율에 민감
리스크 신약 개발은 임상 시험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비용 소모가 큼
신규사업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코오롱생명과학]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9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1,076 1,172 1,019 868
영업이익(보고서) 206 138 95 130
영업이익률(%) 19.1% 11.8% 9.3% 15%
영업이익(K-GAAP) 204 126 95 130
영업이익률(%) 19% 10.8% 9.3% 15%
순이익(지배) 173 112 86 88
순이익률(%) 16.1% 9.6% 8.4% 10.1%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8.68
이시각 PBR 3.92
이시각 ROE 21.00%
5년평균 PER 17.56
5년평균 PBR 3.05
5년평균 ROE 15.78%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코오롱생명과학] 주요주주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코오롱 최대주주 보통주 859,023 20.0 901,974 20.0 -
이웅열 임원 보통주 602,205 14.1 694,120 15.4 장내 매수
이관희 계열사 임원 보통주 72,825 1.7 76,466 1.7 -
서창희 배우자 보통주 29,195 0.7 30,654 0.7 -
박상후 임원 보통주 4,898 0.1 5,142 0.1 -
김남수 계열사 임원 보통주 4,225 0.1 4,436 0.1 -
김화중 계열사 임원 보통주 4,225 0.1 4,436 0.1 -
김철수 계열사 임원 보통주 3,986 0.1 4,185 0.1 -
서명관 임원 보통주 3,441 0.1 3,613 0.1 -
이상우 임원 보통주 2,453 0.1 2,575 0.1 -
최태근 임원 보통주 1,328 0.0 1,394 0.0 -
이석준 임원 보통주 1050 0.0 1,102 0.0 -
이진용 계열사 임원 보통주 1,050 0.0 1,102 0.0 -
서윤덕 계열사 임원 보통주 4,260 0.1 4,473 0.1 -
임문진 계열사 임원 보통주 4,000 0.1 13,200 0.3 장내 매수
보통주 1,598,164 37.3 1,748,872 38.8 -
우선주 0 0.0 0 0.0 -
기타 0 0.0 0 0.0 -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